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안 시대(일본어: 平安時代 へいあんじだい[*], 794년~1185년)는 794년 간무 천황의 헤이안쿄(平安京) 천도부터 가마쿠라 막부 설립까지 약 390년간을 지칭하는 일본 역사 시대 구분 가운데 하나다. 교토에 세운 헤이안쿄가 가마쿠라 막부 설립까지 정치 중심이었기 때문에 헤이안 시대라고 한다.

일본국
日本國
헤이안 시대의 일본

794년~1185년
 

824년경 헤이안 시대 일본의 행정도.
824년경 헤이안 시대 일본의 행정도.
수도헤이안쿄
정치
정치체제율령정치(초기)
섭관정치(중기)
상황정치(후기)
천황
781년 ~ 806년
946년 ~ 967년
1183년 ~ 1198년

간무 천황(초대)
무라카미 천황
고토바 천황(말대)
역사
시대 구분헤이안 시대
 • 시작794년
 • 끝1185년
인문
공용어중세 일본어
데모님일본인
경제
통화일본 냥
종교
종교신불습합

나라 시대에 율령정치를 시작해서 헤이안 초기에는 천황 통치가 이루어졌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귀족, 승려 세력이 커지면서 후지와라씨(藤原氏) 정권 부패가 횡행했다. 정치에 불만을 품은 하급 귀족의 반란이 일어나고 도적이 설치는 시대가 되고 있었다. 이들을 제압하고자 커진 정치세력이 무사 계급이다. 귀족을 대신해 무사 정치가 시작되었고, 이런 상황은 가마쿠라 막부부터 에도 막부시기까지 700년 동안 이어졌다.

개요

편집

헤이안 전기(前期)는 전 시대(나라 시대)부터 중앙집권적인 율령정치를 기본적으로는 계승하면서도 부분적인 수정을 하였다. 하지만, 율령제와 현실 괴리가 커지면서 9세기말 ~ 10세기초에 정부는 세입을 확보하기 위해 율령제 기본이었던 개인별 지배체제를 고쳐, 토지를 대상으로 과세하는 지배체제로 크게 방침을 전환하였다. 이 방침의 전환은 민간의 유력자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이를 현지에 부임하는 필두 고쿠시(國司:수령(受領))가 총괄하게 하여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하는 것이었으며, 이를 왕조국가체제라고 한다. 왕조국가체제기는 보통 고대 말기에 해당하지만, 분권적 성격을 띠는 중세 시작이라고 보는 것도 가능하므로, 고대에서 중세로 과도기라고 생각하고 있다.(일본문학사 연구에서는 중고(中古)라는 표현도 쓴다.) 모노노케, 음양사를 비롯한 미신이 크게 성행하였다.

왕조국가 체제하에서는 국가에서 토지경영이나 백성을 지배하는 권한을 위임받은 유력한 백성(다토(田堵), 묘슈(名主)) 층의 성장이 나타나며, 그들의 통제하기 위한 이 권력위임과 병행하여, 국가에서 군사경찰권을 위임받은 군사귀족층과 무예전문 하급관리 층도 또한 무사로서 성장하였다. 국가권한의 위임과 이에 의한 중앙집권의 지나친 부담의 경감에 의해 중앙정계에서는 정치가 안정되고, 관직이 특정 가업을 담당하는 가계에 세습되는 현상이 진행되어 귀족의 최상위에서는 셋칸케(摂関家)가 확립되었고, 중류귀족에 고정된 계층은 중앙에서는 가업의 전문기능 에 따라 공무를 담당하는 기능관인으로서 행정 실무를, 지방에서는 수령이 되어 지방행정을 담당했다(헤이안 귀족). 이 시기는 셋칸케에 의한 셋칸 정치가 전개되었고, 특정 권문(権門)이 독점적으로 징세권을 얻는 장원(荘園)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단계적으로 증가하여 수령이 징세권을 담당하는 공령(公領)과 함께 세력이 둘로 나뉘었다.

