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부카인

약효와 독성이 가장 강력한 편에 속하는 아마이드계 국소 마취제.

디부카인(dibucaine) 또는 신코카인(cinchocaine)은 아마이드국소 마취제이다. 디부카인은 국소 마취제 중에서 약효와 독성이 가장 강력한 편에 속하고 약효의 지속 시간이 길어서, 일반적으로 척수 마취나 국부 마취에만 사용하도록 제한하고 있다.[1][2]

디부카인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2-butoxy-N-[2-(diethylamino)ethyl]quinoline-4-carboxamid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85-79-0
ATC 코드 C05AD04 D04AB02 N01BB06 S01HA06 S02DA04
PubChem 3025
드러그뱅크 DB00527
ChemSpider 2917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0H29N3O2 
분자량 343.463 g/mol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
배출 ?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국부, 정맥 (말 안락사)

특성

편집

디부카인은 알칼리성 수용액에서 상대적으로 잘 녹지 않는다.

효능

편집

디부카인은 국소 마취용으로 피부통증, 가려움증, 염증 등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디부카인은 이나 등의 가축을 안락사시키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30th ed, p1006
  2. Dibucaine

추가 문헌

편집
  • Abdel-Ghani N, Youssef A, Awady M (2005). “Cinchocaine hydrochloride determination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and spectrophotometry.”. 《Farmaco》 60 (5): 419–24. doi:10.1016/j.farmac.2005.03.001. PMID 15910814. 
  • Souto-Padron T, Lima AP, de Oliveira Ribeiro R. (2006). “Effects of dibucaine on the endocytic/exocytic pathways in Trypanosoma cruzi.”. 《Parasitol Res》 99 (4): 317. doi:10.1007/s00436-006-0192-1. PMID 16612626. 
  • Nounou M, El-Khordagui L, Khalafallah N (2005). “Effect of various formulation variables on the encapsulation and stability of dibucaine base in multilamellar vesicles.”. 《Acta Pol Pharm》 62 (5): 369–79. PMID 16459486. 
  • Aroti,A.;Leontidis, E. (2001).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 786–788.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