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대한민국의 철도를 운영하는 기업

한국철도공사(韓國鐵道公社, 영어: Korea Railroad Corporation, 약칭 한국철도 또는 철도공사 또는 코레일(영어: KORAIL))는 대한민국국유 철도 영업과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국토교통부 산하의 공기업이다. 본사는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0 (소제동 철도기관 공동사옥)에 있으며 한국철도공사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한국철도공사
Korea Railroad Corporation (KORAIL)
형태준시장형 공기업
약칭
한국철도, 철도공사, 코레일(KORAIL)
창립2005년 1월 1일
창립자대한민국 정부
서비스철도여객(KTX, ITX-청춘,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등)
화물운송
부대사업
복합역사 개발 등
전신철도청
본사 소재지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40 (소제동 철도기관 공동사옥)
매출액5조 8,159억 3,464만원 (2023년 별도회계기준)
영업이익
감소4,743억 1,536만원 (2023년 별도회계기준)
자산총액28조 7,523억 5,599만원 (2023년 별도회계기준)
주요 주주대한민국 정부(국토교통부): 100%
종업원 수
32,380명(2024년 3분기 기준)
자본금10조 9,242억 8,469만원 (2023년 별도회계기준)
슬로건사람·세상·미래를 잇는 대한민국 철도
새로 여는 미래교통 함께 하는 한국철도
마음을 잇다, 당신의 코레일
웹사이트https://info.korail.com/info/index.do
https://www.letskorail.com/

연혁

편집

조직

편집
  • 본사: 7본부 10실 7단 62처
  • 소속기관(현업): 8지역본부 및 4지역관리단 20부속기관
  • 정원: 32,380명 (2024년 3분기)

본사

편집
  • 비서실
  • 감사실
    • 감사기획처
    • 종합감사처
    • 경영감사처
    • 청렴조사처
  • 안전기술총괄본부장
    • 안전본부
      • 안전계획처
      • 산업안전처
      • 시민안전처
      • 안전분석처
      • 환경경영처
      • 비상계획처
      • 관제실
      • 철도교통관제센터
    • 차랑본부
    • 차량계획처
    • 고속차량처
    • 일반차량처
    • 전동차량처
    • 철도차량정비단
    • 차량기술센터
  • 시설본부
    • 시설계획처
    • 선로관리처
    • 건설시설처
    • 철도시설안전합동혁신단
    • 고속시설사업단
  • 전기본부
    • 전기계획처
    • 전철전력처
    • 통신처
    • 신호제어처
    • 고속전기사업단
    • 서울정보통신사무소
  • 부사장
    • 법무실
  • 기획조정본부
    • ESG경영처
    • 전략기획처
    • 기획예산처
    • 경영평가처
    • 재무경영실
      • 재무회계실
      • 자금물자처
      • 상생계약처
    • 회계통합센터
  • 인재경영본부
    • 총무처
    • 인사기획처
    • 인사운영처
    • 노사상생처
    • 복지후생처
    • 인제개발원
  • 디지털 융합본부
    • 디지털기획처
    • 디지털경영처(정보보안센터)
    • IT운영센터
    • 철도연구원
  • 여객사업본부
    • 여객계획처
    • 역운영처
    • 여객서비스처
    • 고객마케팅단
    • 열차운영단
    • 특별동차운영단
  • 물류사업본부
    • 물류계획처
    • 물류마케팅처
    • 물류수송처
  • 광역철도본부
    • 광역계획처
    • 광역마케팅처
    • 광역운영처
  • 신성장 사업본부
    • 신성장기획처
    • 자산운영처
    • 신성장개발처
    • 해외남북철도사업단
      • 국제협력처
      • 해외사업1처
      • 해외사업2처

지역본부

편집

소속기관

편집

철도차량정비단

편집

계열사

편집

스포츠단

편집

사업 분야

편집

시설

편집
  • 영업거리: 4,131.2km (100개 노선) (2022년 12월 31일 기준)
    • 고속선: 595.9km
    • 준고속선: 326.1km[12]
    • 일반선: 3,209.2km
    • 복선거리: 2,885.4km (69.8%)
    • 전철거리: 3,231km (78.2%)

보유 차량

편집

여객객차 및 발전차, 화차는 2022년 기준 나머지는 2024년 기준이다.

