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노테푸란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
디노테푸란(Dinotefuran) 혹은 디노테퓨란은 미쓰이 화학주식회사에서 개발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로 2002년 처음 일본에서 사용 허가를 받고, 2004년 미국에서 조건부 승인을 받아[2] 사용되기 시작했다.[1] 잎이 많은 채소나 주거용, 상업용 건물 내에서 진딧물, 가루이(Whitefly), 총채벌레, 매미충(Leafhopper), 잠엽충, 잎벌아목, 땅강아지, 풍뎅이, 방패벌레(Tingidae), 바구미, 딱정벌레, 가루깍지벌레, 바퀴벌레 등의 해충을 방재하는 데 사용한다.[3] 디노테푸란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저해해 곤충의 신경계를 교란시켜 죽이는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디노테퓨란은 3세대 네오니코티노이드에 속하며, 이 중 유일하게 할로겐이 존재하지 않는 계열이다. 제조사의 주의사항에서 벌과 같은 다른 곤충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꽃이 피는 동안에는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주의하고 있다.[4]
이름 | |
---|---|
IUPAC 이름
2-methyl-1-nitro-3-[(tetrahydro-3-furanyl) methyl] guanidine
| |
별칭
(RS)-1-methyl-2-nitro-3-[(tetrahydro-3-furanyl) methyl] guanidine; MTI-446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111.831 |
KEGG |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1] | |
C7H14N4O3 | |
몰 질량 | 202.214 g·mol−1 |
녹는점 | 107.5 |
39.83 g/L | |
위험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2000 mg/kg (경구, 레트와 마우스)[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2013년 7월 미국 오리건주는 집단 꿀벌 폐사 사건의 조사 결과가 있기 전까지 디노테푸란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금지한다고 발표했다.[5] 디노테푸란과 같은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 살충제는 꿀벌의 집단 폐사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여러 조사 결과가 있다.[6] 유럽연합과 스위스는 디노테푸란이 함유된 식물 방재 약품의 사용 승인을 거부했다.[7]
디노테푸란은 개의 벼룩 및 진드기를 방재하는 수의학용 의약품으로도 사용한다. 보통 피리프록시펜이나 페메트린과 같이 사용한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Dinotefuran, Mitsui Chemicals
- ↑ US EPA Fact Sheet for Dinotefuran
- ↑ Dinotefuran Pesticide Fact Sheet,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 ↑ “Massive bee die-off found in Wilsonville”. 《Portland Tribune》. 2013년 6월 20일. 2021년 3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7월 22일에 확인함.
- ↑ "Oregon Restricts Use of Certain Dinotefuran Pesticides", Pest Control Technology, 2 July 2013
- ↑ “蜂蜜やミツバチ、広がる農薬汚染 9都県で検出”. 《日本経済新聞》 (일본어). 2017년 8월 28일. 2024년 2월 6일에 확인함.
- ↑ EU Pesticides Database. “Active substance: Dinotefuran”. European Commission. 2024년 5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이화학적 특성정보 상세 -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