다투세나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1년 11월) |
다투세나(싱할라어: ධාතුසේන, 429년 ~ 473년)는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왕으로,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세번째 왕조인 모리야 왕조의 초대 군주(개창자)이다.
다투세나
ධාතුසේන | |
---|---|
아누라다푸라 국왕 | |
재위 | 455년 ~ 473년 |
전임 | 피티야 |
후임 | 카샤파 1세 |
신상정보 | |
출생일 | 429년 |
출생지 | 아누라다푸라 왕국 아누라다푸라 |
사망일 | 473년 (44세) |
사망지 | 아누라다푸라 왕국 아누라다푸라 (장남 카샤파 왕자의 왕실 쿠데타로 시해됨.) |
국적 | 아누라다푸라 왕국 |
왕조 | 모리야 왕조 |
배우자 | 왕비 1명(아누라다푸라 천가 출신) 후궁 1명(판드얀 드라비다 옛 왕족 출신) |
자녀 | 카샤파 1세(적장자) 모갈라나 1세(서차자) |
종교 | 불교 |
군사 경력 | |
최종계급 | 아누라다푸라 왕국 육군총장군 전역(465년) |

생애 편집
그는 본래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명문가에서 출생한 불교도 군벌 정치가로서 이미 17세 시절이던 446년에는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관직에 출사하였다.
446년 17세 나이로 관직에 출사한 그는 이듬해 447년에 결혼을 하였고 2년 후 449년에 장군(將軍)이자 불교파 군벌정치계 영수의 지위에 올랐는데 그 시기에서부터 자신의 군사 병력을 증강하다가 3년 후 452년에 23세 나이로 군사 쿠데타를 감행하여 당시 국왕(國王)이었던 피티야 군주(Pithiya 君主)를 시해하였고 집정총독(執政總督)이라는 직위에 취임함으로써 452년부터 455년까지 3년을 집정총독 직위에 재임을 하였으며 455년부터 463년까지 8년을 대공으로 재위하였고 463년에는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정식 왕으로 즉위하여 모리야 왕조를 개창하였다.
463년부터 473년까지 10년간을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군주로 재위한 그는 불교 정치 체제를 유지하고 종전의 불교계 군벌정치 체제를 답습하였지만 슬하 2남을 둔 그는 군주 보위에 있던 중에 왕비와 후궁의 상(喪)을 모두 치렀고 군주 보위에 앉아 있는 내내 보위 즉위 10년이 다 되어 가도록 슬하 2남 가운데에서 단 1명의 아들이라도 골라다가 왕태자(王太子) 책봉을 할 처지에 이르렀는데도 왕태자 책봉을 거행할 기미조차 드러내지 않고 내부에서 암암리에 감시하는 눈들을 알아채지 못한 채 야간 주색(夜間 酒色)을 즐기는 등 반(半)은 유희(遊戱)로 인(因)한 향락(享樂)에 매취(魅醉)되고 있었는데 가뜩이나 그를 암암리에 감시하던 이들 가운데에서는 그의 적장자(嫡長子)인 카샤파 왕자(王子)도 있던데다가 카샤파 왕자가 점점 자신의 군사 병력을 증강하고 나서 부왕(父王)인 그를 배신하여 끝내 참(斬)하는 사건이 일어난즉 다투세나가 보위에 등극한지 10년째의 시기이던 473년에 카샤파 왕자가 왕실 쿠데타를 일으켜 결국 적장남(嫡長男)인 카샤파 왕자의 왕실 쿠데타로 인하여 살해되었고 부왕 다투세나를 시해한 카샤파 왕자는 왕실 쿠데타 직후 즉각 보위에 오르지는 않고 473년부터 479년까지 6년을 대리집정(代理執政)으로 재임하다가 479년에 비로소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왕으로 즉위하였다.
가족 관계 편집
- 그는 아누라다푸라 왕국의 불교도 정치군인 시절이자 18세 시절이던 447년에 어느 비천한 집안의 여식을 본부인(本夫人)으로 삼아 1년 후 그녀와의 사이에 장적자 카샤파 1세를 448년 득남하였고 본부인(本夫人)과 결혼한 해인 447년 아누라다푸라 왕국 피티야 군주(Pithiya 君主)의 7촌 조카딸을 측실(側室)로 삼아 그녀와의 사이에서는 3년 후 450년 차서자 모갈라나 1세를 득남하였다.
이 글은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