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팽로

류팽로(柳彭老, 1554년 ~ 1592년)는 조선 중기의 의병장으로 전남 곡성에서 태어났다.[1]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장으로[2] 임진왜란 당시 고경명의 휘하 장수로 활약했다.[1]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형숙(亨叔)·군수(君壽), 호는 월파(月坡)이다. 개국공신 류만수(柳曼殊)의 후손으로,[3] 아버지는 류경안(柳景顔)이다.[4] 1579년 사미시에 합격하고[5] 158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했으나 출사를 단념하고 옥과에 거주하였다.[1]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4월 20일 양대박, 안영 등 읍민 주민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고경명 휘하의 장수가 되어 제1차 금산 전투에서 싸우다 전사했다.[1]

사후 사간에 추증되고 정문이 세워졌으며[1] 광주(현 광주광역시)의 포충사금산종용당에도 제향되었다.[6] 전라도에서 의병을 일으켰기 때문에 고경명, 양대박과 함께 삼창의라 칭해지기도 한다.[7]

각주편집

  1. 안방준, 《은봉전서》 권8, 〈호남의록〉, 유팽로
  2. 곽재우의 기병 날짜보다 이틀 빠르다(홍대영, 〈月坡 柳彭老의 義兵活動〉(광주교육대학교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2면의 주석 3번).
  3. 홍대영, 앞의 논문, 3면
  4. 고용후, 《청사집》 권2, 증 사간원 사간 유 공 행장
  5. 《만력7년기묘4월초2일사마방목》(萬曆七年己卯四月初二日司馬榜目)
  6. 홍대영, 앞의 논문, 6면
  7. 조경남, 《난중잡록》 2, 임진년 상, 전라 좌우도의 선비들이 의병(義兵)을 일으킬 것을 제창하다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