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이유의 장미 (다카라즈카 가극)
이 문서는 다른 언어판 위키백과의 문서(ja:ベルサイユのばら (宝塚歌劇))를 번역 중이며, 한국어로 좀 더 다듬어져야 합니다.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a/Disambig_grey.svg/23px-Disambig_grey.svg.png)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뮤지컬작품. 원작은 이케다 리요코의 동명의 만화 『베르사이유의 장미』이다.
《베르사이유의 장미》 ベルサイユのばら | |
---|---|
![]() 다카라즈카 대극장 앞의 기념물 | |
음악 | 테라다 타키오 이리에 카오루 카와사 츠네오 |
극본 | 우에다 신지 |
원작 | 베르사이유의 장미 |
공연 | 1974년 8월 29일 초연 |
1974년의 초연 이래로 재연을 반복하여 2006년 1월 9일에는 통산 상연수 1500회를 돌파, 2014년 6월 27일에는 통산 관객 동원 수 500만명을 기록했다[1]. 다카라즈카 가극단 사상 최대의 히트작이다.
개요
편집초연 당시 연출을 담당한 사람 배우인 하세가와 카즈오.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전속 각본가 우에다 신지가 윤색, 각본화 하여 하세가와와 함께 연출을 담당했다.
초연 이전까지는 상연 반대의 의견도 많았지만(상세한 사항은 별도 항목 「베르바라 붐」을 참조),초연은 대성공을 거두어 전례가 없는 사회현상이 되었다.
이 작품은, 초연 당시 텔레비전에 밀려 정체기였던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인기를 부활시키는 작품이 된것 뿐만 아니라, 비 다카라즈카 팬인 일반인에게도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대명사적인 작품이 되었다.상연하면 꽤 많은 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 연목이기 때문에 가극단에서는 「진검승부」를 해야 할 때에 상연하는 경우가 많다.
하세가와의 사후에는 그가 남긴「형태」를 살리며 우에다가 각본, 연출을 맡고 있다. 최근들어서는 타니 마사즈미가 연출에 참가하고 있다.
2005년 12월 6일, NHK 종합 텔레비전의 『프로젝트 X〜도전자들〜』에서 초연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경위와 무대 뒤를 재현한 드라마가 특집으로 만들어졌다(이 방송 내용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관련 회사인 TCA가 발매한「베르사이유의 장미 GRAND HISTOY」의 특전디스크로 수록되어 있다[2]. 하지만 저작권상의 이유로 나카지마 미유키의 곡 및 하세가와 카즈오 출연 영화와 가부키 영상 사용 장면은 생략하고 있다)[3].
2008년부터 『외전 베르사이유의 장미』로써 원작자 이케다 리요코가 새로 쓴 스토리로 상연되고 있다.
줄거리
편집상연 공연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기본적인 것을 기술한다.
오스칼 편
편집귀족 출신인 오스칼은, 대를 이을 아들이 태어나지 않는 아버지에 의해 여자이면서도 남자로써 키워져 남장의 여인이다.
어린 시절 양친을 잃은 앙드레는 오스칼의 유모인 할머니 마롱 글라세에게 거두어진다. 쟈르제 가에 받아들여져 오스칼의 시중을 들게 되어 그 이후 한시도 떨어지지 않고 그림자로써 지키고 있다. 언젠가부터 오스칼을 친구가 아닌 여자로 보게 되었지만 앙드레는 평민의 신분이었다.
앙드레는 오스칼을 감싸고 눈을 다친 이후 점점 앞이 보이지 않게 된다. 오스칼은 왕궁을 수호하는 근위대에서 국민을 지키는 군대인 위병대로의 전속을 스스로 지원하여 위병대의 대장이 된다. 처음에는 대원 모두가 「귀족 여자는 따를 수 없다」라며 반발했지만, 오스칼의 박애정신과 순결한 마음에 어느새 굳게 결속되어 간다.
앙드레는 오스칼의 옛 부하인 귀족 장교 제로델과의 혼담에 쇼크를 받고 오스칼을 죽여서라도 영원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고 하지만 그 직전에 멈추고 자신의 마음을 전한다. 처음에는 당황하는 오스칼이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앙드레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깨닫게 된다.
그러던 중 프랑스 국내의 정세는 급속히 나빠져 갔다. 빈부의 차가 커지고, 평민의 불만은 정점에 달해 언제 귀족과 평민이 피를 흘리며 싸우게 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되어가고 있었다. 드디어 오스칼은 위병대의 지휘관으로써 파리 출동의 선두에 서게 되었다.
지금 파리에 가면 살아서 돌아올 수 없을지도 모른다. 파리 출동 전날 밤에 오스칼은 앙드레에게 자신의 마음을 토로하고, 두사람은 이어지게 된다.
하지만 앙드레는 앞이 보이지 않아 세느강가의 다리 위에서 오스칼의 안부를 걱정하며 총탄을 맞고 쓰러진다. 다음날인 7월 14일, 슬픔을 뒤로하고 굳세게 위병대를 이끌고 바스티유로 향하는 오스칼. 훗날에 「프랑스 혁명」이라고 불리는 평민이 절대왕권의 상징이었던 바스티유 감옥을 함락한 날. 오스칼은 약한자들의 힘이 되고자 평민의 방패가 되어 귀족 부대와 싸웠다.
격전 중 총탄을 맞고 쓰러진 오스칼은 「바스티유에 백기(白旗)가!」라고 외치는 부하 알랭의 말을 자매와도 같은 로잘리의 품에서 듣는다. 프랑스 혁명이 이루어진 그 순간에 생애의 막을 내린 것이다.
절명의 순간 오스칼을 「오스칼, 오스칼…」이라고 친숙한 목소리가 부른다. 그 목소리에 오스칼이 일어서자 앙드레가 나타난다. 앞서 전사한 앙드레가 천국에서 오스칼을 데리러 온 것이었다. 앙드레에게 안기는 오스칼. 살아서는 이루어지지 못한 「신분이 다른 사랑」 을 성취하여 두 사람은 천국으로 떠난다.
