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왕 (발해)
발해의 제6대 국왕 (?–809)
(발해 강왕에서 넘어옴)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3년 7월) |
발해 강왕(康王, ? ~ 809년, 재위 : 794년 ~ 809년)은 발해의 제6대 왕으로, 문왕의 막내 아들이고 성왕의 계부(季父)다. 연호는 정력(正曆)이다.
발해 강왕
渤海 康王 | |
---|---|
제6대 발해국왕 | |
재위 | 794년~809년 |
전임 | 성왕(成王, 大華璵) |
후임 | 정왕(定王, 大元瑜) |
이름 | |
휘 | 대숭린(大嵩璘) |
시호 | 강왕(康王) |
연호 | 정력(正曆) |
신상정보 |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809년 |
사망지 | 미상 |
부친 | 문왕 |
모친 | 미상[1] |
배우자 | 미상 |
자녀 | 정왕 · 희왕 · 간왕 |
묘소 | 미상 |
생애 편집
이름은 대숭린(大嵩璘)이며 무왕의 아들이다. 794년, 조카인 성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즉위 후 연호를 정력으로 개원하였다.
당나라는 내시 은지첨(殷志瞻)을 파견해 발해국왕보다 낮은 작위인 발해군왕(渤海郡王)으로 제수하였다. 797년 발해 측은 당에 사절을 보냈고 당나라는 은청광록대부 검교사공 발해국왕에 봉했다.
809년 1월 붕어하였다. 강왕 사후 세 아들인 대원유(大元瑜), 대언의(大言義), 대명충(大明忠)이 정왕(定王), 희왕(僖王), 간왕(簡王)으로 왕통을 이었지만 간왕 사후 선왕(宣王)이 즉위함으로써 발해의 왕통은 대야발의 후손으로 이어져 고왕으로부터의 직계 왕통은 단절되었다.
가족 관계 편집
참고 편집
각주 편집
전 대 성왕 |
제6대 발해 국왕 794년 ~ 809년 |
후 대 정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