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般若波羅蜜多心經輯解)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경이다. 2018년 10월 18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427호로 지정되었다.[1]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427호 (2018년 10월 18일 지정) |
---|---|
수량 | 1책 |
시대 | 조선시대 1568년 |
소유 | 최현 |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나루터로 4길 |
좌표 | 북위 37° 30′ 39″ 동경 127° 00′ 47″ / 북위 37.51083° 동경 127.01306°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지정사유편집
부훤당(負暄堂) 소부(素夫)가 유불도 삼가(三家)의 입장에서 <반야심경>에 집해(輯解)를 부친 것을 저본으로 1568년 평안도 백운사(白雲寺) 설암(雪岩)에서 간선 일웅(一雄)이 주관으로 개판한 목판본 1책이다. 이 경은 수백 년에 걸쳐서 편찬된 반야경전의 중심 사상을 277자로 함축한 불경으로 불교의 모든 경전 중 가장 짧으나, 한국불교의 모든 의식(儀式) 때 반드시 독송된다.[1]
권수에는 부훤당 소부(素夫)가 쓴 서문이, 권말에는 휴휴암(休休庵)의 일여(一如)가 쓴 발문이 수록되어 있어 찬술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간기를 통해 이 책이 1568년 평안도 양덕현 청룡산에 소재하였던 백운사(白雲寺)의 설암(雪岩)에서 간행된 사실이 확인된다. 현재 동일본이 유일하게 연세대 도서관에만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문화재 및 학술적 가치가 높기에 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하기에 충분하다.[1]
조사보고서편집
이 책은 부훤당(負暄堂) 소부(素夫)가 유불도 삼가(三家)의 입장에서 <반야심경>에 집해(輯解)를 부친 것을 저본으로 1568년 평안도 백운사(白雲寺) 설암(雪岩)에서 간선 일웅(一雄)이 주관으로 개판한 목판본 1책이다.[1]
'반야심경'이란 의미는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는 마음의 경전'으로 풀이할 수 있다. '심(心)'은 일반적으로 심장(心臟)으로 번역되는데, 이 경전이 크고 넓은 반야계(般若系) 여러 경전의 정수를 뽑아내어 응축한 것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1]
이 경전의 한역본으로는 현장(玄奘)의 역본이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데, 그의 번역에 의한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은 널리 알려진 구절이다. 그 내용은 사제(四諦), 팔정도(八正道), 오온(五蘊), 십팔경계(十八境界), 십이연기(十二緣起), 지(智)와 득(得) 등 일체의 관념과 객관적 존재를 본질적인 관점에서 공무(空無)라고 밝히고 있다.[1]
이 경은 수백 년에 걸쳐서 편찬된 반야경전의 중심 사상을 277자로 함축한 불경으로 불교의 모든 경전 중 가장 짧으나, 한국불교의 모든 의식(儀式) 때 반드시 독송되고 있다. 경전의 끝에는 본문의 내용을 총괄적으로 신비롭게 나타낸 진언(眞言)인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보리 사바하(揭諦揭諦 波羅揭諦 波羅僧揭諦 菩提 娑婆訶)"가 있다. 예로부터 진언은 그 신비성을 깨뜨릴 우려가 있다고 하여 번역하지 않고 음역하였다.[1]
현재 알려지고 있는 이 <반야심경>에 대한 한국인의 주석서로는 신라시대 원측의 <반야심경소 般若心經疏> 1권과 <반야바라밀다심경찬 般若波羅蜜多心經贊> 1권, 원효(元曉)의 <반야심경소> 1권, 태현(太賢)의 <반야심경고적기 般若心經古迹記> 1권과 <반야심경주 般若心經註> 2권 등이 있으나, 현존본은 원측의 <반야심경소> 1권 뿐이다.[1]
그러나 이 책을 집해한 부훤당(負暄堂) 소부(素夫)에 대해서는 그 존재가 확인되지 않고 있으나, 권말의 발문을 쓴 일여(一如)가 명대초기 승려인 사실로 보아 중국 승려로 보아 한국에서 찬술한 주해서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1]
조사 대상본의 서지적 특징을 살펴보면, 근래 5침으로 새로 개장한 것으로 보아 간행 후에 불복에서 수습한 복장본으로 보이며 책의 크기는 26.0×16.5 cm이다. 반엽을 기준으로 사주단변으로 반곽의 크기는 16.3×14.0 cm이며, 행자수(行字數)는 10행에 대자[經文] 7자, 소자[註解]12자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의 판심부에는 대흑구와 흑어미가 서로 내향하고 있으며, 어미 사이에 판심제 '心'와 장수(張數)가 표시되어 있다.[1]
이 책의 권수에는 부훤당 소부(素夫)가 쓴 서문이, 권말에는 휴휴암(休休庵)의 일여(一如)가 쓴 발문이 수록되어 있어 찬술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특히 발문에 이어서 간기가 기록되어 있어 간행에 관한 중요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간기를 통해 이 책이 1568년 평안도 양덕현 청룡산에 소재하였던 백운사(白雲寺)의 설암(雪岩)에서 간행된 사실이 확인된다. 현재 동일본이 유일하게 연세대도서관에만 소장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문화재 또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1]
조사 대상본은 임난 이전에 평안도 사찰에서 간행된 판본이며, 현재까지 지정된 사례가 없는 귀중본으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할 만한 문화재적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어 본 위원회에 지정을 상신하는 바이다.[1]
갤러리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