- 라스트신의 원작과의 차이
원작 만화에서는 오스칼이 바스티유 공격중에 적의 총탄을 맞고 쓰러진 직후, 응급처치를 하던 로잘리가 「아… 앙드레, 앙드레 들어줘 부탁이야!! 오스칼님을… 오스칼님을 데려가지 말아줘 데려가지 말아줘 부탁이야!!」 라고 말하는 대사나 오스칼의 사후, 두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며 침대에서 쉬던 마롱 글라세(앙드레의 할머니, 오스칼의 유모)의 머리위에 오스칼과 앙드레(의 영혼같은 것) 두 사람이 함께 있는 모습이 나온다[4]. 하지만 먼저 전사한 앙드레의 영혼이 바스티유 공격에서 전사한 오스칼의 영혼을 천국에서 맞이하러 온 명확한 신을 연기하는 것은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무대작품 오리지널이다. 차이가 있는 이유는, 원작은 오스칼의 죽음 이 후에도 이야기가 이어지지만, 「다카라즈카 가극 베르사이유의 장미 -오스칼 편- -오스칼과 앙드레 편- -앙드레와 오스칼 편-」에서는 오스칼의 전사로 이야기를 끝내야만 한다. 또 「주역의 남녀 두 사람(오스칼과 앙드레)은 라스트신에 반드시 등장해야 한다」는 다카라즈카 가극 특유의 관례가 있기 때문이다.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편집오스트리아의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는 정략 결혼으로 14세에 프랑스의 왕세자, 훗날의 루이 16세에게 시집간다. 그녀는 그저 세상물정을 모르는, 단순히 예쁜 드레스를 좋아하는 어린 소녀였다.
앙투아네트는 18세에 파리 오페라 극장의 가면 무도회에서 생애의 연인인 스웨덴의 귀족인 페르젠과 조우한다. 그 때 앙투아네트의 근위사관이 금발의 남장의 여인 오스칼. 서로 다른 나라에서 태어난 3명은 그날 밤 운명의 만남을 가진다.
페르젠과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에 괴로워하는 앙투아네트는 국모로서의 의무를 잊지 말라고 간하는 오스칼을 향해, 군복을 입으면서 여자의 마음을 잊어버렸다며 그녀를 힐난했다. 그러나 오스칼 역시 페르젠과 맺어질 수 없는 관계에 고심하고 있었다. 절친한 친구로 지내던 오스칼과 페르젠이었지만 오스칼의 가슴 속에는 여자로서의 마음이 싹트고 있었던 것이다.
페르젠은 앙투아네트를 깊이 사랑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사랑이 추문으로 변해 앙투아네트를 파멸시킬 것이라고 느낀 페르젠은 남자답게 물러설 결심을 하고 사랑을 간직한 채 스웨덴으로 돌아갔다.
이후 프랑스 내의 불온한 분위기가 높아졌고 가난한 민중들의 불만은 폭발 직전에 이르렀다. 근위대에서 위병대로 전속한 오스칼은 민중들의 폭동에 대비해 1789년 7월 12일 파리 출동 명령을 받는다.
오스칼의 유모의 손자이자 평민인 앙드레는 호위로서 항상 오스칼의 곁에 있었다. 그는 신분 차이에도 불구하고 은근히 오랫동안 오스칼을 사랑하고 있었고, 오스칼도 항상 자신을 지탱해 주는 앙드레의 큰 사랑을 깨닫고 그를 사랑하게 된다. 파리에 진주하게 되면 신분을 버리고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한다고 각오한 오스칼은 앙드레와의 결혼을 결심하고 마침내 둘은 맺어진다. 오스칼은 귀족의 신분을 버리고 민중과 함께 싸울 것을 선언하고 귀족 측 군대와의 전투에 돌입했다. 앙드레는 오스칼을 걱정하며 전사했고, 다음날인 7월 14일에 민중들은 바스티유 감옥을 습격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견디며 꿋꿋하게 군대를 지휘하는 오스칼. 그러나 그녀도 총에 맞아 쓰러지고, 바스티유에 백기가 올라갔다는 부하 위병대원 알랭의 말을 들으며 숨을 거둔다.
혁명의 기세에 사기가 오른 군중은 베르사유로 몰려들고 앙투아네트는 베르사유를 떠나 파리로 가게 된다. 그녀의 궁지를 알게 된 페르젠은 그녀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급히 스웨덴에서 프랑스로 왔다.
루이 16세가 처형된 이후, 콩시에르쥬리 감옥에 갇혀 있던 앙투아네트를 탈옥시키기 위해 페르젠은 그녀를 찾아간다. 따로 붙잡혀 있는 아이들을 두고 갈 수 없다며 탈옥을 거절하는 앙투아네트를 향해 페르젠은 눈물을 흘리며 설득하지만 앙투아네트는 완강히 거절한다. 앙투아네트는 페르젠의 절규가 메아리치는 가운데 프랑스의 왕비답게 자부심 높고 의연하게 단두대로 향한다.
- 라스트신의 원작과의 차이
원작 만화에서는, 콩시에르쥬리 감옥으로 옮겨진 마리 앙투아네트를 쟈르제 장군이 면회하러 방문해 탈영 계획을 밝히지만, 「아이들을 두고 도망칠 수는 없다」 라고 거부하는 대목은 있다[5]. 그러나 자르제 장군이 아닌 페르젠이 등장하게 된 것은 다카라즈카 가극단 한정 대목으로, "남녀 주역(페르젠과 앙투아네트)은 라스트 신에 반드시 출전해야 한다"는 다카라즈카 가극단 특유의 관습 때문이었다.
