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가니즈 단괴

망간 단괴(-團塊, Manganese nodule)는 심해저에서 발견되는 망가니즈를 주성분으로 하는 덩어리를 말하는 것이다.

형태

편집

모양은 둥글고 흑갈색이며, 크기는 몇 mm에서 몇 cm가 보통이지만, 2m에 이르는 거대한 것도 있으며, 보통 수심 4,000m 이하의 심해저 바닥에서만 발견된다.

특징

편집

망간단괴 속에는 망간·구리·니켈·코발트 등의 원소가 있다. 따라서 미래의 자원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며, 만약 현재의 소비량대로 망간 단괴를 소비할 경우, 망간은 2400년, 구리는 640년, 니켈은 1600년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개발

편집

대한민국은 1990년대 초반부터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서는 2006년 우선채광지역(4만km2) 선정, 2008년 시험채광시스템 개발, 2009년 실해역 통합채광 실증시험을 성공시켰으며, 2010년 1차 채광지역으로 2만km2를 선정한 바 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망간단괴"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