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는 1981년 3월 25일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로 1개의 선거구에서 2인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를 취해 총 6개의 선거구에서 12인이 당선되었다. 선거인 1,803,273명[1](부재자선거인수 : 45,027명) 중 1,240,504명(부재자투표수 : 43,000명)이 투표를 하여 76.7%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후보자별 득표편집
제1선거구편집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정말동 |
사회당 |
5,126표 |
|
|
|
2 |
홍동식 |
통일민족당 |
3,827표 |
|
|
|
3 |
이상권 |
신정당 |
5,428표 |
|
|
|
4 |
왕상은 |
민주정의당 |
68,953표 |
|
당선
|
|
5 |
방오영 |
민권당 |
3,841표 |
|
|
|
6 |
한석봉 |
한국국민당 |
46,859표 |
|
|
|
7 |
정주영 |
민주사회당 |
1,921표 |
|
|
|
8 |
김성호 |
원일민립당 |
2,623표 |
|
|
|
9 |
안건일 |
민주한국당 |
51,559표 |
|
당선
|
|
10 |
김정길 |
무소속 |
43,554표 |
|
|
|
11 |
서정의 |
무소속 |
3,582표 |
|
|
계
|
237,273표
|
투표율_79.23%
|
---|
선거인 수 302,618명 | 기권 수 62,863명 | 투표 수 239,755표 | 무효표 수 2,482표
|
제2선거구편집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변리윤 |
민권당 |
17,984표 |
|
|
|
2 |
이기우 |
신정당 |
17,432표 |
|
|
|
3 |
곽정출 |
민주정의당 |
63,463표 |
|
당선
|
|
4 |
서석재 |
민주한국당 |
74,447표 |
|
당선
|
|
5 |
조영래 |
무소속 |
17,259표 |
|
|
|
6 |
박찬종 |
무소속 |
- |
- |
사퇴
|
계
|
190,585표
|
투표율_78.19%
|
---|
선거인 수 247,155명 | 기권 수 53,912명 | 투표 수 193,243표 | 무효표 수 2,658표
|
제3선거구편집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정수 |
민권당 |
58,745표 |
|
당선
|
|
2 |
김정우 |
민주한국당 |
46,697표 |
|
|
|
3 |
강경식 |
민주사회당 |
50,796표 |
|
|
|
4 |
구용현 |
민주정의당 |
69,025표 |
|
당선
|
계
|
225,263표
|
투표율_79.55%
|
---|
|
선거인 수 285,952명 | 기권 수 58,483명 | 투표 수 227,469표 | 무효표 수 2,206표
|
제4선거구편집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김헌근 |
민주농민당 |
4,435표 |
|
|
|
2 |
최국주 |
민권당 |
5,794표 |
|
|
|
3 |
문용한 |
안민당 |
6,015표 |
|
|
|
4 |
박관용 |
민주한국당 |
71,863표 |
|
당선
|
|
5 |
전한도 |
민주사회당 |
9,998표 |
|
|
|
6 |
김진재 |
민주정의당 |
81,911표 |
|
당선
|
|
7 |
양찬우 |
한국국민당 |
44,117표 |
|
|
|
8 |
강호성 |
무소속 |
25,408표 |
|
|
|
9 |
하기성 |
무소속 |
44,234표 |
|
|
계
|
293,775표
|
투표율_79.34%
|
---|
선거인 수 374,235명 | 기권 수 77,303명 | 투표 수 296,932표 | 무효표 수 3,157표
|
제5선거구편집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종필 |
민주사회당 |
7,261표 |
|
|
|
2 |
이흥수 |
민주정의당 |
92,143표 |
|
당선
|
|
3 |
김승목 |
민주한국당 |
80,794표 |
|
당선
|
|
4 |
김재홍 |
민주한국당 |
31,534표 |
|
|
|
5 |
최시명 |
민권당 |
22,496표 |
|
|
|
6 |
이영근 |
신정당 |
29,278표 |
|
|
|
7 |
최상환 |
무소속 |
16,227표 |
|
|
계
|
279,733표
|
투표율_77.4%
|
---|
선거인 수 365,773명 | 기권 수 82,668명 | 투표 수 283,105표 | 무효표 수 3,372표
|
제6선거구편집
당선자가 2명인 선거구입니다.
|
기호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비고
|
---|
|
1 |
장성만 |
민주정의당 |
- |
- |
무투표
|
|
2 |
신상우 |
민주한국당 |
- |
- |
무투표
|
|
3 |
김명중 |
민권당 |
- |
- |
등록무효
|
계
|
0표
|
투표율_0%
|
---|
|
선거인 수 185,348명 | 기권 수 185,348명 | 투표 수 0표 | 무효투표수_???표
|
당선자 명부편집
- 최고령 당선자 :
- 최연소 당선자 :
- 최다득표 당선자 :
- 최소득표 당선자 :
- 최다득표차 당선자 :
- 최소득표차 당선자 :
- 최다득표율 당선자 :
- 최소득표율 당선자 :
같이 보기편집
- ↑ 총 선거인 중 1,803,273명에서 선거를 실시하지 않은 제6선거구를 제외한 선거인 수는 1,617,925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