악곡
편집- 愛あればこそ(사랑이 있기에)/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愛の面影(사랑의 그림자)/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愛の巡礼(사랑의 순례)/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愛の怯え(사랑의 두려움)/작사:우에다 신지, 작곡 :平尾昌晃
- 結ばれぬ愛(이루어지지 못할 사랑)/작사:카타기리 카즈코, 작곡:히라오 마사아키
- 駆けろペガサスの如く(달려라 페가수스처럼)/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ごらんなさい ごらんなさい(여기 보세요, 여기 보세요)/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白ばらのひと(흰 장미의 사람)/작사:우에다 신지, 보조 작사:카타오카 카즈코, 작곡:히라오 마사아키
- 我が名はオスカル(내 이름은 오스칼)/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ばらベルサイユ(장미 베르사이유)/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青きドナウの岸辺岸辺(푸른 도나우의 강변)/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アン・ドゥ・トロア(앙 드 투르와)/작사:우에다 신지, 작곡 :요시다 유코
- 心の白薔薇(마음 속의 흰 장미)/작사:우에다 신지, :데라다 류지
- 心のひとオスカル(사랑하는 오스칼)/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ばらのスーベニール(장미의 추억)/작사:우에다 신지, 작곡:데라다 류지
- 乙女の祈り(소녀의 기도)/작사:우에다 신지, 작곡 :요시다 유코
베르사이유의 장미 붐
편집1970년 전후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스타를 배출하여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번역상연을 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계속하였지만 텔레비전의 보급이나 오락의 다양화 등의 영향을 받아 적자가 나고 있었다. 평일은 객석이 빈 곳이 많아져 가극단 존속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내부에서도 들리기 시작했다[6]. 위기감을 느낀 스태프들은 (가극단 전속 연출가도 포함)「무대에 주로 책임을 지는 전속 연출가[注 1]를 시작으로 하여 거의 가극단 내부의 인원만으로 무대를 만들어가는 옛 제작체제로는 현재 관객의 기호에 대응하기 곤란하다는 인식이 있어 새로운 방향성을 찾아 외부 연출가가 초빙되어[注 2], 그 일환으로 전쟁 이전부터 다카라즈카의 팬이기도 했던 하세가와 카즈오도 초대되어 1971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에서 『나의 사랑은 산의 저편에』의 연출을 맡았다(각본 ・ 공동연출:우에다 신지).
10세기 한반도를 무대로 한 『나의 사랑은 산의 저편에』는 하세가와 카즈오가 연출을 담당한걸로 화제가 되어 관객동원에 어느정도 성과를 더해 가극단은 하세가와에게 그 외의 연출을 의뢰하였고 하세가와가 가극단에서 두번째로는 서양물(외국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하고싶다고 희망하여 또다시 각본, 공동연출자로 우에다를 지명했다.
하세가와의 요망을 받아, 소재 선정 작업에 들어간 우에다는 교류가 있던 팬으로부터 약 반년 전에 "『베르사이유의 장미』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에 딱 맞는 작품"이라고 들어, 소재로서 검토 (먼저 우에다 자신이, 팬으로부터 처음 들었을 때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에서 만화를 무대화한 예도 거의 없었기 때문에 진지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한다).
원작을 읽은 우에다는 "이 작품은 무대화하면 된다, 꼭 다루고 싶다"라고 반응을 내, 기획안을 하세가와에게 상담하고, 처음 하세가와는 "그려져 있는 것은 왕비의 외도 이야기. 맑고 바르고 아름답게(清く正しく美しく) (가 방침)의 다카라즈카에서는 하면 안된다"고 지적하고, 주로 이야기의 내용면에서 내키지 않았다고 한다. 우에다는 "다카라즈카 가극다운 작품으로 만들겠습니다"라고 각본에서의 궁리 등을 재차 언급해 설득하고, 어떻게든 하세가와의 찬성을 얻어 상연 계획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한다[7].
기획을 들은 다카라즈카 가극 내부에서는 수뇌진으로부터 "만화가 원작이 되어선 안된다"라고 반대의 소리고 있었지만, 하세가와의 찬성을 얻은 것도 있어, 어떻게든 상연이 결정, 원작자 이케다는 다카라즈카 가극을 좋아하고, 무대화를 흔쾌히 승낙 (우에다의 회상에 의하면 "싼 원작료의 지불만으로 상연 허가를 주었다"고 했다[7]). 바쁜 하세가와가 연습과 연출을 위해 시간을 내어, 가능한 시간을 고려한 후[8], 츠키구미 공연으로 공연 시기도 정식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다카라즈카 가극단으로부터 상연・배역이 발표되자, 원작 팬으로부터 "원작에서의 8등신의 오스칼을 일본인이 연기 하는 것은 무리, 이미지가 깨지니까 상연은 중지했으면 좋겠다" 등의 비판적인 투서가 다수 도착해[9], 우에다에게도 종종 면도칼을 넣은 협박 투서가 보내지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위와 같은 역풍을 맞고 있던 도중, 연습이 시작되어 연기를 연마하는 것은 물론, 단원들은 가발이나 의상이 잘 익숙해지도록 세심하게 조정, 원작의 도안을 화장대에 놓고 참조하며 화장하는[10] 등 "원작의 이미지가 깨진다"라고 호소하는 팬들에게도 무대를 보고 납득할 수 있을 만큼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연출의 하세가와도 "만화의 무대화인데 원작과 똑같이 눈을 반짝이는 것은 무리지만, 조명을 활용해 배우의 눈에 별을 띄울 수 없을까"라고 착안, 조명이 닿는 방법을 연구한 끝에, 2층 좌석에 시선을 보내면 조명이 눈에 잘 들어오는 것을 깨닥고 가장 조명을 살릴 수 있는 위치까지의 좌석번호를 파악했다. 그리고 단원들에게 그 좌석 번호까지 지시해 시선을 돌리는 방법을 철저히 지도 하고 (그때, 2층 좌석 난간에서 1층 좌석으로 떨어뜨리도록 시선을 돌리는 방법을 지도했다[9]), 조명이나 의상을 살려 최대한 아름답게 연기하는 미남 배우다운 솜씨로, 극화에서 튀어나온 듯한 무대를 추구해 갔다.
