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성왕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7월) |
발해 성왕 대화여(渤海 成王 大華璵, ? ~ 794년, 재위: 793년 ~ 794년)는 발해의 제5대 왕이다. 문왕의 손자이자 대굉림의 아들이다.
![]() 渤海 成王 | |
---|---|
지위 | |
발해의 5대 국왕 | |
재위 | 793년~794년 |
대관식 | 성왕(成王) |
전임 | 대원의(大元義) |
후임 | 강왕(康王) |
부왕 | 대굉림(大宏臨) |
이름 | |
휘 | 대화여(大華璵) |
이칭 | 없음 |
별호 | 없음 |
연호 | 중흥(中興) |
묘호 | 성왕(成王) |
시호 | 성(成) |
신상정보 | |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
출생지 | ? |
사망일 | 793년 |
사망지 | ? |
매장지 | 없음 |
왕조 | 발해(渤海) |
가문 | 협계 태씨 영순 태씨 밀양 대씨 |
부친 | 대굉림(大宏臨) |
모친 | ? |
배우자 | ? |
자녀 | ? |
종교 | 없음 |
793년부터 794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793년부터 794년까지 친정을 하다가 794년 병을 얻어 얼마 후 붕어하기 직전까지 숙부 대숭린(大嵩璘)이 대리청정하였다.
793년에 포악한 행동을 한 대원의가 왕위에서 쫓겨나자 그 뒤를 계승했다. 연호를 중흥(中興)으로 고치고 수도를 동경용원부에서 이전의 도읍지였던 상경용천부로 천도하였다. 발해 멸망까지의 수도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왕위를 계승한 지 몇 달 만에 사망한다.
가계편집
- 아버지: 대굉림(大宏臨)
- 어머니: ?
참고편집
전 대 대원의 |
제5대 발해 국왕 793년 ~ 794년 |
후 대 강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