철도 문화재

편집

한국철도공사에서는 2011년 2월 7일 "철도문화재 관리 지침"을 제정하여 사(社) 소유의 철도 유물을 철도기념물과 준철도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철도기념물

편집

철도사적으로 보존가치가 있는 철도유물 중에서 한국철도공사의 사장이 지정한 것이다. 다만, 문화재청장이 이미 등록한 문화재는 제외한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제작자
(단체)
지정일 제작시기
1호 증기기관차 터우 5형 철도인재개발원 서울공작창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5년
2호 디젤전기기관차 4102호 대전철도차량정비단 GMC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6년
3호 디젤전기기관차 4201호 대전철도차량정비단 GMC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7년
4호 디젤전기기관차 5025호 대전철도차량정비단 GMC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7년
5호 디젤전기기관차 6230호 대전철도차량정비단 GMC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7년
6호 디젤전기기관차 7001호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현대정공 철차사업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86년
7호   전기기관차 8001호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알스톰 2012년 1월 31일 지정 1972년
8호 새마을동차(PMC)126호(객차335호포함),
새마을디젤동차(PMC)130호
청도역, 대전철도차량정비단 현대정공 철차사업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89년
9호 침대객차(무궁화) 2012년 1월 31일 지정
10호 전호등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0년대
11호 일면 후부 표지등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0년대
12호 입실역사 기록물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7년
13호 심천역사 기록물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5~1957년
14호 기관사 제복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74년
15호 故 김재현 기관사 순직비 대전광역시 동구 판암동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2년
16호   영암선 개통기념비 승부역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5년
17호 산업선전철준공기념비 동해역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75년
18호   경경선 전통기념비 단성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42년
19호   경전선 전통기념비 구. 하동역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8년
20호 모터카 MB8901 대동상공 2012년 1월 31일 지정 1986년
21호 궤도안정기(DTS9201: Dynamic Track Stabilizer) PLASSER & THEURER 2012년 1월 31일 지정 1992년
22호 수동핸드카 승부역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0년
23호 완목식신호기등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0년
24호 통표폐색기(통표, 휴대기, 수수기 포함)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6년
25호 자석식 전화교환기 통감부 철도관리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07년
26호 공전식 전화교환기 철도박물관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25년
27호 완목식신호기(신호레바 포함) 주평역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6년
28호 철도역사용지도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3년
29호 안성천안간 선로준공 종단면도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22년
30호 선로조사도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44년
31호 주주증권(조선철도주식회사) 조선철도 2012년 1월 31일 지정 1924년
32호 주주증권(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 조선경남철도 2012년 1월 31일 지정 1920년
33호 주주증권(경춘철도주식회사) 경춘철도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6년
34호   DEC형 특별동차 1호(대통령 전용) 철도박물관 니혼샤료 2013년 9월 5일 지정 1969년
35호   DEC형 특별동차 2호(경호용) 철도박물관 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85년
36호   경복호(PMC형 특별동차 1호, 대통령 전용) 한국철도차량 2013년 9월 5일 지정
37호 경복호(PMC형 특별동차 2호, 경호용) 한국철도차량 2013년 9월 5일 지정
38호 업무용 동차 철도박물관 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90년
39호   디젤전기기관차 7301호 부산철도차량정비단 현대정공 철차사업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89년
40호 전기기관차 8091호 대우중공업 철차사업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86년
41호   경주역사 경주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36년
42호   불국사역사 불국사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36년
43호 철도안전수송비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74~1975년
44호 통표폐색기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60년대
45호 통표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46호 표지부 선로전환기(신호등 포함)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47호 완목식신호기 일체 삼화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68년
48호 완목식신호기 일체 장생포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50년대
49호 표지부 선로전환기 신호등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50호 정규도 및 표준도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준철도기념물