또, 젊은 날에 가부키계에서 온나가타 수업을 쌓은 뒤, 영화계로 변신해 미남 대스타가 된 하세가와는 그 경력을 살려, 등장인물 남녀를 연기해 관객이 보기에 아름다운 러브신을 단원들에게보여주며 배우가 고생해야 관색에게는 아름다워 보인다는 그만의 미학으로 몸의 비틀림을 많이 이용한 연기를 지도했다. 그의 지도에 의해 만들어진 수많은 연기・몸짓은, 하세가와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틀"로서 최근의 상연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다카라즈카 대극장에서 맞이한 첫날은 개막 전, 출연자 전원이 한마디도 하지 않은 이상한 집중력이 넘쳤다. 그리고 종연 후, "3층 좌석에서까지 환성이 쏟아졌습니다"라고 기뻐하는 하루나 유리 등의 목소리를 듣고, 우에다는 작품의 성공을 확신했다고 한다[7]. 첫날 관객 수는 약 90%의 동원이었지만, 다음날부터 연일 만원사례의 성황이 이어지고, 뜻밖의 반향에 가극단은 들끓어, "이듬해에 2탄을"이라고 결정한다. 이듬해의 상연은 잇폰다테(一本立て) 상연이 되어, 하나구미 공연으로 결정되었고, 톱스타의 개성 등으로부터 오스칼과 앙드레를 중심으로 해, 잇폰다테가 되어 보다 긴 공연 시간을 확보 할 수 있기도 해,「今宵一夜」의 장면 등을 우에다가 추가 하였고, 대박 작품의 제2탄으로서 우에다가 오스칼 역으로 안나 준을 밀었던 것이 논란이 되기도 했지만 (해당 공연 항목 참조), 결과적으로는 초연판 이상의 대히트를 기록했다. 결국 77년까지 유키구미, 호시구미, 츠키구미의 각 본공연이 이어지는 대붐을 일으켰다.
베르바라붐이 가극단의 화제에만 그치지 않고, 사회현상으로까지 불어난 것도 있어, "붐은 일시적인 것"이라는 평도 들려, 우에다는 "다음에 만드는 작품이 베르바라 이상의 작품이 아니면, 베르바라 붐은 우연한 것이었다고 할것이다"라고 통감, 차기작에는 베르바라에게 이야기, 스케일, 지명도 등에서 필적하는 작품을 이라고 고려를 거듭한 결과, 77년, 우에다 각본 및 연출로 다카라즈카 판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상연, 베르바라에 버금가는 히트를 기록했다. 이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78년까지 총 4개조가 상연, 베르바라도 80년까지 매년 지방공연에서 상연돼, 붐을 이어가는데 기여했고, 두 작품은 이후 틈틈히 재연되, 21세기 현재까지 가극단의 재산이 되었다.
상연 기록
편집츠키구미 초연을 시작으로 4개의 조에서 상연하였다
- 1974년 ・ 츠키구미
- 8월 29일 - 9월 26일[12](신인공연:9월 12일[13]):다카라즈카 대극장、11월 2일 – 11월 27일[14](신인공연:11월 18일[13]):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병연은 다카라즈카에서는 무용시 『추선사(秋扇抄) [12]』, 도쿄에서는 쇼 『The star[14]』. 지금 비교하자면 가장 원작에 충실한 각본이라고 할 수 있다.
- 다카라즈카 공연 데이터[12]
- 형식명: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
- 3부 30장
- 1975년 하나구미
- 7월 3일 - 8월 12일[15](신인공연:7월 16일[13]):다카라즈카 대극장, 11월 1일 – 11월 27일[14](신인공연:11월 16일[16]):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서브타이틀은 「〜앙드레와 오스칼〜[15]」. 이 작품부터는 모두 한가지 공연[17]으로 계속되고 있다. 원작에서 인기있었던 앙드레와 오스칼 커플에 중점을 둔 각본이다.
- 당시 더블톱 체제였던 하나구미에서는 주인공인 오스칼 역을 두고 초연을 하여 인기를 끈 하루나 유리와, 초연 이전 팬들 사이에서 오스칼 역에 가장 잘 어울린다는 말이 있었던 안나 준 각각을 밀어주는 의견이 있었고, 가극단 상층부에서도 의견이 나뉘었다. 최종적으로는 우에다 신지가 오스칼 역으로 안나를 강력히 밀어부쳤다. 그 대신 서브타이틀에는 하루나가 맡은 역할의 이름이 앞쪽에 오도록 해서 두 톱스타를 배려한 에피소드가 있다.
- 다카라즈카 공연 데이터[15]
- 형식명:쇼와 49년 예술제 수상 기념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
- 3부 34장
- 1975년 유키구미
- 8월 13일 - 9월 30일[15](신인공연:9월 20일[13]):다카라즈카 대극장 1976년 3월 28일 - 4月25日[14](신인공연:4월 11일[13]):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하나구미가 대호평을 받은 후 급히 공연이 결정되었다. 하나구미 버전의 세부를 개정한 각본으로 재연되었으며 당시 연6(입단 6년차)의 아사미 레이가 앙드레 역에 발탁되었다.
- 다카라즈카 공연 데이터[15]
- 형식명:쇼와 49년도 예술제 수상기념 다카라즈카 로망
- 3부 35장
- 1976년 호시구미 『베르사이유의 장미III』
- 3월 25일 - 5월 12일[18](신인공연:4월 13일[13]):다카라즈카 대극장, 7월 2일 - 8월 1일[14]: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초연인 츠키구미의 각본을 베이스로 하여 하나구미와 유키구미의 명장면을 넣은 개정판.
- 당초 다카라즈카에서는 5월11일까지 공연 할 예정이었지만 호평에 의해 12일까지 상연되었다[18].
- 하츠카제 준이 츠키구미에서 특별출연했다. 또 첫날에누 역대의 4명의 오스칼이 모두 모여 화려함을 더했다. 도쿄 공연중 7월 21일, 22일에 역할바꿈 공연이 있어 마리 앙투아네트를 시키노 하나에가, 페르젠을 미네 사오리가 연기했다.
- 62기생(휴우가 카오루, 나츠미 요, 아스카 유 등)의 초무대 공연.
- 다카라즈카 가극에서는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바렌 사건이 연기된다(「제 2부 7장 바렌의 숲」)[19].
- 이 신에서는 국왕 일가가 타는 마차를 끄는 말로 진짜 말이 사용되었다[20].
