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백
연극에서 한 등장인물이 혼자 말하는 대사
독백(獨白) 또는 모놀로그(monologue)는 연극에서 한 등장인물이 혼자 말하는 대사이다. 희곡, 영화[1]와 같은 극적인 매체의 범위에서뿐 아니라 시와 같은 극적이지 않은 매체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다.[2]

혼잣말(soliloquy), 방백(傍白, aside), 돈호법 등의 다른 장치들과도 많은 공통점들을 공유한다. 그러나 이들 간의 뚜렷한 차이는 존재한다.
유사한 장치
편집독백은 한 목소리를 발설한다는 면에서 시, 에피파니 등과 유사하지만, 이들 간의 차이는 존재한다. 이를테면 혼잣말(soliloquy)은 등장인물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이야기하지 않고 관중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뜻한다. 한편 독백은 한 사람의 생각을 크게 소리내는 것을 뜻한다.[3] 돈호법은 화자가 작가가 상상의 인물, 생물이 아닌 물건, 개념을 언급하는 것을 뜻한다.[4] 방백(aside)은 다른 등장인물들이 있는 중에 혼자 말하지만 논리적으로는 그 등장인물들에게도 들려야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그 등장인물들은 들을 수 없는 것을 뜻한다.
기능
편집독백의 기능으로는 암시와 같은 기능을 갖을수도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https://www.imdb.com/list/Bf4eKcczgnk/
- ↑ “Dramatic Monologue: An Introduction”. Victorianweb.org. 2003년 3월 10일.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Soliloquy -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Merriam-webster.com.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 ↑ “The Tragedy of Romeo and Juliet by William Shakespeare”. Pleasanton.k12.ca.us. 2013년 9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문화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