11세기 후반부터는 태상천황(太上天皇)이 지텐노키미(治天の君)가 되어 정무를 돌보는 인세이(院政)가 시작되었다. 인세이의 시작이 중세의 시작이라고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인세이 시기에는 장원의 일원영역적(一円領域的)인 집적과 고쿠가료(国衙領)의 징세 단위화가 진행되어, 장원공령제라고 불리는 체제로 이행하게 된다. 12세기 중반엔 귀족사회 내부의 분쟁을 무력으로 해결하려고 하게 되어, 이에 동원된 무사의 지위가 급속히 상승하였다. 이러는 중에 최초의 무가정권(武家政権)인 다이라씨 정권이 등장하지만, 이 시기의 사회적 모순을 혼자 도맡았기 때문에 얼마 안가 동시다발적으로 전국에 확대된 내란에 의해 붕괴되고 만다. 다이라씨 정권의 붕괴와 함께 중앙정부인 조정과는 별개로 내란을 수습하여 도호쿠의 지배권을 얻은 가마쿠라 막부가 등장하여 헤이안 시대는 막을 내렸다.

외교

편집

대륙에서는 신라와 당나라가 서로 대립하면서 양국은 각각 일본을 자기 세력으로 끌어들이려고 일본에 국교를 요청하였으며, 일본은 견당사(遣唐使)와 견신라사(遣新羅使)를 파견하였다.[1] 마침내 799년 일본은 신라사(新羅使)의 파견을 중단하였다. 당시 일본은 발해와는 계속 왕래해도 신라와는 외교관계를 단절하였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803년 7월에 일본과 교빙하여 우호를 맺고[2] 다음 해 5월에 일본이 황금 300냥을 진상[3] 했으며, 882년 4월에도 일본 국왕이 사신을 보내 황금 300냥과 명주 10개를 신라에게 헌상했다[4] 한다. 발해는 812년 신라가 발해를 공격하자 신라를 적대시하는 반면 일본과 동맹을 추구했다. 헤이안 시대였던 일본은 836년 견신라사 파견을 중단하고 838년에는 견당사 파견을 중단하여 발해에만 견발해사를 파견하였다.[5]

연표

편집

각주

편집
  1. 박복원 (2004). 《일본정보뱅크》. 백산출판사. 136쪽. ISBN 89-7739-627-1. 그러나 대륙에서는 신라와 당나라가 서로 대립하면서 양국은 각각 일본을 자기 세력으로 끌어들이려고 일본에 국교를 요청하였으며, 일본은 견당사(遣唐使)와 견신라사(遣新羅使)를 파견하였다. 사절과 유학생이 많았던 것은 당나라보다 가깝고 항해에 안전한 신라쪽이었다. 
  2. 김부식 (1145). 〈본기 권10 애장왕〉. 《삼국사기》.  哀莊王… 四年 … 秋七月 與日本國 交聘結好 (애장왕…4년(803) 가을 7월에 일본국과 서로 사신을 교환하여 예방하고 우호를 맺었다.) 
  3. 김부식 (1145). 〈본기 권10 애장왕〉. 《삼국사기》.  哀莊王… 五年 … 夏五月 日本國遣使 進黄金三百兩 (애장왕…5년(804) … 여름 5월에 일본국이 사신을 보내와 황금 300량을 바쳤다.) 
  4. 김부식 (1145). 〈본기 권11 헌강왕〉. 《삼국사기》.  憲康王… 八年 夏四月 日本國王遣使 進黃金三百兩 明珠一十箇 (헌강왕 8년(882) 여름 4월에 일본국 왕이 사신을 보내 황금 300량과 야광주[明珠] 10개를 바쳤다.) 
  5. 허홍범 (2006). 《군함 이야기》. 좋은책만들기. 82쪽. ISBN 89-89222-93-1. 당과 교역을 하면서도 항상 견제를 하던 발해는 812년 당의 요구에 따라 신라가 발해원정에 참여하자 신라를 적대시하는 반면 신라에 반감을 가지고 있던 일본과 동맹을 추구했다. 따라서 정세는 신라와 당, 발해와 일본의 이분구도를 이루게 되었다. 일본은 836년 견신라사 파견을 중단하고 838년에는 견당사 파견을 중단하여 발해와의 관계만을 유지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