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30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30조피고인진술없이 하는 판결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조문

편집

제330조(피고인의 진술없이 하는 판결) 피고인이 진술하지 아니하거나 재판장의 허가없이 퇴정하거나 재판장의 질서유지를 위한 퇴정명령을 받은 때에는 피고인의 진술없이 판결할 수 있다.

第330條(被告人의 陳述없이 하는 判決) 被告人이 陳述하지 아니하거나 裁判長의 許可없이 退廷하거나 裁判長의 秩序維持를 爲한 退廷命令을 받은 때에는 被告人의 陳述없이 判決할 수 있다.

판례

편집
  • 필요적 변호사건에서 피고인이 재판장의 허가없이 퇴정하고 변호인마저 이에 동조하여 퇴정해 버린 경우, 방어권의 남용 내지 변호권의 포기로 보아 증거동의가 간주되고 피고인이나 변호인의 재정없이도 심리판결을 할 수 있다[1].

필요적 변호사건에서 변호인 출석없이 이루어진 소송행위의 효력

편집

1. 필요적 변호사건에서 변호인없이 이루어진 공판절차에서의 소송행위는 무효이다[2].

2. 이미 그 전에 적법하게 이루어진 소송행위까지 모두 무효로 된다고는 볼 수 없는 것이다[3].

3 .다른 절차에서 적법하게 이루어진 소송행위는 유효하다[4]. 필요적 변호사건에서 사선변호인에 대한 기일통지가 없어 사선변호인이 불출석하였으나 국선변호인의 출석하에 공판기일을 진행한 조치는 적법하다[5].

참고 문헌

편집
  • 손동권 신이철, 새로운 형사소송법(초판, 2013), 세창, 2013. ISBN 9788984114081

각주

편집
  1. 대판 1991.6.28,91도865
  2. 대판 1999.4.23,99도915
  3. 대판 1990.6.8,90도646
  4. 대판 1999.4.23,99도915
  5. 대판 1990.9.25,90도1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