- 다카라즈카 공연 데이터[18]
- 형식명: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
- 2부 30장
- 1976년 ・ 츠키구미 『베르사이유의 장미III』
- 8월 5일 – 8월 30일[14]: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호시구미 공연의 대호평에 의해 급히 결정되어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에서만 상연되었다. 호시구미 의 각본을 한번더 각색. 쇼와 베르바라의 집대성으로 상연에 약 2시간 30분을 소요하는 쇼와시대 버전의 최대규모 작품이 되었다(물론 당시로서는 대작인 규모였지만 헤이세이에 접어들어서는 표준 규모가 되었다). 하츠카제 준은 이 공연의 앙투아네트 역으로 퇴단하였다.
- 오오토리 란이 호시구미에서 특별출연하였다. 20일에 역할바꿈으로 마리 앙투아네트를 기타하라 치고토가, 페르젠을 당시 연4(입단 4년차)였던 다이치 마오가 연기했다.
- 이때까지의 상연으로 합계 약 14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였다. 하세가와의 연출인것도 있어 팬이 급증, 전례가 없는 다카라즈카 붐을 일으켰다. 작품의 성공으로 1974년에 문화청 예술제 우수상 수상, 베르바라 시리즈로서 1976년에 키쿠타 카즈오 연극상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다카라즈카 가극 75주년, 프랑스 혁명 200년을 기념하여 재연하였다
- 1989년 유키구미(앙드레와 오스칼 편)
- 8월 10일 - 9월 19일[22](신인공연:8월 25일[23]):다카라즈카 대극장, 11월 3일 – 11월 28일[24](신인공연:11월 14일[23]):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제 1부:허락받지 못할 사랑[22], 제 2부:신에게 불리는[22]
- 형식명은 「스미토모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22][25]」. 다카라즈카에서는 2부 34장[22], 도쿄에서는 2부 37장[24].
- 당시의 톱스타 모리 케아키가 앙드레를, 2번수인 이치로 마키가 오스칼을 연기했다. 처음으로 앙드레가 단독 주연이 되어 그의 비중이 늘어났다.
다카라즈카[22] | 도쿄[24] | |
---|---|---|
아사카 준 | 8월 10일-8월 17일 | 11월 3일-11월 9일 |
시온 유우 | 8월 18일-9월 19일 | 11월 10일-11월 19일 |
아사지 사키 | 8월 29일-9월19일 | 11월 20일-11월 28일 |
- 1989년 호시구미([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9월 22일 - 11월 7일[26](신인공연:10월 17일[23]):다카라즈카 대극장, 1990년 3월 4일 - 4월 1일[27](신인공연:3월 13일[28]):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제 1부:새로운 운명의 소용돌이 속에서[26][27], 제 2부:애처로운 왕비의 최후[26][27]
- 형식명은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 [26][27]」. 다카라즈카에서는 2부 36장[29], 도쿄에서는 2부 40장[30].
- 이 해에 있었던 뉴욕공연에 많은 인원이 참가한 탓에 적은 인원으로 이루어졌다.
- 다카라즈카에서는 호시구미의 다이키 유우외에도 하나구미, 츠키구미, 유키구미에서 특별출연한 안쥬 미라, 스즈카제 마요, 이치로 마키가 오스칼을 연기했다.
- 도쿄 공연에서는 호시구미의 시온 유우가 오스칼을 연기했다. 또한 이 공연에서는 다이키도 오스칼을 연기하였으며 이 공연으로 다카라즈카를 퇴단하였다.
오스칼[26] | 제로델 소령[26] | |
---|---|---|
9월 22일-10월 3일 | 스즈카제 마요 | 호쿠토 히카루 |
10월 5일-10월 17일 | 이치로 마키 | |
10월 19일-10월 31일 | 다이키 유우 | 마야 미키 |
11월 2일-11월 7일 | 안쥬 미라 |
마롱 글라세[26] | 프로방스 백작[26] | |
---|---|---|
9월 22일-10월 26일 | 하야마 미치코 | 이즈미 츠카사 |
10월 27일-11월 7일 | 마리무라 나오 | 우즈키 케이 |
- 1990년 하나구미(페르젠 편)
- 3월 29일 - 5월 8일[31](신인공연:4월 17일[28])다카라즈카 대극장, 7월 1일 – 7월 29일[27](신인공연:7월 10일[28]):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제 1부:장미의 눈물을[31][27], 제 2부:이별의 붉은 장미[31][27]
- 형식명은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31][27]」. 다카라즈카에서는宝 2부 38장[31], 도쿄는 2부 39장[27]。
- 당시의 주연 콤비 오우라 미즈키, 히비키 미토가 댄스실력이 뛰어난 콤비였기 때문에 댄스신이 늘어났다. 「춤추는 페르젠 편」이라고도 불린다.
- 제 76기생(아야키 나오, 카자하나 마이, 준나 리사、츠키카게 히토미, 호시나 유리, 쥬리 사키호, 고토부키 츠카사, 타카쇼 미즈키 등)의 초무대 공연.
- 입단성적 수석인 준나 리사가 가극단 사상 처음으로 「초무대생이면서 에뜨와르」를 맡는 쾌거를 달성하였다. 에뜨와르란 피날레의 퍼레이드에서 첫 부분을 담당하는 가수이다.
- 도쿄의 신인공연 각본은 제 1막과 2막의 1, 8, 9장을 상연하였다[28].
오스칼[31] | 요제프 2세[32] | |
---|---|---|
3월 29일-4월 3일 | 스즈카제 마요 | 안쥬 미라 |
4월 4일-4월 8일 | 시온 유우 | |
4월 9일-4월 24일 | 마야 미키 | |
4월 26일-5월 8일 | 안쥬 미라 | 마야 미키 |
- 1991년 츠키구미(오스칼 편)
- 3월 28일 - 5月7日[33](신인공연:4월 16일[34]):다카라즈카 대극장, 7월 2일 – 7월 31일[35](신인공연:7월 9일[36]):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제 1부:사랑의 초상[33][35], 제 2부:사랑의 신화[33][35]
- 형식명은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33][35]」. 다카라즈카에서는 2부 40장[33].
- 스즈카제 마요의 톱스타 취임 피로 공연이며, 제 77기생(하루노 스미레, 아사미 히카루, 하나후사 마리, 아란 케이, 나리세 코우키 등)의 초무대 공연.