편집

향후 역사적, 기술적, 교육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것 중에서 한국철도공사의 사장이 지정한 것이다.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제작자
(단체)
지정일 제작시기
1호 객차(비둘기호)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인천공작창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3년
2호 객차(통일호) 국립대전현충원 현대정공 철차사업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81년
3호 수화물용저울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60년대
4호 승차권 날짜기계(일부인) 신성기전 2012년 1월 31일 지정
5호 승차권 개표가위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6호 집표도장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7호 승차권 체송함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8호   김유정역사(구 신남역) 김유정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9년
9호   영월역사 영월역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6년
10호 풍기역 급수탑 풍기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42년
11호   화본역 급수탑 화본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7년
12호   수원역 급수탑 수원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1년
13호   수원역 급수탑 수원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31년
14호 보성역 급수탑 보성역 만철 경성관리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22년
15호 순천역 급수탑 순천역 만철 경성관리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22년
16호 경주역 급수탑 경주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44년
17호 철도시발기념지비 노량진역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75년
18호 영등포역 위령비 철도인재개발원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48년
19호 테르밋트 용접기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20호 톱(침목절단용)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21호 단고마와 켄트게이지 제천역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22호 선로게이지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23호 수동 레일천공기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24호 트렉젝크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1999년
25호 모터카 TMM9401 2021년 고철매각[14] 게이즈마 2012년 1월 31일 지정 1994년
26호 휴대용 전화기(PT-93) 범아공영 2012년 1월 31일 지정
27호 휴대용 전화기(PT-65) 범아실업 2012년 1월 31일 지정 1980년
28호 자석식 전화기 제천역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29호 표지부 선로전환기(신호등 포함) 철도청 2012년 1월 31일 지정
30호 금고(현금보관용) 다케우치 2012년 1월 31일 지정 1970년
31호 규정집(교통부소관국유재산취급규정)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1954년
32호 관내지도(황해도 곡산군) 교통부 2012년 1월 31일 지정
33호   전기동차 1047-1247-1347-1147호[15] 구로차량사업소 현대정공 철차사업부 2013년 9월 5일 지정

2020년 10월경 지정취소

1987년
34호 통지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35호 전령자 완장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60년대
36호 금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37호 개집표 가위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38호 2004년형 승차권 발매단말기(WTIM) 일체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2004년
39호 2004년형 승차권 자동발매기 (ATIM)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2004년
40호   장항선 원죽역 역명판(향나무 포함) 원죽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60년대
41호 북전주역 명판 북전주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68년
42호 가야역 역사 기록서 가야역 2013년 9월 5일 지정 1951~2001년
43호 거제역 역사 기록서 거제역 2013년 9월 5일 지정 1946~2006년
44호 군산역 역사 기록서 군산역 2013년 9월 5일 지정 1912년
45호 간치역 역사 기록서 간치역 2013년 9월 5일 지정 1945년
46호 남포역 역사 기록서 남포역 2013년 9월 5일 지정 1945년
47호 웅천역 역사 기록서 웅천역 2013년 9월 5일 지정 1945년
48호 웅천역 역세권 보고 웅천역 2013년 9월 5일 지정 1957년
49호 경주역 직원 사진첩 경주역 2013년 9월 5일 지정
50호 구열차운전시행절차 교통성 등 2013년 9월 5일 지정 1958년~
51호 열차운전시각표 교통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52년~
52호 규정류찬(제3편 운수)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41~1977년
53호 뱃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50년대
54호 제모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60년대
55호 하양역 화물상옥[16] 하양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40년
56호   덕산역사 덕산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31년
57호   동래역사 구.동래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34년
58호   포항역사 구.포항역[17]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45년
59호   극락강역사 극락강역 교통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59년
60호   명봉역사 명봉역 교통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50년
61호 기장역 철도관사 기장역 조선총독부 철도국 2013년 9월 5일 지정 1935년
62호 함평역 추모비 함평역 교통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51년
63호 모산건널목 사고 위령탑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공수리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71년
64호 일산역장 순직비 일산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79년
65호 보선분소 직원 순직비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67년
66호 선임시설장 직원 순직비 동해시설관리사무소 2013년 9월 5일 지정 2002년
67호 기관사 직원 순직비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99년
68호 통신 직원 순직비 2013년 9월 5일 지정 1950년대
69호 기관사 직원 순직비 교통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46년
70호 이리역 위령탑 익산역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77년
71호 명암터널 위령비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명서리 교통부 2013년 9월 5일 지정 1958년
72호 모터장착 핸드카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73호 토사적재트레일러(SLT9807-9809) 태현 2013년 9월 5일 지정 1999년
74호 초음파 레일탐상기(ASP7072) 도쿄계기 2013년 9월 5일 지정 1981년
75호 토오크렌치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76호 곡선정정계산기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1970년
77호 대곡자 철도청 2013년 9월 5일 지정
78호 휴대용전화기 상자 제작도 교통성 등 2013년 9월 5일 지정 1958년~
79호 한국교통동란기(속편) 교통사편찬위원회 2013년 9월 5일 지정 1953, 1956년
80호 철도창설 제59주년 기념 종합체육대회 교통부부우회 2013년 9월 5일 지정 1958년

운행 차량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만을 기술하였다.

