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 명원제

(명원제에서 넘어옴)

위 태종 명원황제 탁발사(魏 太宗 明元皇帝 拓跋嗣, 391년 ~ 423년 12월 24일(음력 11월 6일), 재위: 409년 ~ 423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의 제2대 황제로, 선비목말(木末)이다. 초대 황제 탁발규(도무제)의 장남으로, 자신의 이복동생인 탁발소가 도무제를 살해하고 황위 찬탈을 시도하자 이를 진압하여 탁발소를 죽이고 제위에 올랐다. 그의 치세에 북위의 영토는 아버지 도무제나 장남 태무제(탁발도)의 치세만큼 확장되지는 않았으나, 그는 화북 지방을 넘어 나라를 안정화시키는 데 기여하였고, 조정의 중신(重臣)들을 만나 그들의 조언을 듣고서 최종적인 결정을 내리는 전통을 시작하였다. 그는 역사가들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지적이고 이성적인 군주로 여겨졌다.[1]

위 명원제
魏 明元帝
북위의 제2대 황제
재위 409년 11월 10일 ~ 423년 12월 24일
전임 도무제 탁발규
후임 태무제 탁발도
이름
사(嗣)
별호 선비 목말(木末)
묘호 태종(太宗)
시호 황제(明元皇帝)
연호 영흥(永興, 409년 ~ 413년)
신서(神瑞, 414년 ~ 416년)
태상(泰常, 416년 ~ 423년)
신상정보
출생일 392년[1]
출생지 운중
사망일 423년 12월 24일(양력)
사망지 평성 서궁(西宮)
왕조 북위
가문 탁발씨
부친 도무제 탁발규
모친 유(劉)귀인(선목황후)
형제자매 10남 1녀 중 장남
이복 남동생 탁발소(탁발수락발), 탁발희, 탁발요, 탁발수, 탁발처문, 탁발련(탁발일련), 탁발려, 탁발혼(拓跋渾), 탁발총(拓跋聰)
동복누나 화음공주
배우자 요(姚)부인(소애황후), 두(杜)귀빈(貴嬪)(밀황후), 대(大)모용(慕容)부인, 모용(慕容)부인, 윤(尹)부인
자녀 7남 4녀
아들 탁발도(태무제), 탁발비, 탁발미, 탁발범, 탁발건, 탁발숭, 탁발준
양책공주, 시평공주, 무위공주, 농서공주
종교 불교
묘소 운중금릉(雲中金陵)

생애

편집

391년, 북위 도무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409년, 아버지 도무제가 자신의 이복동생 탁발소(拓跋紹, 둘째 아들)에 의해서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탁발소를 토벌해 즉위한다.

전란에 항상 치세를 보내, 423년, 송과의 전쟁 중에 사망했다.

가계

편집

태평왕 이하는 태상 7년(422년) 4월 갑술에 봉해졌고, 모두 대장군에 임명되었다. 한 달 후 태평왕은 황태자에 봉해졌다.

기년

편집
명원제 원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서력
(西曆)
409년 410년 411년 412년 413년 414년 415년 416년 417년 418년
간지
(干支)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무오(戊午)
연호
(年號)
영흥(永興)
원년
2년 3년 4년 5년 신서(神瑞)
원년
2년 3년
태상(泰常)
원년
2년 3년
명원제 11년 12년 13년 14년 15년
서력
(西曆)
419년 420년 421년 422년 423년
간지
(干支)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연호
(年號)
4년 5년 6년 7년 8년

각주

편집
전임
아버지 도무제 탁발규
제2대 북위의 황제
409년 ~ 423년
후임
장남 태무제 탁발도
북위
403년 ~ 409년
북위황태자
409년 ~ 409년 11월 10일
후임
(13년 후) 장남 탁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