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니아 (고대 로마)

(로마 식민지에서 넘어옴)

고대 로마의 콜로니아 (colonia, 복수형: coloniae)는 본래 정복한 지역들 지키기 위해 건립한 로마의 군기지였다. 그럼에도, 결국에 이 용어는 로마 도시 중에 가장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용어가 되었다.

트라야누스 이후인 2세기의 로마 식민지들을 나타내는 지도.

특징편집

상비군이 없었던 로마 공화정은 정복한 도시에 자신들의 시민 집단들을 일종의 주둔군으로서 배치시키고는 했다. 초창기에 이 집단들은 부분적으로 로마 시민들로 구성되었을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300명가량이었다. 그런데 아우구스투스 이후로 그 숫자가 늘어나게 되었는데, 로마 군단들의 퇴역한 수 천 명의 군단병들은 제국에 있는 많은 콜로니아들의 토지를 수여받았다.

1세기의 로마 제국 식민지들은 ‘퇴역병’들로만 이뤄졌고, 많은 지역들에 대한 로마화 (주로 라틴어로마법, 관습 등의 전파)를 책임졌다.

역사편집

리비우스에 따르면, 로마의 최초 식민지들은 대략 기원전 752년에 안템나이크루스투메리움에 세워졌다고 한다.[1]

그 외 초기 식민지들은 기원전 6세기에 시그니아에, 기원전 5세기에 벨리트라이노르바에, 기원전 4세기 말에 오스티아, 안티움, 타라키나에 세워졌다. 포에니 전쟁 종전 때까지 이어진 첫 번째 식민지화 시기의 식민지들은 로마 영토를 지키기 위한, 주로 군사적 목적이었다. 식민지는 로마 시민들의 식민지와 라틴인의 식민지가 있었으며, 이 둘은 규모, 구성, 위치별로 차이가 있었다. 시민들의 식민지는 일반적으로 해안가에 있었고 콜로니아이 마리티메' coloniae maritimae'라고 알려졌다. 이들은 규모가 작고 (300 세대), 로마에 가까웠으며, 전원생활을 누렸다. 셔윈와이트는 시민들의 식민지가 고대 아테네클레로키아와 유사하다고 하였다.[2] 한편 라틴인들의 식민지(coloniae juris latini)는 규모가 훨씬 컸고 로마 시민뿐만 아니라, 로마 시민권이 없었던 라틴인들도 거주했다. 최초의 라틴인 식민지들은 라틴 동맹이 세운 것들이었다. 공화정 말기에, 호민관 가이우스 그라쿠스 같은 유력 인사들이 로마의, 토지 없는 시민들을 최근에 정복한 속주들의 식민지에 정착시키자는 주장을 했었다.[3] 이런 제안은, 로마의 동시대 사람들한테서 인기 있고 자주 제시되었지만, 실행되지는 못했다. 토지 없는 시민들로 이뤄진 거대한 규모의 취락은 로마 제국에서 결코 이뤄지지 못 했다.

원수정편집

식민지들은 원수정이 시작되고 나서야 대규모로 지어졌다. 내전 종전 후 십여 만명의 퇴역병들을 정착시켜야 했던 아우구스투스는 제국 전역에 막대한 식민지 건설 계획을 시작하였다. 그렇지만, 모든 식민지들이 신도시는 아니었다. 많은 식민지들은 이미 형성되어 있던 취락들에서 만들어졌고 식민지화의 과정은 단지 취락들을 확장시켰을 뿐이었다. 이런 식민지들 중에 일부가 이후에 거대한 도시들로 성장했을 것이다(오늘날의 쾰른은 처음에는 로마 식민지로서 건설되었다). 이 시기에, 속주의 도시들이 식민지의 지위를 얻었을 수 있었고, 특정한 권한들과 특권을 얻었다.[4] 세베루스 왕조 시대 이후로, 새로운 ‘식민지’들은 지위(보통 면세권)를 부여받은 도시들뿐이었고, 제정 말기 때의 대부분의 경우엔 더 이상의 제대한 군단병들로 된 식민지는 없었다.