열차 내 안내방송

편집

철도청 시절이었던 1990년대까지는 종착역을 제외하면 별도의 음악 없이 육성으로만 녹음된 자동안내방송이 나왔으며 카세트테이프 방식으로 송출되었다. 2002년 이윤정, 브랜든 성우의 투입과 함께 1호선에 정차역, 환승역 음악이 처음 적용되었고 2003년 남은 국철, 3호선, 4호선, 분당선 전 구간에 성우 변경과 정차역, 환승역, 출발역 음악이 적용되었다. 철도청은 2002년 이후 카세트테이프 방식의 자동안내방송을 중단하였고, 2003년 전 구간 안내방송을 CD로 재녹음한 이래 CD 안내방송만을 사용했다. 2010년 이후에는 자동안내방송 시스템으로 방송한다.

1993년부터 2003년까지는 김수희 성우가 정미나 성우가 광역전철과 통일호에서 각각 한국어와 영어 안내방송을 맡았다. 2002년 1호선 한정으로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의 안내방송으로 시험 변경되었고, 다음 해인 2003년 국철, 분당선, 3호선, 4호선 등 철도청 관할 광역전철 전 노선이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의 안내방송으로 변경되었다. 철도청은 KTX가 개통한 2004년에는 무궁화호, 새마을호의 안내방송까지 이윤정 성우와 브랜든 성우로 바꾸었는데 이는 고속철도 개통을 앞두고 외국인 관광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영어 방송을 기존 한국인 성우에서 원어민으로 변경하는 과정에서의 교체였다. 통일호 종운 이후 남은 통근열차에는 김수희, 유미나 성우의 안내방송이 2009년까지 적용되었다.

출발역, 정차역, 환승역, 종착역 시그널 음악

편집
  • 출발역
  • 정차역
    • KTX: California Vibes[21]
    • 광역철도, ITX-청춘: 미적용
    •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누리로[22]: 어린달
  • 환승역
    • 광역철도: 얼씨구야
    • KTX, 무궁화호, 누리로,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 청춘, ITX-마음: 미적용
  • 종착역
    • KTX
      • 방송 전: Same road same reason[23]
      • 방송 후: 한국철도공사 로고송[24][25]+Happiness[26][27]
    • 광역철도, ITX-청춘: 한국철도공사 로고송
    •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누리로, ITX-마음: 날자꾸나

과거

편집
  • 출발역
    • 광역철도: 4음징글(~2002년), Last Mattinata (2003년~2010년)
    • KTX: Peaceful Rain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 꽃의 동화 (2006년~2008년), Let it be (2008년~2010년)
    • 무궁화호: What will I do (2002년~2004년), Dreamers (2008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 새마을호: Looking for you (2001년~2004년), Outlook (2004년~2008년), Dreamers (2008년~2011년)
    • 통일호, 통근열차: 육성 방송, 4음징글
  • 정차역
    • 광역철도: 미적용
    • KTX: 4음 징글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2007년), 캐논변주곡 (2008년~2010년)
    • 무궁화호: 육성방송 (~2007년), 회전목마 (2008년~2010년),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1악장 (2012년~2014년)
    • 새마을호: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1악장 (2012년~2014년)
    • 통일호, 통근열차: 육성 방송, 자동안내방송
  • 환승역
    • 광역철도: 육성방송, 뻐꾸기 효과음 (1993년~2003년)[28] 모차르트 미뉴에트 (2002년~2010년)[29]
    • KTX, 무궁화호, 새마을호, 통일호, 통근열차: 미적용
  • 종착역
    • 광역철도: 터키행진곡 (1993년~2003년)[30] 모차르트 교향곡 17번곡 (2002~2010), 사랑을 전하세요 코레일(2008~2010)[31]
    • KTX: Peaceful Rain (2004년), 가야금 산조 (2005년~2007년), 캐논 변주곡 / Dreamers (2008년~2010년)
    • 무궁화호: What will I do (2002년~2004년), Let it be (2008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 새마을호: Looking for you (2001년~2007년), Let it be (2008년~2012년), 국민의 철도 코레일 (2012년~2014년)
    • 통일호, 통근열차: 육성방송, 자동안내방송

