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 쿼크

물리학의 기본 입자

바닥 쿼크(영어: bottom quark) 또는 아름다운 쿼크(beauty quark)는 쿼크 3세대로 전하는 −1/3 e이다.

바닥 쿼크
구성기본 입자
통계페르미온
세대3 세대
상호작용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력, 중력
기호
b
반입자바닥 반쿼크 (
b
)
이론고바야시 마코토마스카와 도시히데 (1973)[1]
발견리언 레더먼 외. (1977)[2]
질량4.18+0.03
−0.03
 GeV/c2
(MS 방식)[3]
4.65+0.03
−0.03
 GeV/c2
(1S 방식)[3]
붕괴 입자맵시 쿼크, 또는 위 쿼크
전하1/3 e
색전하Yes
스핀1/2
약한 아이소스핀LH: −1/2, RH: 0
약한 초전하LH: 1/3, RH: −2/3

모든 쿼크는 전약력양자 색역학에 의해 비슷한 방식으로 설명되나, 바닥 쿼크는 예외적으로 낮은 질량을 가진 쿼크로 전이되는 비율이 낮다. 바닥 쿼크는 꼭대기 쿼크 붕괴에서 거의 대부분 생성되며, 힉스 보손 붕괴에서 자주 생성되기 때문에 유명하다.

이름과 역사

편집

바닥 쿼크는 1973년에 처음으로 물리학자 고바야시 마코토마스카와 도시히데CP 대칭성 깨짐을 설명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도입되었다.[1] "바닥"이라는 이름은 1975년에 하임 하라리가 붙였다.[4][5]

바닥 쿼크는 1977년에 리언 레더먼이 이끄는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E288 실험팀에서 가속기가 바닥 쿼코늄을 생성했을 때 발견되었다.[2][6][7] 고바야시와 마스카와는 CP 대칭성 깨짐에 대한 설명으로 2008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8][9]

바닥 쿼크가 발견 되었을 때, 바닥 쿼크의 이름을 "아름다움"(beauty)으로 정하려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꼭대기"와 "바닥"이 "위""아래"에 유사해서 "바닥"이 주로 사용되었다.

고유한 특징

편집

바닥 쿼크의 정지 질량은 약 4.2 GeV/c2으로[3] 양성자 질량의 네 배보다 크고, 일반적으로 "가벼운" 쿼크들의 몇 천 배 정도이다.

비록 바닥 쿼크의 거의 대부분이 꼭대기 쿼크에서나 꼭대기 쿼크로 전이하지만, 바닥 쿼크는 약한 상호작용을 통해 위 쿼크맵시 쿼크로 붕괴할 수 있다. CKM 행렬의 원소 VubVcb는 둘 다 붕괴가 억제될 때의 속도를 정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바닥 입자들의 평균 수명(~10−12 s)이 맵시 입자의 평균 수명(~10−13 s)보다 길지만 기묘 입자의 수명(~10−10에서 ~10−8 s)보다는 짧게 만든다.[10]

높은 질량과 낮은 전이율의 조합은 바닥 쿼크를 지니는 실험적인 충돌 부산물이 B-표지라고 하는 기술을 이용해서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쉽게 만드는 고유한 특징을 준다. 이러한 이유로, 바닥 쿼크를 지니는 중간자는 예외적으로 질량에 비해 수명이 길고, CP 대칭성 깨짐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하기 쉬운 입자이다. 이런 종류의 실험은 BaBar, 그리고 LHCb 실험에서 실행되었다.

바닥 쿼크를 지닌 강입자

편집

아래의 강입자는 바닥 쿼크를 지니고 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M. Kobayashi; T. Maskawa (1973). “CP-Violation in the Renormalizable Theory of Weak Interaction”. 《Progress of Theoretical Physics49 (2): 652–657. Bibcode:1973PThPh..49..652K. doi:10.1143/PTP.49.652. 2008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12일에 확인함. 
  2. “Discoveries at Fermilab – Discovery of the Bottom Quark” (보도 자료). Fermilab. 1977년 8월 7일. 2009년 7월 24일에 확인함. 
  3. J. Beringer (Particle Data Group); 외. (2012). “PDGLive Particle Summary 'Quarks (u, d, s, c, b, t, b′, t′, Free)' (PDF). Particle Data Group. 2013년 5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8일에 확인함. 
  4. H. Harari (1975). “A new quark model for hadrons”. 《Physics Letters B57 (3): 265–269. Bibcode:1975PhLB...57..265H. doi:10.1016/0370-2693(75)90072-6. 
  5. K.W. Staley (2004). 《The Evidence for the Top Qua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3쪽. ISBN 978-0-521-82710-2. 
  6. L.M. Lederman (2005). “Logbook: Bottom Quark”. 《Symmetry Magazine2 (8). 4 October 200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7. S.W. Herb; Hom, D.; Lederman, L.; Sens, J.; Snyder, H.; Yoh, J.; Appel, J.; Brown, B.; Brown, C.; Innes, W.; Ueno, K.; Yamanouchi, T.; Ito, A.; Jöstlein, H.; Kaplan, D.; Kephart, R.; 외. (1977). “Observation of a Dimuon Resonance at 9.5 GeV in 400-GeV Proton-Nucleus Collisions”. 《Physical Review Letters39 (5): 252. Bibcode:1977PhRvL..39..252H. doi:10.1103/PhysRevLett.39.252. 
  8. 2008 Physics Nobel Prize lecture by Makoto Kobayashi
  9. 2008 Physics Nobel Prize lecture by Toshihide Maskawa
  10. Nave, C. R. “Transformation of Quark Flavors by the Weak Interaction”. 《HyperPhylsics》. 

추가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