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사 (컴퓨터 그래픽스)

(메사3D에서 넘어옴)

메사3D(Mesa3D) 및 메사 3D 그래픽 라이브러리라고도 불리는 메사(Mesa)는 OpenGL, 벌컨 및 기타 그래픽 API 사양의 오픈 소스 구현이다. 메사는 이러한 사양을 공급업체별 그래픽 하드웨어 드라이버로 변환한다.

메사
개발자현재: Igalia, Collabora, Valve, Intel, Google, AMD, VMware
이전: Tungsten Graphics[1]
안정화 버전
24.1.1[2]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2024년 6월 5일(8일 전)(2024년 6월 5일)
미리보기 버전
24.1.0-rc4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2024년 5월 15일(29일 전)(2024년 5월 15일)
저장소https://gitlab.freedesktop.org/mesa/mesa
운영 체제크로스 플랫폼
종류그래픽스 라이브러리
웹사이트https://www.mesa3d.org

가장 중요한 사용자는 각각의 하드웨어에 대해 인텔AMD가 주로 개발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두 개의 그래픽 드라이버이다(AMD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AMD 카탈리스트를 통해 메사 드라이버 라데온 및 라데온SI를 홍보하고 인텔은 메사 드라이버만 지원함). 독점 그래픽 드라이버(예: 엔비디아 지포스 드라이버 및 카탈리스트)는 모든 메사를 대체하여 자체 그래픽 API 구현을 제공한다. Nouveau라는 메사 엔비디아 드라이버를 작성하기 위한 오픈 소스 노력은 대부분 커뮤니티에서 개발되었다.

게임과 같은 3D 애플리케이션 외에도 최신 디스플레이 서버(X.org의 글래머 또는 웨이랜드의 웨스턴)는 OpenGL/EGL을 사용한다. 따라서 모든 그래픽은 일반적으로 메사를 통과한다.

메사는 freedesktop.org에서 호스팅하며 1993년 8월 Brian Paul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그는 여전히 이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메사는 이후 널리 채택되었으며 현재 OpenGL 사양을 관리하는 크로노스 그룹의 그래픽 하드웨어 제조업체를 포함하여 전 세계의 다양한 개인 및 기업의 수많은 기여를 포함하고 있다. 리눅스의 경우 개발도 부분적으로 크라우드 펀딩에 의해 주도되었다.[3]

각주

편집
  1. Marshall, David (2008년 12월 16일). “VMware's year end acquisition of Tungsten Graphics”. InfoWorld. 2011년 8월 6일에 확인함. 
  2. "[ANNOUNCE mesa 24.1.1"]; 저자 이름: Eric Engestrom; 출판 날짜: 2024년 6월 5일; 확인한 날짜: 2024년 6월 6일.
  3. “Improve OpenGL support for the Linux Graphics Drivers - Mesa”. 《Indiegogo》. 2013년 12월 11일. 2015년 1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