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기스토테리움

메기스토테리움(Megistotherium)은 신생대 마이오세 전기부터 중기까지 지금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널리 서식했던 포유류이다.[1] 속명의 뜻은 그리스어 μέγιστον(mégiston), '가장 큰'과 θήριον(thēríon), '짐승'이 합쳐져 만들어진 '가장 큰 짐승'을 뜻한다.[2]

메기스토테리움

생물 분류ℹ️

발견과 특징

편집
 
메기스토테리움의 복원도

메기스토테리움의 화석은 리비아에서 최초로 발견되었고, 이후 이집트, 케냐, 우간다, 나미비아 등의 지역에서 발견되었다,몸에 비해 거대한 두개골을 가지고 있었고, 몸길이는 최대 66.4 cm (2 ft 2.1 in)이고 체중은 500 kg (1,100 lb)로 추정된다.[3]

서식지

편집

메기스토테리움은 현재의 사하라 사막 지역에서 주로 서식했다. 지금과 달리, 메기스토테리움이 생존했던 당시에는 사하라의 대부분 지역이 초원인데다가 강우량도 많았고, 호수연못은 대규모 동물 무리들에게 적당량의 을 공급하여 생물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었기 때문에 무리 없이 살아갈 수 있었다.[4]

각주

편집
  1. McKenna, Malcolm C.; Bell, Susan K. (1997). 《Classification of Mammals Above the Species Level》.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1012-9. 2015년 3월 16일에 확인함. 
  2. Morales, Jorge; Pickford, M.; Salesa, Manuel J. (2008). “Creodonta and Carnivora from the Early Miocene of the Northern Sperrgebiet, Namibia”. 《Memoir of the Geological Survey of Namibia》 20: 291–310. 
  3. Solé, F.; Lhuillier, J.; Adaci, M.; Bensalah, M.; Mahboubi, M.; Tabuce, R. (2013). “The hyaenodontidans from the Gour Lazib area (?Early Eocene, Algeria): implications concerning the systematics and the origin of the Hyainailourinae and Teratodontinae”. 《Journal of Systematic Palaeontology》 12 (3): 303–322. doi:10.1080/14772019.2013.795196. S2CID 84475034. 
  4. Matthew R. Borths; Nancy J. Stevens (2017). “The first hyaenodont from the late Oligocene Nsungwe Formation of Tanzania: Paleoecological insights into the Paleogene-Neogene carnivore transition”. 《PLOS ONE》 12 (10): e0185301. Bibcode:2017PLoSO..1285301B. doi:10.1371/journal.pone.0185301. PMC 5636082. PMID 2902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