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대각선
기하학에서, 다면체의 면대각선(面對角線, 영어: face diagonal)은 어떤 면의 대각선이다. 다면체의 내부를 지나가는 입체대각선(space diagonal)과 반대 개념이다.[1]

선분 AC(빨간색)는 면대각선, 선분 AC'(파란색)은 입체대각선.
직육면체는 12개의 면대각선(여섯 면에 2개씩)이 있고, 4개의 입체대각선이 있다.[2] 직육면체에서 길이가 다른 면대각선은 최대 3개이다. 3쌍의 면이 합동이고, 어느 면의 두 면대각선은 길이가 같기 때문이다. 직육면체의 입체대각선은 길이가 모두 같다. 직육면체의 모서리 길이가 a, b, c일 때, 각 직사각형 면의 가로와 세로는 (a, b), (a, c), (b, c)이다. 그래서 세 면대각선의 길이는 이다.
모서리의 길이가 a인 정육면체에서, 모든 면대각선의 길이는 이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Gullberg, Jan (1997), 《Mathematics: From the Birth of Numbers》, W. W. Norton & Company, 396쪽, ISBN 9780393040029.
- ↑ Mullan, Edward C. K. (2003), 《New Maths in Action》, Nelson Thornes, 220쪽, ISBN 9780748765195.
- ↑ Messler, Robert W. Jr. (2010), 《The Essence of Materials for Engineers》, Jones & Bartlett Publishers, 56쪽, ISBN 9780763778330.
- ↑ Sutton, Daud (2002), 《Platonic & Archimedean Solids》, Wooden Books, Bloomsbury Publishing, US, 55쪽, ISBN 9780802713865.
이 글은 기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