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선언(Declaration of London) 또는 해군 전쟁법에 관한 런던 선언(London Declaration concerning the Laws of Naval War)은 1909년 런던 해군 회의에서 유럽의 주요 해군 강대국인 미국과 일본이 다국적 회의 후 제안한 국제 해사법, 특히 전시 활동과 관련된 법률이다. 1908년 런던에서 일어난 일이다. 선언문은 기존 법률을 대부분 반복했지만 봉쇄, 밀수품, 상금 등 논란이 되는 많은 사항을 다루고 중립 단체의 권리를 더 존중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 선언문은 오스트리아-헝가리, 프랑스 제3공화국, 독일 제국,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미국 등 당시 대부분의 강대국이 서명했다(네덜란드스페인도 서명했다).[1] 그러나 어느 국가도 선언문을 비준하지 않았으며 결과적으로 발효되지 않았다.[2]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교전국들이 이 선언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영국과 독일은 점점 더 이를 무시했다.

영국의 지리전략가이자 해군 역사가인 줄리안 코베트 경(Sir Julian Corbett)은 전시 중 공해에서 적의 상업을 '총체적으로 포획'하는 것을 금지하려는 선언문의 조항에 대해 강력히 반대했다. 1907년 초기 에세이 '해상의 사유 재산 탈취'에서 그는 영국 해군이 적 선박을 나포할 권리를 축소하는 것은 대륙의 적에 맞서 경제 전쟁을 수행하는 영국의 능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3] 그의 견해로는 해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하나이다. 그가 제시한 주장은 해군과 영국 정부 내에서 통용되었고, 결국 영국이 선언을 비준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1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을 상대로 '총격'을 포함한 해상 경제 전쟁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승리하게 되었다.

어쨌든 런던 선언은 수상함만을 언급하고 두 차례의 세계대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잠수함전을 완전히 무시했다는 점에서 크게 부족했다.

각주

편집

출처

편집
  • John Westlake, International Law: War (London, 1910)
  •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supplement, New York, 1909)
  • Andrew Lambert (ed.) 21st Century Corbett: Maritime Strategy and Naval Policy for the Modern Era. (Annapolis, 2017) Ch. 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