식민지화의 영향과 유산편집

로마 식민지들은 때때로 긴급 상황시 모집되는, 잠재적 예비군 역할을 수행했다. 거기다, 이 식민지들은 미래의 로마 시민들, 따라서 로마군의 신병들을 만들어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다.[4]

로마 식민지들은 제정 초기에 이탈리아반도 중부와 남부에 라틴어 전파를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 이 식민지들은 주변 토착민들에게 로마인의 삶의 예시를 보여주었다.[6]

예시편집

현재 명칭 라틴어 명칭 현재 국가 로마 속주 설립 혹은 직위 부여 설립자 혹은 지위 부여자 추가 정보
아를 콜로니아 율리아 파테르나 아렐라텐시스 섹스타노룸 프랑스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기원전 4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베오그라드 싱기두눔 세르비아 모이시아 수페리오르 서기 239년 기원전 279년경 켈트인들이 건설, 기원전 15년경에 로마인들이 정복
부다페스트 아퀸쿰 헝가리 판노니아 41-54년
카르테이아 카르테이아 스페인 히스파니아 울테리오르 기원전 171년 원로원
콜체스터 콜로니아 클라우디아 빅트리켄시스 카물로두눔 영국 브리타니아 / 브리타니아 수페리오르 / 막시마 카이사리엔시스 49년 클라우디우스
쾰른 콜로니아 클라우디아 아라 아그리피넨시움 독일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50년
예루살렘 (지역 터 위에) 콜로니아 아일리아 카피톨리나 히에로솔로마 이스라엘 유다이아 바르 코크바의 난 이후 하드리아누스
링컨 린둠 콜로니아 혹은 콜로니아 도미티아나 린데시움 영국 브리타니아 / 브리타니아 인페리오르 / 플라비아 카이사리엔시스 71년 도미티아누스
나르본 콜로니아 율리아 파테르나 클라우디우스 나르보 마르티우스 데쿠마노룸 프랑스 갈리아 /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기원전 118년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 기원전 45년에 카이사르가 재건[7]
파트라스 콜로니아 아우구스타 아카이아 파트렌시스 그리스 아카이아 악티움 해전 이후 아우구스투스
셰빙카라히사르 Colonia (Κολώνεια) 터키 비티니아 폰투스 폼페이우스 [8]
세티프 콜로니아 시티피스 알제리 마우레타니아 시티펜시스 1세기
요크 에보라쿰 영국 브리타니아 / 브리타니아 인페리오르 / 브리타니아 세쿤다 카라칼라
메리다 콜로니아 에메리타 아우구스타 스페인 히스파니아 / 루시타니아 기원전 25년 아우구스투스 알라우다이 제5군단게미나 제10군단의 퇴역병들 위해 건립
사르미제게투사 콜로니아 울피아 트라이아나 사르미제게투사 루마니아 다키아 트라야누스
알바이울리아 아풀룸 루마니아 다키아 콤모두스
클루지나포카 나포카 루마니아 다키아 콤모두스
드로베타투르누세베린 드로베타 루마니아 다키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기겐 오이스쿠스 불가리아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트라야누스
류블라냐 콜로니아 율리아 아이모나 슬로베니아 일리리쿰 기원전 35년
데벨트 콜로니아 플라비아 판켄시스 데울툼 불가리아 트라키아 네 명의 황제의 해 이후 베스파시아누스 아우구스타 제13군단의 퇴역병들을 위해 건립

각주편집

  1. 리비우스, Ab urbe condita, 1:11
  2. A.N. Sherwin-White, The Roman Citizenship, 86
  3. 〈Gaius Gracchus | Biography, Facts, Laws, & Significance〉.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4. Nigel., Rodgers (2006). 《Roman Empire》. Dodge, Hazel. London: Lorenz Books. ISBN 0754816028. OCLC 62177842. 
  5. 〈History of Europe - Romans〉. 《Encyclopedia Britannica》 (영어). 2018년 7월 3일에 확인함. 
  6. “Colonia - Livius”. 《www.livius.org》 (영어). 2018년 7월 2일에 확인함. 
  7. “CHRONOLOGIE - Les grandes dates - Narbo Martius” (프랑스어). 2017년 2월 4일에 확인함. 
  8. 프로코피우스 De Aedificiis 3.4.6-7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