성우

편집

과거

편집
  • 한국어
    • 광역철도: 김수희 (1993년~2003년)[32], 이윤정 (2002년~2010년)[33] 한수림 (2008년~2010년)[34]
    • 무궁화호: 이선 (2000년~2004년), 이윤정 (2004년~2012년)
    • 새마을호: 이선 (2000년~2004년), 이윤정 (2004년~2007년)
    • 누리로: 이윤정(2009년~2016년 11월)
    • 통일호 / 통근열차: 김수희 (1990년대~ 2009년)[35]
  • 영어
    • 광역철도: 조미나 (1993년~2003년)[36], 브랜든 (2002년~2010년)[37]
    • 무궁화호: 브랜든 (2000년~2014년)
    • 새마을호: 브랜든 (2000년~2014년)
    • 누리로: 브랜든 (2009년~ 2016년 11월)
    • 통일호 / 통근열차: 조미나 (1990년대~2009년)

열차 접근음

편집
  • 상행선
    • 광역/도시철도[38]: 실로폰
    • ITX 청춘[39]: 실로폰
    • 수도권 전철 : 실로폰 멜로디
  • 하행선
    • 광역/도시철도[40]: 트럼펫
    • ITX 청춘[41]: 트럼펫
    • 수도권 전철 : 트럼펫 멜로디

사옥

편집

2006년 12월 착공한 한국철도공사 대전 본사는 2009년 8월 완공되었으며, 쌍둥이 빌딩 형식으로 서관에 한국철도공사, 동관에 한국철도시설공단(現 국가철도공단)이 입주하였다. 본사는 연면적 23,507m2이며, 지하 4층, 지상 28층 규모이다.

역대 사장

편집
  • 임기는 3년이다.
대수 이름 임기 비고
1 신광순 2005년 1월 1일 ~ 2005년 5월 7일 제24대 철도청장
2 이철 2005년 6월 29일 ~ 2008년 1월 25일 前 제12~14대 국회의원 (서울 성북 갑)
대행 박광석 2008년 2월 ~ 2008년 6월
3 강경호 2008년 6월 11일 ~ 2008년 11월 27일 서울메트로 사장
대행 심혁윤 2008년 11월 ~ 2009년 3월
4 허준영 2009년 3월 19일 ~ 2011년 12월 22일 제12대 경찰청장
대행 팽정광 2011년 12월 ~ 2012년 2월 의정부경전철 대표이사
5 정창영 2012년 2월 6일 ~ 2013년 6월 17일 감사원 사무총장
대행 팽정광 2013년 6월 18일 ~ 2013년 10월 1일 前 의정부경전철 대표이사
6 최연혜 2013년 10월 2일 ~ 2016년 3월 14일 제20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첫 번째 여성 사장
철도청 차장
前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대행 김영래 2016년 3월 15일 ~ 2016년 5월 9일 前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前 한국철도차량엔지니어링 이사장
7 홍순만 2016년 5월 10일 ~ 2017년 8월 4일 인천광역시 경제부시장
대행 유재영 2017년 8월 5일 ~ 2018년 2월 5일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8 오영식 2018년 2월 6일 ~ 2018년 12월 11일 前 제16대 국회의원 (전국구)
前 제17, 19대 국회의원 (서울 강북 갑)
대행 정인수 2018년 12월 12일 ~ 2019년 3월 26일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9 손병석 2019년 3월 27일 ~ 2021년 7월 16일 국토교통부 철도국장
前 국토교통부 제1차관
대행 정왕국 2021년 7월 17일 ~ 2021년 11월 25일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10 나희승 2021년 11월 26일 ~ 2023년 3월 3일 前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원장
대행 고준영 2023년 3월 4일 ~ 2023년 7월 23일 前 한국철도공사 기술본부장
前 한국철도공사 부사장
11 한문희 2023년 7월 24일 ~ 현재 부산교통공사 사장

경영현황

편집

철도공사 출범이후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 2007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으로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나 2013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무산되면서 다시 당기순손실로 전환되었다.

