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에 (일본어: 蒔絵 まきえ[*])칠기의 표면에 옻칠로 그림이나 무늬, 글자 등을 그리고 그것이 마르기 전에 금이나 은 등의 금속 가루를 뿌림(蒔く)으로써 기면에 정착시키는 기법, 또는 그 기법을 이용해 만든 칠기를 말한다.

칠기판 병풍에 그려진 마키에 국화

금은박판을 정착시키는 효몬(平文 (ひょうもん)) 또는 헤이다츠(平脱 (へいだつ))이나 칠기 표면에 홈을 파 금은박을 매립하는 친킨(沈金 (ちんきん)), 야광조개, 전복조개 등을 무늬 모양으로 잘라 비친 것을 붙이거나 매립하는 라덴(螺鈿 (らでん)) 등과 함께 칠기의 대표적 가식 기법 중 하나로, 특히 일본에서 발전하고 범용된 일본 칠기의 대표적인 기법이다. 마키에라는 용어는 헤이안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마키에 (확대 사진)

주요 기법과 그 역사

편집
 
흑랍색 화환문 마키에 나전칼집 대소존. 마키에와 자개로 호화롭게 장식된 대소(우치가타나와키자시)의 존.

공정 상의 분류

편집

마키에는 공정 상의 분류로 크게 나누면, 히라마키에(平蒔絵 ()), 토기다시마키에(研出蒔絵 ()), 타카마키에(高蒔絵 ())의 3가지 기법으로 분류된다. 여기에 토기다시마키에와 타카마키에를 조합한 시시아이토기다시마키에(肉合研出蒔絵 ())를 포함한 4가지 기법이 대표적인 마키에 기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