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길
만주의 역사 | ||||||||||||||||||||
---|---|---|---|---|---|---|---|---|---|---|---|---|---|---|---|---|---|---|---|---|
선사 시대 | ||||||||||||||||||||
고조선 | 동호 | 예맥 | 숙신 | |||||||||||||||||
연 | 요서군 | 요동군 | ||||||||||||||||||
진 | 요서군 | 요동군 | ||||||||||||||||||
전한 | 요서군 | 요동군 | 흉노 | |||||||||||||||||
한사군 | 부여 | |||||||||||||||||||
후한 | 요서군 | 오환 | 선비 | 읍루 | ||||||||||||||||
요동군 | 고구려 | |||||||||||||||||||
현도군 | ||||||||||||||||||||
위 | 창려군 | 공손군벌 | ||||||||||||||||||
요동군 | ||||||||||||||||||||
현도군 | ||||||||||||||||||||
서진 | 평주 | |||||||||||||||||||
모용선비 | 우문선비 | |||||||||||||||||||
전연 | 평주 | |||||||||||||||||||
전진 | 평주 | |||||||||||||||||||
후연 | 평주 | |||||||||||||||||||
북연 | ||||||||||||||||||||
북위 | 영주 | 거란 | 고막해 | 실위 | 두막루 | |||||||||||||||
동위 | 영주 | 물길 | ||||||||||||||||||
북제 | 영주 | |||||||||||||||||||
북주 | 영주 | |||||||||||||||||||
수 | 유성군 | 말갈 | ||||||||||||||||||
연군 | ||||||||||||||||||||
요서군 | ||||||||||||||||||||
당 | 영주 | 송막도독부 | 요악도독부 | 실위도독부 | 안동도호부 | 발해 | 흑수도독부 | |||||||||||||
오대 십국 | 영주 | 거란 | 발해 | |||||||||||||||||
요 | 상경도 | 동란국 | 여진 | |||||||||||||||||
중경도 | 정안국 | |||||||||||||||||||
동경도 | ||||||||||||||||||||
금 | 동경로 상경로 | |||||||||||||||||||
북경로 함평로 | ||||||||||||||||||||
동요국 | 대진국 | |||||||||||||||||||
원 | 요양행성 | |||||||||||||||||||
명 | 요동도사 | 노아간도지휘사사 | ||||||||||||||||||
건주 | 해서 (후룬 구룬) |
야인 | ||||||||||||||||||
후금 | ||||||||||||||||||||
청 | 만주 | |||||||||||||||||||
동삼성 | 러시아 외만주 | |||||||||||||||||||
중화민국 (동삼성) |
||||||||||||||||||||
만주국 | ||||||||||||||||||||
소련 점령하 만주 | ||||||||||||||||||||
중화민국 (중국 동북 지역) |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동북 지역) |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러시아 극동) |

물길(勿吉)은 쑹화강 유역에 거주하였던 부족이다. 5세기에 읍루의 세력이 약화되자 물길(勿吉)이 쑹화강 (松花江) 유역을 지배하였다. 6세기 중엽 물길의 세력 또한 약화되었다.
말갈(靺鞨)이라는 명사가 중국 사서에 처음 나온 것은 남북조 말기이다. 《북제서》무성제기(武成帝紀)에 기록하기를, "하청 2년(563)에 실위·고막해·말갈·거란(契丹)이 모두 사신을 보내 조공을 하였다(河淸二年, 室韋、庫莫奚、靺鞨、契丹幷遣使朝貢。)라고 하였다. 《북사》물길전에 의하면, "물길은 일설에 말갈이라 한다(勿吉, 一曰靺鞨。)라고 하였으니, 물길과 말갈은 바로 한 민족 족칭의 두 가지 각이한 사임을 판정할 수 있거니와, 물길이 정식 말갈의 전칭(轉稱)이 된 것은 수(隋)나라가 건립된 이후이다.[1]
종족은 다른 말갈 부족과 같은 퉁구스 민족으로 여겨지며, 언어 또한 퉁구스어를 사용했을 것을 추정된다. 풍속은 중국 삼국시대(3세기)에는 모계 사회였지만 남북조시대(5세기)에는 부계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일정한 거주지가 없어 동굴에서 살았다.
물길은 북위, 동위에 빈번히 조공하고 주로 말을 헌상하였다. 부여는 물길의 압박으로 494년 고구려에 항복하였다.
관련 항목편집
각주편집
- ↑ 李德山(1995), 中國東北古民族發達史, 中国社会科学出版社, 38~39쪽
이 글은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