- 우에키에 의하면 「왕비 역에 어울리는 스타가 없어서」 처음으로 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가 등장하지 않는 버전이 되었다.
- 또한 신인공연때에는 스즈카제 앙투아네트와 아마미 유키 페르젠이 한 장면씩 특별출연 하였다.
- 아마미는 당시 아직 연5(입단 5년차)였지만 앙드레와 제로델의 두가지 역을 연기하여, 이 공연으로 2번수 스타로 활약하게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조 내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서 상급생인 쿠제 세이카가 맡은 알랭의 비중을 전례가 없을만큼 늘어나게 되었다.
- 「20세기 최후의 베르바라」라는 선전문구가 사용되었다.
- 7월 6일에 일본 황태자 나루히토가 대관
다카라즈카[33] | 도쿄[35] | |
---|---|---|
모리 케아키 | 3월 28일-4월 4일 | 7월 2일-7월 6일 |
휴우가 카오루 | 4월 5일-4월 9일 | 7월 7일-7월 12일 |
天海祐希 | 4월 11일-5월 2일 | 7월 13일-7월 31일 |
오우라 미즈키 | 5월 3일-5월 7일 | - |
다카라즈카 | 도쿄[35] | |
---|---|---|
아마미 유키 | 3월 28일-4월 9일[33] 5월 3일-5월 7일[33] |
7월 2일-7월 12일 |
아이카와 마키 | 4월 11일-5월 2일[37] | 7월 13일-7월 31일 |
2001년(베르사이유의 장미 2001)
편집소라구미와 호시구미가 동쪽과 서쪽에서 동시상연. 포스터는 요코오 타다노리가 담당.
- 소라구미(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4월 6일 - 5월 14일(신인공연:4월24일):다카라즈카 대극장[38], 6월 29일 - 8월 12일(신인공연:7월 10일):도쿄 다카라즈카 극장[39]
- 형식명은 「미츠이 스미토모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38][39]」. 2부 36장[38][39].
- 제 87기생(류 마사키, 사기리 세이나 등)의 초무대 공연.
- 어느 날 다카라즈카 대극장 2회차 공연시, 1회차 공연이 끝난 후 대계단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트러블이 발생하여 2회차 공연 시간이 크게 틀어지는 일이 발생하여 제 1막의 노래 가사가 원래는 『御覧なさい 御覧なさい…』인 부분운 『ごめんなさい ごめんなさい…』[40]로 바꾸는 등의 팬서비스가 이루어졌다. 또한
응급 수리를 위해 업자를 불러 수리되는것을 기다리는동안 지배인 두명이 무대위로 올라가 사죄하였다고 한다.
다카라즈카[38] | 도쿄[39] | |
---|---|---|
아야키 나오 | 4월 28일-5월 14일 | 6월 29일-7월 23일 |
미즈 나츠키 | 4월 6일-4월 27일 | 7월 24일-8월 12일 |
다카라즈카[38] | 도쿄[39] | |
---|---|---|
아야키 나오 | 4월 6일-4월 27일 | 7월 24일-8월 12일 |
미즈 나츠키 | 4월 28일-5월 14일 | 6월 29일-7월 23일 |
- 호시구미(오스칼과 앙드레 편)
- 3월 30일 - 5월 6일(신인공연:4월10일):도쿄 다카라즈카 극장[39], 8월 17일 - 10월 10일(신인공연:9월 4일):다카라즈카 대극장[41]
- 형식명은 「미츠이 스미토모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41][39]」. 2부 32장[41][39].
- 톱스타 콤비 코우 미유키와 호시나 유리의 퇴단공연.
- 통산 관객동원수 356만 4천명을 기록했다.
- 도쿄공연에 특별출연 하였다(전과)[42]:코우 히즈루, 나토리 레이, 쿠니 나츠키, 이츠키 치히로, 이치하라 케이, 코쥬 타츠키, 코즈키 와타루, 쥬리 사키호
도쿄[39] | 다카라즈카[41] | |
---|---|---|
코쥬 타츠키 | 3월 30일-4월 13일 | 8월 17일-10월 1일 |
코즈키 와타루 | 4월 14일-4월 27일 | - |
쥬리 사키호 | 4월 28일-5월 6일 |
도쿄[43] | 다카라즈카[41] | |
---|---|---|
호시하라 미사오 | - | 8월 17일-8월 27일 9월 11일-10월 1일 |
미사 노에루 | 8월 28일-9월 10일 | |
나토리 레이 | 3월 30일 - 5월 6일 | - |
2006년
편집마리 앙투아네트 탄생 250년을 기념하여 재연.
- 호시구미(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1월 1일 - 2월 6일[44](신인공연:1월 17일[45]):다카라즈카 대극장, 2월 17일 - 4월 2일[44](신인공연:2월 28일[45]):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형식명은 「마리 앙투아네트 탄생 250주년 기념 미츠이 스미토모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44]」. 2부 35장[44].
배우 이름 | 일정 |
---|---|
아사미 히카루(유키구미) | 1月1일(일)-1월 3일(화) |
타카시로 케이(유키구미) | 1월 5일(목)-1월 10일(화) |
키리야 히로무(츠키구미) | 1월 12일(목)-1월 19일(목) |
미즈 나츠키(유키구미) | 1월 20일(금)-1월 26일(목) |
오오조라 유우히(츠키구미) | 1월 27일(금)-2월 6일(월) |
앙드레 | 베르나르 | |
---|---|---|
2월 17일(금)-3월 3일(금) | 타츠키 요우 | 유즈키 레온 |
3월 4일(토)-3월 14일(화) | 유즈키 레온 | 타츠키 요우 |
3월 16일(목)-3월 21일(화) | 타츠키 요우 | 유즈키 레온 |
3월 23일(목({-4월 2일(일) | 유즈키 레온 | 타츠키 요우 |
- 유키구미(오스칼 편)
- 2월 10일 - 3월 20일[44](신인공연:2월 28일[45]):다카라즈카 대극장, 4월 7일 - 5월 21일[44](신인공연:4月18日[45]):도코 다카라즈카 극장
- 형식명은 「마리 앙투아네트 탄생 250주년 기념 미츠이 스미토모 VISA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 [44]」. 2부 33장[44].
