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차(Generator Car, 發電車)는 여객 열차 운행에 필요한 차량 내부의 전력을 공급하는 객차의 일종이다.

개요 편집

과거에는 여객 열차 내에 많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았다. 출입문은 수동식이었으며, 차내 냉방은 선풍기로, 난방은 난방차의 연결이나 난로를 사용했다. 콘센트 자체는 아예 없었으며, 차내 조명은 백열전구를 사용하여 객차의 차체 하부에 발전기를 붙여 발생시키는 전력으로 해결했다. 그러나 지금은 출입문의 경우 자동 원격 제어시스템으로, 냉방은 선풍기에서 에어컨으로, 난방은 난방차에서 히터로, 조명은 백열전구에서 형광등으로, 게다가 콘센트[1]도 설치되어 있다. 차츰 객차의 시설이 현대화 되면서, 과거처럼 소형 발전기로만 전기를 공급하는 것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발전차는 객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목적의 차량으로, 전력 소비량이 큰 에어컨 · 안내방송 · 히터 · 출입문 제어 · 형광등 따위를 가동하기 위해 이용한다. 차내에 엔진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를 가동시켜 객차마다 전력을 공급한다. 기능에 따라 구분하면 차내의 디젤 기관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종류와, 전력을 전차선에서 공급받는 종류로 나뉜다.

HEP(Head End Power)가 설치된 기관차는 발전차가 필요없다. HEP란 전차선에서 직접 공급받은 전기를 객차에 공급하는 장치로, 대한민국의 경우 8200호대 전기 기관차[2]에 설치되어 있다. 8100호대 전기 기관차에는 HEP가 없지만 27핀 점퍼선은 존재한다. 한편, 7000호대 디젤 기관차에도 장착되었으나 지나친 소음에다 연료 낭비, 잦은 엔진 고장등으로 제거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발전차가 99000번대의 차량 번호를 사용한다. 99200호대는 구형 발전차, 99300~99400호대는 옛 통일호 발전차, 99500호대는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3]와 일부 무궁화호 객차 전용의 스테인리스 차체의 발전차이다. 총 247량이다.

대한민국의 발전차 편집

도입 현황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헸다.

강철 차체 발전차 편집

2022년 현재 전량 퇴역됐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99201호 1969년 1995년 정부보유외환자금(Korean Foreign Excahnge)으로 구입. 도입 초기 당시 관광호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02호
99203호
99204호 1997년
99205호
99206호 1975년 IBRD 4차 차관으로 구입.[4]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07호
99208호
99209호 1999년
99210호 2000년
99211호 1975년 2001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최초의 국산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12호
99213호 1977년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14호 1979년 IBRD 6차 차관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15호
99216호
99217호
99218호 2002년
99219호 IBRD 6차 차관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20호
99221호
99222호
99223호
99224호
99225호 2003년
99226호
99227호 2004년
99228호
99229호 IBRD 6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30호
99231호
99232호
99233호 2005년 IBRD 6차 잔여 차관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5]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전용 발전차로 운행.
99234호
99235호
99236호
99239호 1981년 IBRD 7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40호
99241호
99242호
99243호 1982년
99244호
99245호
99246호 1983년 IBRD 5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47호
99248호
99249호 1984년 2006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50호
99251호
99252호
99253호 1985년 IBRD 7차 차관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54호
99255호
99256호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우등 열차 발전차로 운행.
99257호
99258호
99259호
99260호
99261호
99262호
99263호 2007년
99264호
99265호
99266호 2008년
99267호 1991년 2014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유일하게 이 차량들은 다른 강철 차제 발전차 중에서 유선형이었다.
99268호
99269호 2015년
99270호
99271호
99351호 1969년 1998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난방차를 개조한 발전차. 개조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52호
99353호
99354호
99355호
99356호
99357호
99358호
99359호
99360호
99361호
99362호
99363호
99364호
99371호 1986년 2008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72호 2009년
99373호
99374호
99375호
99376호 2010년
99377호
99378호
99379호
99380호
99381호 1987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82호
99383호
99384호
99385호
99386호
99387호
99388호 2011년
99389호
99390호 1989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대한조선공사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391호
99392호
99393호
99394호
99395호
99396호
99397호
99398호
99399호 1990년 2012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통일호 발전차로 운행.
99400호
99401호
99402호
99403호

