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안구
대한민국 안양시의 자치구가 아닌 구
만안구(萬安區)는 경기도 안양시 서부에 있는 구이다. 1992년 10월 1일 안양시(安養市) 구제 실시로 일반구로서 신설되었다. 북쪽으로는 서울 금천구, 관악구, 광명시, 동쪽으로는 안양시 동안구, 과천시, 의왕시, 서쪽으로는 안산시, 시흥시 남쪽으로는 군포시에 접한다.
만안구청 | ||
만안구의 위치 | ||
현황 | ||
---|---|---|
국가 | 대한민국 | |
면적 | 36.60 km2 | |
세대 | 103,012 가구(2021[1]) | |
총인구 | 238,811 명(2021[2]) | |
인구밀도 | 6,525 명/km2 | |
행정동 | 14개 | |
법정동 | 3개 | |
구청장 | 김승건 | |
국회의원 | 강득구(더불어민주당) | |
구청 | ||
소재지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28 | |
웹사이트 | http://manan.anyang.go.kr | |
상징 |
명칭 유래편집
조선 정조대왕이 1795년에 만민의 평안을 기원하는 뜻으로 삼성천에 다리를 축조하여 만안교라 칭하였으며, 이 전래를 따라 1989년 5월 1일 안양시 지명위원회에서 구의 명칭을 만안이라 명명하였다.
역사편집
- 1989년 5월 1일 만안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92년 10월 1일 만안출장소를 만안구로 전환하였다.[3]
- 1994년 7월 1일 안양3동을 안양3동·안양9동으로, 박달동을 박달1동·박달2동으로 분동하였다.
행정구역편집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안양1동 | 安養1洞 | 0.67 | 6,811 | 18,773 |
안양2동 | 安養2洞 | 2.85 | 10,071 | 23,662 |
안양3동 | 安養3洞 | 1.02 | 7,434 | 18,056 |
안양4동 | 安養4洞 | 0.31 | 3,146 | 7,036 |
안양5동 | 安養5洞 | 0.50 | 6,417 | 14,311 |
안양6동 | 安養6洞 | 1.47 | 9,156 | 20,506 |
안양7동 | 安養7洞 | 1.04 | 1,757 | 4,289 |
안양8동 | 安養8洞 | 1.09 | 5,295 | 12,080 |
안양9동 | 安養9洞 | 6.42 | 6,678 | 18,139 |
석수1동 | 石水1洞 | 9.22 | 7,310 | 20,311 |
석수2동 | 石水2洞 | 3.43 | 12,722 | 34,415 |
석수3동 | 石水3洞 | 0.70 | 5,725 | 15,793 |
박달1동 | 博達1洞 | 0.93 | 7,384 | 17,124 |
박달2동 | 博達2洞 | 6.89 | 7,291 | 22,701 |
만안구 | 萬安區 | 36.54 | 97,197 | 247,196 |
* 인구는 2015년 1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인구편집
- 안양시 만안구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
연도 | 총인구 | |
---|---|---|
1990년 | 257,779명 | |
1995년 | 262,463명 | |
2000년 | 254,074명 | |
2005년 | 262,286명 | |
2010년 | 254,582명 | |
2015년 | 245,305명 |
교육기관편집
|
교통편집
버스업체편집
업체명 | 대표자 | 위 치 |
---|---|---|
삼영운수 | 신보영 | 일직로 119 (석수동 555-7) |
보영운수 | 신보영 | 창박로 46 (안양동 1063-1) |
업체명 | 대표자 | 위 치 |
---|---|---|
대성운수 | 한경섭 | 예술공원로 150-1 (안양동 1327-10) |
동안운수 | 이계춘 | 일직로 119 (석수동 555-7) |
만안운수 | 한창인 | 일직로 119 (석수동 555-7) |
신안운수 | 황인성 | 능곡로 28 (안양동 736-2) |
편안운수 | 신헌석 | 일직로 119 (석수동 555-7) |
철도편집
각주편집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시조례 제117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