- 유키구미 대극장 공연중인 2006년 3월 17일에 통산 관객동원수 400만명을 기록했다.
- 타카시로 케이, 미즈 나츠키는 앙드레 역 이외에도 타카시로는 제로델, 미즈는 알랭 역으로 출연했다.
다카라즈카[48] | 도쿄[49] | |
---|---|---|
코즈키 와타루(호시구미) | 2월 10일(금)-2월 12일(일) | - |
하루노 스미레(하나구미) | 2월20일(월)-2월 23일(목) | - |
세나 준(츠키구미) | 3월 6일(월)-3월 12일(일) | - |
타카시로 케이(유키구미) | 2월 13일(월)-2월 19일(일) 3월 17일(금)-3월 20일(월) |
4월 7일(금)-4월 24일(월) |
미즈 나츠키(유키구미) | 2월 24일(금)-3월 5일(일) 3월 13일(월)-3월 16일(목) |
5월 6일(토)-5월 21일(일) |
아란 케이(호시구미) | - | 4월 5일(화)-5월 5일(금) |
2013년 - 2014년
편집다카라즈카 가극 100주년 기념으로 재연.
- 2013년 츠키구미(오스칼과 앙드레 편)
- 1월 1일 - 2월 4일[50](신인공연:1월 22일[51]):다카라즈카 대극장, 2월 15일 - 3월 24일[50](신인공연:2월 28일[51]):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형식명우 「미츠이 스미토모 VISA카드 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50]」. 2막 32장[50].
- 이전 공연인 『로미오와 줄리엣』에 이은 주인공 역할바꿈 공연 제 2탄. 톱스타 류 마사키와 준 톱스타 아스미 리오가 오스칼 역과 앙드레 역을 역할바꿈으로 연기하였다.
- 대극장 공연 당시에는 하나구미의 란쥬 토무, 유키구미의 소 카즈호가 앙드레 역으로 특별출연 하였다.
- 3월 21일(목) 13시 30분 공연으로 1974년 초연 이래 관객수가 450만명에 도달하였다[52].
- 2013년 츠키구미버전 연출의 주목할점은 마지막의 마차를 타고 천국으로 떠나는 장면으로, 오스칼과 앙드레를 태운 마차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공중으로 들어올리는 새로운 연출이 도입되었다. (종래의 이 장면은 돌아가는 무대 위에 은마차를 놓고 무대를 회전시켜 마차가 달리는 것을 연출하였다. 은마차를 사용하지 않는 버전도 있다). 이런 화려한 연출은 제작발표회에서 우에다 신지(각본, 연출)가「이것은 큰 볼거리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한대로 되었다. 은마차 및 마차를 끄는 말에는 LED전구가 장식되었다. 빛나는 마차에 탄 두 사람이 무대에서 떠올라 1층 관객들의 머리위를 왔다갔다 크게 움직이며 어필하여 이 연출로 「지상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할 귀족과 평민의 사랑을 천국에서 성취」하는 것을 그려, 관객들은 박수갈채를 받았고, 크레인을 이용해서 난 것은 생각보다 높이 올라가서 2층석의 관객들에게는 손이 닿을것처럼 가까이 다가가, 이것 또한 관객들의 기대에 예상 이상으로 보답하였다.무대 퇴장시에는 마차를 들어올린채로 크레인이 후진하여 좌우로 검은 커튼이 닫겼다[53].
개연시간 (일본 표준시) |
오스칼 | 앙드레 | 베르나르 | 미셸 | 아르망 | 로셀로와 | 베르 | 샤론 | 제로델 | |
---|---|---|---|---|---|---|---|---|---|---|
1월 1일(화) | 13: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미야 루리카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하야테 | 아이즈키 사야 | 호즈키 안 | 호시나 유타카 | 타마키 료 |
1월 2일(수) | 11:00 | |||||||||
15:00 | ||||||||||
1월3일(목) | 11:00 | |||||||||
15:00 | ||||||||||
1월 5일(토) | 대절공연 | |||||||||
15:00 | ||||||||||
1월 6일(일) | 11:00 | |||||||||
15:00 | ||||||||||
1월 7일(월) | 13:00 | 란쥬 토무 | 아스미 리오 | 아이즈키 사야 | 타마키 료 | 호즈키 안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하야테 | 미야 루리카 | |
1월 8일(화) | 11:00 | |||||||||
15:00 | ||||||||||
1월 10일(목) | 11:00 | |||||||||
15:00 | ||||||||||
1월 11일(금) | 13:00 | 소 카즈호 | ||||||||
1월 12일(토) | 11:00 | |||||||||
15:00 | ||||||||||
1월 13일(일) | 11:00 | |||||||||
15:00 | ||||||||||
1월 14일(월) | 대절공연 | 아스미 리오 | 미야 루리카 | 히비키 레오나 | 우즈키 하야테 | 아이즈키 사야 | 호즈키 안 | 호시나 유타카 | 타마키 료 | |
15:00 | ||||||||||
1월 15일(화) | 13:00 | |||||||||
1월 17일(목) | 11:00 | |||||||||
15:00 | ||||||||||
1월 18일(금) | 13: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19일(토) | 11: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5:00 | ||||||||||
1월 20일(일) | 11: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5:00 | ||||||||||
1월 21일(월) | 13: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월 22일(화) | 13: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24일(목) | 11:00 | |||||||||
1월 25일(금) | 15:00 | |||||||||
1월 26일(토) | 11: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5: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27일(일) | 11:00 | |||||||||
15: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월 28일(월) | 13: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1월 29일(화) | 11:00 | |||||||||
15: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1月31日(木) | 11:00 | |||||||||
15: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2월 1일(금) | 13:00 | |||||||||
2월 2일(토) | 11:00 | |||||||||
15: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2월 3일(일) | 대절공연 | |||||||||
15: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2월 4일(월) | 13: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개연시간 (일본 표준시) |
오스칼 | 앙드레 | |
---|---|---|---|
2월 15일(금) |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2월 16일(토) | 11:00 | ||
15:30 | |||
2월 17일(일) | 11:00 | ||
15:30 | |||
2월 19일(화) | 13:30 | ||
18:30 | |||
2월 20일(수) | 13:30 | ||
2월 21일(목) |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18:30 | |||
2월 22일(금) | 13:30 | ||
2월 23일(토) | 11:0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15:30 | |||
2월24일(일) | 대절공연 | ||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2월 26일(화) | 대절공연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18: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2월 27일(수) |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2월 28일(목) |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3월 1일(금) |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2일(토) | 11:00 | ||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3月3일(일) | 대절공연 | ||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3월 5일(화) | 11:00 | ||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3월 6일(수) |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7일(목) |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18: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3월 8일(금) | 13:30 | ||
3월 9일(토) | 대절공연 | ||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3월 10일(일) | 11:00 | ||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3월 12일(화) | 13: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18: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3월 13일(수) | 13:30 | ||
3월 14일(목) | 대절공연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18: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3월 15일(금) | 13:30 | ||
3월 16일(토) | 11:0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3월 17일(일) | 11:00 | ||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3월 19일(화) |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20일(수) | 11:00 | ||
15: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3월 21일(목) | 대절공연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18:30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3월 22일(금) | 13: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3월 23일(토) | 11:00 | ||
대절공연 | 아스미 리오 | 류 마사키 | |
3월 24일(일) | 11:00 | ||
15:30 | 류 마사키 | 아스미 리오 |
- 2013년 유키구미(페르젠 편)
- 4월 19일 - 5월 27일[50](신인공연:5월 7일[51]): 다카라즈카 대극장, 6월 14일 - 7월, 21일[50](신인공연:6월 27일[51]):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형식명은 「미츠이 스미토모 VISA카드 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50]」. 2막 34장[50].
