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탁음
반탁음(일본어: 半濁音 한다쿠온[*])은 일본어에 관한 용어로 /p/를 보함한 음, 즉, ‘ぱ · ぴ · ぷ · ぺ · ぽ · ぴゃ · ぴゅ · ぴぇ · ぴょ’의 각 음절의 총칭이다.
반탁음에 붙이는 둥근 모양의 기호 ‘゜’는 반탁점이라고 불린다.
역사
편집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정설에 의하면, 나라 시대 이전의 극히 오래된 일본어에 있어서는 パ행음과 ハ행음의 구별은 없으며, 그 머리자음은 일률적으로 [p] 와 같은 음이였다. 그 후 음의 약화를 지나서, [ɸ]과 같은 음이 생겼다고 한다.
헤이안 시대가 되면, 한어의 영향을 받아서 발음 ‘ん’이나 촉음 ‘っ’ 등의 음이 새롭게 도입되며, 이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두 종류의 음이 보이게 됐다.
- ‘ん’의 뒤, 또는 ‘っ’의 뒤에서는 [p]음으로 발음된다.
- 위에 적힌 내용 이외의 음 뒤 또는 어두에서는 [ɸ]과 같은 음으로 발음된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는 필시, 양쪽 음은 아직 동일 음소의 상보적인 이음끼리의 관계에 지나지 않았다고 추정된다.
16세기, 일본은 포르투갈인과 만나며 포르투갈어에서 많은 어휘를 얻었지만, 그 때에는 padre→ばてれん과 같이 어두의 [p]음은 회피하고[1], 어중에서는 Europa→えうろっぱ(→ヨーロッパ), capa→かっぱ(合羽)와 같이 ‘っ’를 삽입하는 것이 보통이였다. 이 것에서 당시 [p] 음이 나타날 수 있는 곳에는 아직 제약이 있으며, 위에 적힌 구분이 대체로 모방되고 있었다는 것이 보인다.
에도 시대에 의하면 [ɸ] 음에는 더욱이 약회되고 현대어에 가까운 [h]나 [ç] 등의 음가를 가지게 됐다. 이 시점에서 그것을 [p]와 동일한 음소라고 지각되는 것은 이미 어려워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중에 서적 등 문자문화의 대중화도 더불어서, 문면상의 훈독 등을 한층 더 고안해서 읽기 쉬움을 향상할 필요가 생기며, 그 일환으로 반탁점이 발명됐다[2]. 덧붙여서, 약화한 음이 보다 일반적인 음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p] 음에 부표하게 됐다고 추측된다.
근대에 들어가면 구미(유럽과 미국)에서 대량의 외래어가 유입돼서, ‘ん’ ‘っ’ 이외의 음 뒤나 어두에서 [p] 음을 사용하는 것이 대단히 당연하게 여겨졌다. 이것에 의해서 /h/ 와 /p/와의 최소 대립쌍[3] 이 기능적으로도 확립했다고 할 수 있다.
반탁음이 나타나는 곳
편집대체로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한자 숙어
- 한자 숙어에서 ‘〜ん’ 또는 입성음 ‘〜つ’ ‘〜ち’ ‘〜ふ[4]’의 뒤에 ‘は행’ 음이 오는 경우. 또 수사에 관해서는 예외적으로 ‘~く’(‘{{{2}}}’ ‘{{{2}}}’) 뒤에서도 반탁음이 나타난다.
- おん+ふ→おんぷ(音符), はつ+ひょう→はっぴょう発表), いち+ほん→いっぽん(一本), がふ[4]+へい→がっぺい(合併) 등.
- 또한, ‘〜ふ’에 대해서는 본래의 음이 사리지고나서 후에, 특히 근대 이후에 사용되기 시작한 숙어에서는 이 한계는 없다. 예시: ごう+ほう→ごうほう(合法)
- 외래어
- 근대 이후 대량의 외래어를 수입했으며, パ행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의성어
- 의성어는 앞 서 서술한 분류 규칙에 대한 예외이며, 일본어에는 있으면서, 어두의 パ행음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 ぱさぱさ, ぷるぷる, ぽたぽた 등. 또, ぽっかり, ぴったり, ぽろり 등. 파생어로 パクる, ピリ辛 등.
- 또한, 아래의 같은 계열의 단어끼리를 비교하길 바란다.
- ぴかぴか - 동계어 ‘光る’는 반탁음을 가지지 않는다
- ぴよぴよ - 동계어 ‘ひよこ’는 반탁음을 가지지 않는다
- 그 외
- 위 이외에도, 葉っぱ, 尻尾, おっぱい, ひっぱる, しょっぱい, あけっぴろげ, ハンパ 등, 또 접미사적인 ‘〜っぽい’이나 ‘〜っぱなし’ 등, 일성어를 중심으로 일정 수 존재한다. 이들의 대부분은 스스럼 없는 장면에서만 사용되는 속어적인 어휘이다. ‘っ’ 또는 ‘ん’의 뒤에 나타내는 것이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