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가시쥐속
동남아시아가시쥐속(Maxomys)은 쥐아과에 속하는 설치류 속의 하나이다.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1] 중간 크기의 설치류로 시궁쥐와 유사하며, 열대 우림의 땅 위에서 서식한다. 나무에서 떨어진 잎을 덧대어 둥지를 만든다. 뿌리와 떨어진 과일, 식물 그리고 곤충을 먹는다. 모든 종이 겁이 많고, 사람들로부터 먹이를 피한다. 동남아시아가시쥐속은 원래 시궁쥐속의 아속으로 간주했다. 1960년대 별도의 속으로 분류되기 시작하면서, 동남아시아가시쥐속은 흰배쥐속과 긴꼬리자이언트쥐속과 관련을 짓기도 했다. 현재 분류는 1979년 무세르(Musser)와 마샬(Marshall) 그리고 보아디(Boeadi)가 수용한 분류이다.[2][3]
![]() | ||
---|---|---|
![]() 붉은가시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쥐목 | |
과: | 쥐과 | |
아과: | 쥐아과 | |
족: | 시궁쥐족 | |
속: | 동남아시아가시쥐속 (Maxomys) Sody, 1936 | |
모식종 | ||
Maxomys bartelsii | ||
Jentink, 1910 | ||
종 | ||
|
하위 종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8년 레콤프테 등(Lecompte et al.)[4]과 2016년 로우 등(Rowe et al.)[5]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
쥐아과 |
| ||||||||||||||||||||||||||||||||||||||||||||||||||||||||||||||||||||||||||||||||||||
각주편집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368–137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Ronald M. Nowak: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9 ISBN 0-8018-5789-9
- ↑ G.G. Musser, J.T. Marshall Jr. & B. Boeadi: Definition and contents of the Sundaic genus Maxomys (Rodentia, Muridae). In: Journal of Mammalogy 1979, Bd. 60, S. 592-606.
- ↑ Emilie Lecompte, Ken Aplin, Christiane Denys, François Catzeflis, Marion Chades, Pascale Chevret: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In: BMC Evolutionary Biology. Bd. 8, 199, 2008, S. 1–21, doi 10.1186/1471-2148-8-199.
- ↑ 가 나 Kevin C. Rowe, Anang S. Achmadi and Jacob A. Esselstyn. 2016. A New Genus and Species of Omnivorous Rodent (Muridae: Murinae) from Sulawesi, nested within A Clade of Endemic Carnivores. Journal of Mammalogy. DOI: 10.1093/JMammal/gyw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