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경 천도(唐莊京遷都)는 단군의 네 아들이 고조선의 도읍지를 평양성에서 당장경[1]으로 옮긴 것에 대한 설화이다. 조선 명종 때 조여적이 편찬한 《청학집》에 실린 내용으로서, 도교적 시각에서 전승 설화를 정리한 것이다.

이 설화에 따르면, 단군에게는 네 아들이 있었는데, 이름이 부루, 부여(夫餘), 부우(夫虞), 부소(夫蘇)로서 각기 뛰어난 재주와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장남인 부루는 하나라의 우 임금이 도산에서 제후들을 소집했을 때 알현하러 갔고, 부여(夫餘)는 '구이설유의 난'이 일어나자 평정하였으며, 부우(夫虞)는 나라에 질병이 돌면 의약을 마련하여 백성들을 구제하였고, 부소(夫蘇)는 산에 맹수가 들끓었을 때 사냥을 하여 퇴치하였다고 한다.[2]

요 임금 때 황하가 범람하여 큰 홍수가 났으나 치수 사업에 실패하였고, 우 임금 때 다시 황하의 치수를 하였는데, 큰 홍수가 일어나 중국 산동성에 있는 등주(登州)와 내주(萊州)의 바다와 대동강이 넘쳐 고조선의 도읍지인 평양성이 물에 잠기게 되었다. 이에 단군의 네 아들은 황해도 구월산에 올라가 사방을 둘러본 후, 가장 적당한 곳을 택하여 도읍을 옮겼는데, 그곳의 원래 지명인 당장리(唐莊里)라는 이름을 고쳐서 당장경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각주

편집
  1.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는 당장경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유사》에는 장당경(藏唐京)으로 기록되어 있다.
  2. 당장경 천도 -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