스테인리스 차체 발전차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99501호 1990년 1995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2호
99503호 1991년 2004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04호
99505호
99506호
99507호
99508호
99509호
99510호
99511호
99512호
99513호 1993년 2006년 철도청 리스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새마을호 발전차로 운행.
99514호
99515호
99272호 1995년 2009년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273호
99274호
99275호
99276호
99277호 운행 중
99278호
99279호
99280호
99281호
99282호
99283호
99284호
99516호 1996년 운행 중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17호
99518호
99519호
99520호 2023년
99521호 운행 중
99285호 2022년
99286호
99287호 운행 중
99288호
99289호 2022년
99290호 운행 중
99291호 2022년
99292호 운행 중
99293호
99294호 2022년
99295호 운행 중
99296호
99297호 2022년
99298호 운행 중
99299호
99300호
99301호 2022년
99302호 운행 중
99303호
99304호 2022년
99305호 운행 중
99306호
99307호
99308호
99309호 2022년
99310호 운행 중
99522호 1997년 운행 중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23호
99524호
99525호
99526호
99527호
99528호
99529호
99530호
99531호
99532호
99533호
99534호
99535호
99536호
99537호
99538호
99539호
99540호 2023년
99311호 운행 중
99312호
99313호
99314호
99315호
99316호
99317호
99318호
99319호 2022년
99320호 운행 중
99321호
99322호
99323호
99324호
99325호
99326호
99327호
99328호
99329호
99330호
99331호
99332호
99333호 1999년 운행 중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현대정공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542호 발전차는 유일하게 새마을 도색으로 운행한다.
99334호
99335호
99336호
99337호
99338호
99339호
99340호
99341호
99541호
99542호
99543호
99342호 2001년 운행 중 철도청 내부자금으로 디자인리미트에서 제작된 발전차. 도입 초기 당시 무궁화호 발전차로 운행.
99343호
99344호
99345호
99346호
99347호
99348호
99410호 2002년 운행 중
99411호
99412호
99413호
99414호
99415호
99416호
99417호
99418호
99419호
99420호


보존 편집

발전차는 현재 별도로 보존되고 있는 차량은 없다. 특히 구형 발전차는 영주역 구내 영주기관차사무소에서 1량(99206호)이 발전차 교육장으로 쓰이고 있으나[6], 2011년 8월 폐차되어 현재 잔존량이 없다.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출입문 앞좌석에서 1~4번 좌석, 69~72번 좌석 앞뒤에 설치되어 있으며, 감전사고 방지를 위해 2중 안전 콘센트 설치되어 있어, 오른쪽으로 90도를 돌려야 꽃을 수 있다.
  2. 객차 공급 허용 최대 전압인 440V로 강압 후 정류한다.
  3. 99200~99400호대 발전차 제작 현황에 나타난 '관광'이나 '새마을'은, 장대형 새마을호 객차가 아닌 새마을호 객차이다.
  4. 2량은 히타치, 3량은 니혼샤료 제작
  5. IBRD 6차 차관으로 도입한 객차는 중화민국당영철공창에서 제작했는데, 이 회사가 대한민국으로의 철도 차량 납품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 객차 제조가의 70%에 납품했다. 그러나 당영철공창표준궤 객차를 제작할 능력이 없었고, 대우중공업은 자신의 낙찰을 기대해 객차 부품을 미리 많이 생산했기에, 대우중공업의 부품을 당영철공창이 사서 객차를 제작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졌다. 이런 일로 인해 6차 차관 잔여분이 생겨 추가로 납품한 것이다.
  6. 전망형 발전차, 네이버 블로그
  7. 7000호대 디젤 기관차 뒤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