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티역
담티(수성대·대륜)역(Damti station, (담티驛)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이다.
담티(수성대·대륜)
| |
---|---|
역명판 (문양 방면) | |
승강장 (문양 방면) | |
개괄 | |
관할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지하2672 |
좌표 | 북위 35° 51′ 17″ 동경 128° 39′ 14″ / 북위 35.854827° 동경 128.653931° |
개업일 | 2005년 10월 18일 |
역 번호 | 236 |
승강장수 | 1면 2선(섬식) |
거리표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문양 기점 21.8 km | |
|
특징
편집부역명은 수성대·대륜이다. 만촌네거리를 지나서 동대구농협 만촌지점 인근 대구구치소 앞 삼거리 인근에 역이 위치하고 있다. 이 역의 2번 출구 인근에 수성대학교가 있으며, 인근에 대구구치소와 대구명복공원이 있다. 이 역에서 조금 더 지나 담티고개를 넘어가면 연호동, 가천동의 그린벨트 구간이 이어진다. 역 인근에 아파트와 학교들이 많고 시내버스 정류장과의 연계성도 비교적 나쁘지 않은 편이나, 대부분 학생들의 수요에 의존하고 있어서 위치에 비해 이용 빈도는 적은 편이다.
역명의 유래
편집담티라는 이름은 인근에 위치한 담티고개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대동여지도에서는 '대장현'(大墻峴)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이는 대구와 경산 사이에 위치한 고개가 마치 담장처럼 높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700년대 초반부터 제작된 해동지도, 경주도회, 비변사인방안지도를 비롯한 여러 고지도에서는 '대장현'(大墻峴) 또는 '장현'(墻峴)이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원현'(垣峴), '담고개'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했다.[1][2] 그 외에 일제강점기 시대에 대구와 경산 사이에 신작로를 만들기 위해 산을 뚫었는데 집과 집 사이의 담을 틔우듯이 산을 밀고 길을 만들었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유래가 전한다.
이전의 역명은 담티(산대·대륜)역(담티(産大·大倫)驛)이었지만 대구산업정보대학이 수성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면서, 산대를 수성대로 역명을 개정하였다. 대륜은 대륜중학교와 대륜고등학교의 약칭으로, 전국의 도시철도 역 중 유일하게 중고등학교 이름이 (부)역명으로 들어가 있다.
역 구조
편집1면 2선의 하얀색 기둥의 곡선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곡선의 여파로 인해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가 있다.[3]
역사
편집승강장
편집만촌 ↑ |
| 하 상 | |
↓ 연호 |
상행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반월당·용산·문양 방면 |
---|---|---|
하행 | 신매·사월·영남대 방면 |
- 승강장에서 반대 방향 열차로 갈아탈 수 있다.
역 주변
편집승차량 변동
편집노선 | 승차 인원[4] | 주석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2호선 | 2,402 | 2,880 | 3,010 | 3,036 | 3,139 | 3,205 | 3,324 | 3,529 | 3,776 | 3,533 | 3,498 | 3,529 |
인접한 역
편집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
235 만촌 문양 방면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237 연호 영남대 방면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독자투고] 잘못된 담티고개 지명 유래, 바로잡아야 Archived 2018년 10월 27일 - 웨이백 머신 《매일신문》 2015년 2월 4일
- ↑ 뼛속까지 모화사상 탓 公山을 공산이라 하지 않고 팔공산으로 바꿔 잘못된 지명 《영남일보》 2012년 11월 23일
- ↑ 발빠짐 안내방송은 문양 방면만 방송되고, 영남대 방면은 방송되지 않는다.
- ↑ 원자료는 알림판>지하철자료실>통계자료,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Archived 2009년 1월 30일 - 웨이백 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