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년
대년(大年, Great Year) 또는 플라톤 년(Platonic Year)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약 25,800년 동안 황도를 완주하는 춘분점의 한 주기"로 정의되었다.[1] 분점의 완전한 한 주기는 자전축의 세차운동의 한 번의 완전한 주기를 의미한다. 그러나, 플라톤에게는 그러한 세차가 알려지지 않았고, 그는 천체(행성)과 항성의 일일 공전이 그것들의 본래 위치로 복귀하는 "완전한 해"를 정의했다. 키케로는 플라톤을 따라서 태양과 달 그리고 행성의 주기를 조합하여 대년을 정의했다.[2] 니콜라스 캠피언은 "'대년'으로 알려진 태양년과 유사한 역사의 주기"에 대하여 기술한다.[3]
플라톤의 "완전한 년"에 대한 묘사는 그의 대화《티마이오스》에서 나타난다.:
“ | 사람들은 거의가 실제로 시간은 놀랍도록 변화무쌍하고 당황케 할 만큼 무수한 천체의 유랑에 달려 있다는 사실은 망각한다. 그렇지만,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진 여덟 가지의 모든 주기가 모두 함께 완료되며 전과 같은 모양의 위치로 측정되는 순간에 완전한 해를 완결한 횟수가 식별될 수 있다.[4] | ” |
《신의 본성에 관하여(De natura deorum)》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 | 수학자들은 그들이 대년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해서, 행성 각자의 이동에 근거한다. "그것은 태양과 달 그리고 다섯 행성이 모두 서로의 같은 상대적 위치로 복귀하며 그들의 행로를 끝마칠때 완료된다. 그 주기의 길이는 치열히 논쟁 중에 있지만, 필연적으로 분명 확고한 불변의 시간일 것이다.[2] | ” |
더 나아가, "대년"이라는 용어는 세계의 신화나 철학에서 나타나는 영원회귀와 같은 특정 개념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오토 노이게바우어는 이렇게 서술했다.:
“ | "대년"이라는 용어는 모호성이 있다. 언제어디서든 대체로 어떤 특정 기간에 그 이름이 붙여질 수 있다.[5] | ” |
마크로비우스는 키케로의《선택(Somnium Scipiones)》에 대한 주석서에서 '철학자들'은 대년을 15,000년으로 간주한다고 의견을 더했다.[6]:97
켄소리누스는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2484년의 대년을 산정했다고 기술했다.: 그것은 14 엑셀리그모스 주기인 2434년의 오기라는 주장이 있다.[6]:96[7]:6
(플라톤의 시대에는 분점의 세차운동이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플라톤 년은 분점의 세차운동의 개념과 연관되는 기원을 가지지 않는다.[8] 플라톤 다음의 2세기 이후에 히파르코스가 분점의 세차운동 주기를 입증했고, 결국 "대년"이라는 용어는 세차의 지구 자전축의 느린 선회에 의해 야기되는 세차의 주기에 적용되었다.
“ | 기원전 2세기 중반경 어느 때에,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항성들이 전체적으로 분일과 지일에 해마다 결정되는 태양의 위치에 비해서 점진적으로 이동함을 발견했다. ... 오토 노이게바우어는 사실 히파르코스는 한 번의 완전한 주기에 대해 36,000년을 최댓값으로 여겼고, 26,000년에 조금 못미치는 그것의 진짜 주기도 계산했다고 주장한다.[9] | ” |
이러한 주장은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그가 26,000년에 근접한 진짜 값을 얻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가용 자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36,000년의 값을 부여한 것에 대해 관측이 만들어낸 과학적 협잡이라며 비난하는데에서 비롯되었다.[10] 프톨레마이오스는 행성에 의해 정의되는 플라톤식 대년과 항성으로 정의되는 세차운동 주기의 대년의 두 가지 개념을 모두 다 채택했는데, 따라서, 대년의 정의에 그 둘 사이에 혼란이 야기되었다.[11]
요세푸스는 600년으로써의 대년을 언급했는데[12]:제3장, 그 값은 60년과 600년 그리고 3600 등의 60배수들로 시간 간격을 산정한 베로수스의 값에서 비롯되었다는 제언이 있다.[13]
아이작 뉴턴은 세차의 비율을 실제값에 유사한 72년에 1도씩으로 계산하였고, 따라서, 1세기에 1도의 값은 틀렸다는 것이 증명되었다.[14]
월터 크루텐던은 대년에 대해 이렇게 기술했다.
“ |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유가 주기라고 부르며, 다른 사람은 그것을 대주기라고 부르며 또 다른 사람들은 완전년이라고 부르는데, ... 그러나, 고대 유럽에서부터 고대 중국에 이르기까지 두루 사용된 가장 일반적인 이름은 대년이다.[15] | ”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보관된 사본”. 2015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http://archive.org/stream/denaturadeorumac00ciceuoft/denaturadeorumac00ciceuoft_djvu.txt
- ↑ Nicholas Campion,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p.6.
- ↑ Plato, Timaeus 39d, in John M. Cooper (ed.), "Plato: Complete Works" (Hackett Publishing Company, 1997), p. 1243
- ↑ Neugebauer O., (1975)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Birkhäuser, p.618
- ↑ 가 나 http://books.google.co.uk/books?id=PHdktsVb_X4C&pg=PA96&lpg=PA96&dq=censorinus+aristarchus+great+year&source=bl&ots=kOiHKFs95x&sig=f8GoH7GexbmZP6ccESBn_kH5KLs&hl=en&sa=X&ei=aVHQUNydFYTB0QWE3YHoDA&ved=0CFoQ6AEwCA#v=onepage&q=censorinus%20aristarchus%20great%20year&f=false
- ↑ http://www.dioi.org/vols/wb1.pdf
- ↑ William Harris Stahl, "Macrobius: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2), p. 21
- ↑ Nicholas Campion,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p.246.
- ↑ R.R.Newton, "The Authenticity of Ptolemy's star data" ([1])
- ↑ Nicholas Campion, "The Great Year: Astrology, Millenarianism and History in the Western Tradition" (Arkana/Penguin Books, 1994), p. 246~247.
- ↑ http://www.sacred-texts.com/jud/josephus/ant-1.htm
- ↑ Josephus, Jewish Antiquities, Loeb, p.1, note a,
- ↑ “보관된 사본”. 2014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7일에 확인함.
- ↑ Walter Cruttenden, "Lost Star of Myth and Time" (St. Lynn's Press, 2006), p.xix–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