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해부학에서 덮개앞구역(pretectal area 또는 pretectum)은 7개의 핵으로 구성된 중간뇌 구조이며 피질하 시각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망막의 상호 양측 투영을 통해 주로 동공빛반사(pupillary light reflex), 눈운동반사(optokinetic reflex), 일주기 리듬의 일시적인 변화와 같은 주변광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행동 반응을 중재하는 데 관여한다.[1][2][3][4][5] 시각 시스템에서 덮개앞구역의 역할 외에도, 앞덮개앞핵(anterior pretectal nucleus)은 체성감각통각 정보를 중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7]

Pretectal area
위둔덕(superior colliculus) 수준의 중간뇌 단면. 오른쪽에 Pretectum으로 표시된 덮개앞구역.
정보
상위 구조중간뇌
요소앞 덮개앞 핵,
안쪽 덮개앞 핵,
시신경핵,
올리브 덮개앞 핵,
뒤 덮개앞 핵,
뒤 경계(posterior limitans),
맞교차 덮개앞 구역 (commissural pretectal area, 교련 시개전 구역)
식별자
라틴어area praetectalis
MeSHD066250
NeuroNames467
NeuroLex IDnlx_59721
TA98A14.1.08.505
A14.1.08.506
TA25739
FMA62402

위치와 구조

편집

입력

편집

출력

편집

기능

편집

동공빛반사

편집

동공빛반사 (pupillary light reflex, 동공대광반사)

부드런따라보기

편집

부드런따라보기 (smooth pursuit, 원활추종운동)

눈운동반사 (optokinetic reflex, 시운동반사, 안구운동반사)

조절반사

편집

조절반사 (accommodation reflex)

통각억제

편집

통각억제 (antinociception, 항통각)

REM 수면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amlin PD (2006). 〈The pretectum: connections and oculomotor-related roles〉. 《Neuroanatomy of the Oculomotor System》. Progress in Brain Research 151. 379–405쪽. doi:10.1016/S0079-6123(05)51012-4. ISBN 9780444516961. PMID 16221595. 
  2. Magoun HW, Ranson SW (May 1935). “The central path of the light reflex: a study of the effect of lesions.”. 《Archives of Ophthalmology》 13 (5): 791–811. doi:10.1001/archopht.1935.00840050069006. 
  3. Neuhuber W, Schrödl F (November 2011). “Autonomic control of the eye and the iris”. 《Autonomic Neuroscience》 165 (1): 67–79. doi:10.1016/j.autneu.2010.10.004. PMID 21071284. S2CID 35330212. 
  4. Donkelaar, Hans (2012). 《Clinical neuroanatomy brain circuitry and its disorders》 1판. Berlin: Springer. 343쪽. ISBN 978-3642191336. 
  5. Miller AM, Miller RB, Obermeyer WH, Behan M, Benca RM (August 1999). “The pretectum mediates rapid eye movement sleep regulation by light”. 《Behavioral Neuroscience》 113 (4): 755–65. doi:10.1037/0735-7044.113.4.755. PMID 10495083. 
  6. Bosman LW, Houweling AR, Owens CB, Tanke N, Shevchouk OT, Rahmati N, Teunissen WH, Ju C, Gong W, Koekkoek SK, De Zeeuw CI (2011년 1월 1일). “Anatomical pathways involved in generating and sensing rhythmic whisker movements”. 《Frontiers in Integrative Neuroscience》 5: 53. doi:10.3389/fnint.2011.00053. PMC 3207327. PMID 22065951. 
  7. Reis GM, Rossaneis AC, Silveira JW, Prado WA (June 2012). “μ1- and 5-HT1-dependent mechanisms in the anterior pretectal nucleus mediate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retrosplenial cortex stimulation in rats”. 《Life Sciences》 90 (23–24): 950–5. doi:10.1016/j.lfs.2012.04.023. PMID 22575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