2015년 4월 호남고속철도 1단계 구간 개통으로 흑자전환되었다가 2016년 수서고속철도의 운영사 SR 출범으로 다시 적자로 전환되었고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1조원이라는 사상 최대규모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그러자 코레일측은 2011년 12월이후 동결된 철도요금을 인상해달라고 관계부처에 요청했다.[42] 국토교통부는 동의하나 기획재정부는 물가상승 억제를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재무제표

편집

(단위: 억원)

구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자산 140,554 198,122 178,690 246,441 245,937 284,525 287,523
부채 57,994 96,579 132,078 174,407 181,452 195,782 203,585
자본 82,560 101,543 46,611 72,033 64,485 88,743 83,938

손익계산서

편집

(단위: 억원)

구분 2005년 2010년 2015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매출액 34,029 36,825 52,207 44,004 51,427 54,557 58,159
영업이익 (5,380) (5,287) 1,143 (11,684) (8,660) (4,363) (4,743)
당기순이익 (6,069) 3,807 5,776 (12,380) (11,081) (3,104) (5,42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이승선 기자 (2005년 1월 5일). “4조 5천억 부채 안고 한국철도공사 출범”. 《프레시안》. 
  2. 이문차량사업소 구내 위치
  3. 영등포역 구내 위치
  4. 대전역 구내 위치
  5. 제천역 구내 위치
  6. 익산역 구내 위치
  7. 광주역 구내 위치
  8. 동대구역 구내 위치
  9. 부산역 구내 위치
  10. 경주역 구내 위치
  11. “역 운영 현황, 한국철도공사 홈페이지”. 2016년 8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4일에 확인함. 
  12. 중부내륙선,경강선,중앙선 청량리~도담구간
  13. 한국철도공사 소유, (주)SR 임대
  14. “온비드 공매물건 매각 l 고철및금속폐기물 l 헌 전철보수장비 1대”. 202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5. 2021년 11월 15일 고철 매각되었다. 온비드
  16. 현재 한국철도공사가 복선공사로 철거시켜 볼 수 없음
  17. 도로공사로 인하여 철거됨
  18. ITX-새마을과 동일한 등급이다.
  19. 감성밴드 나봉에서 편곡한 것이다.
  20. 일본의 그룹 DEPAPEPE에서 편곡한 버전.
  21. 캐나다가수스티브 바라캇이 연주한 곡이고, 2000년 11월 18일에 발매된 A Love Affair 앨범에 수록되었다.
  22. 2016년 12월부터 적용
  23. 영국가수스무스 재즈 밴드어쿠스틱 알케미가 부른 곡이고, 어쿠스틱 알케미의 12번째 앨범인 Arcanum 앨범에 수록되었다.
  24. 승무원 추가 방송으로 인해 듣기는 쉽지 않다.
  25. 예외적으로 서대전역과 전주역 종착 안내방송은 ID송이 송출된다.
  26. 대한민국가야금 연주자인 이랑이 연주한 곡이고, 2006년 12월 27일에 발매된 1집 앨범인 행복만들기 앨범에 수록되었다.
  27. 대부분의 종착역에서는 이랑의 편곡 독주버전이 나오지만, 예외적으로 서대전역과 전주역 종착 열차에서는 원곡 합주버전이 나온다.
  28. 1호선은 2002년 모차르트 미뉴에트로 변경, 뻐꾸기 효과음은 국철(용산~성북)과 분당선에만 적용.
  29. 국철은 2003년 초, 4호선은 2003년 7월, 분당선은 2003년 9월, 3호선과 2003년 말 변경.
  30. 1호선은 2002년 모차르트 교향곡 17번곡으로 변경.
  31. 2008년부터 2010년까지는 기존의 모차로트 교향곡 17번곡과 코레일 자체제작 로고송이 혼용.
  32. 1호선은 2002년 이윤정 성우로 변경
  33. 국철, 3호선, 4호선, 분당선은 2003년 변경
  34. 2008년~2010년은 이윤정, 한수림 성우 방송 혼용
  35. 통일호 운행 중단 이후 통근열차에서도 '통일호' 로 방송이 나왔다.
  36. 1호선은 2002년 브랜든 성우로 변경
  37. 국철, 3호선, 4호선, 분당선은 2003년 변경
  38. 1호선 소요산 방향, 3호선 대화 방향, 4호선 당고개 방향, 경강선 판교 방향, 경의·중앙선 문산 방향, 경춘선 청량리 방향, 수인분당선 청량리 방향, 동해선 부전 방향이다.
  39. 용산 방향
  40. 1호선 인천·신창·서동탄 방향, 3호선 오금 방향, 4호선 오이도 방향, 수도권 전철 경강선 여주 방향, 경의·중앙선 지평·서울 방향, 경춘선 춘천 방향, 수인분당선 고색 방향, 수인분당선 인천 방향, 동해선 태화강 방향이다.
  41. 춘천 방향
  42. 송종호 기자 (2024년 7월 14일). “[단독] 13년째 멈춘 철도요금…코레일 노선 24개 중 19개 적자”. 《서울경제》.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