- 소 카즈호와 마나카 아유의 톱스타 콤비 피로 공연이자 99기생의 초무대 공연.
- 대극장 공연에서는 츠키구미의 류 마사키, 호시구미의 유즈키 레온이 앙드레 역으로, 소라구미의 오우키 카나메가 오스칼 역으로 특별출연 했다.
-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페르젠 상”을 그려내기 위해 대본과 연출을 개정, 오스트리아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앙투아네트의 모친), 마롱 글라세(앙드레의 조모이자 오스칼의 유모) 등 등장하지 않는 조연 캐릭터들이 많아졌다. 이야기 종반, 스웨덴에 귀국한 페르젠이 앙투아네트를 구하기 위해 프랑스를 다시 찾을 것을 결의하고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3세를 알현하는 장면은 편집되어, 대신 스웨덴과 덴마크의 국경에서 페르젠과 제로델 두 사람이 국경 경비대와 싸우는 압력있는 장면으로 바뀌었다.
오스칼 | 앙드레 | 람베스크 공작 | 베르나르 | 알랭 | 로셀로와 | 프랑소와 | |
---|---|---|---|---|---|---|---|
4월23일-4월 30일 | 오우기 카나메 | 유즈키 레온 | 미스즈 아키 | 사기리 세이나 | 아야나기 쇼 | 아야카제 사키나 | 호카제 나루미 |
5월 24일-5월 26일 | 사기리 세이나 | 류 마사키 | 아야나기 쇼 | 아야카제 사키나 | 호카제 나루미 | 쿠죠 아스 | |
상기 이외의 일정 | 미스즈 아키 | 호쇼 다이 |
- 2014년 소라구미 (오스칼 편)
- 5월 2일 - 6월 2일[56](신인공연:5월 20일[57]):다카라즈카 대극장, 6월 20일 - 7월 27일[58](신인공연:7월 3일[59]):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 형식명은 「미츠이 스미토모 VISA카드 시어터 다카라즈카 그랜드 로망[56][58]」. 2막 41장[56][58]。
- 6월 27일의 도쿄 다카라즈카 극장 공연중에 관객동원수 500만명 돌파[60].
그 외의 극장에서의 공연
편집- 1976년 하나구미(앙드레와 오스칼)[61] 지방공연
- 4월 15일 -4월 26일[61] 센다이, 야마가타, 사카타, 아키타, 시미즈, 하마마츠, 욧카이치, 이세
- 4월 30일 - 5월 7일[61] 후쿠오카 시민회관
- 5월 8일 - 5월 23일[61] 히로시마, 후쿠야마, 오카야마, 쿠라시키, 후쿠이, 다카오카, 카나자와, 이토이가와, 니가타, 나가오카
- 6월 10일 – 6월 27일[61] 마에바시, 미토, 이와키, 모리오카, 하치노헤, 오오타, 우라와, 후지사와, 도쿠시마, 마루가메, 다카마츠, 마츠야마
- 6월 30일 - 7월 11일[61] 나고야 중일극장
- 3개월에 걸친 장기 지방공연(당시에는 전국투어를 이렇게 불렀다. 그럭저럭 인기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토이가와 공연에서는 현지 행사와 기간이 겹쳤기 때문에 관객이 4명 뿐이었다.
- 1977년 하나구미 『판타지 베르사이유의 장미』[61] 지방공연
- 10월 8일 – 10월 31일[61] 구시로, 오비히로, 삿포로, 오타루, 도마코마이, 무로란, 하나마키, 센다이, 치바, 카와고에, 나하
- 병연 공연은 『이승의 벚꽃』.
- 앙드레와 오스칼 편을 짧게 편집하여 1시간 반의 작품으로 만든것
- 1978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판타지 베르사이유의 장미』[61] 지방공연
- 9월 1일 – 9월 24일[61] 카리야, 이치노미야, 와카야마, 히로시마, 후쿠야마, 시모노세키, 고쿠라, 호후, 사가, 사세보, 사세보, 나가사키, 구마모토, 오이타, 쿠루미, 타케오
- 앙드레와 오스칼편에 도쿄 츠키구미의 각본 등을 도입하여 개정한 작품.
- 1979년 하나구미(앙드레와 오스칼)[62] 지방공연
- 9월 7일 - 10월 1일[62] 이치노미야, 카스가이, 이세, 가카미가하라, 도요하시, 이와타, 시즈오카, 요코하마, 히가시 마츠야마, 나라시노, 하치오지, 카시와, 후쿠시마, 센다이, 모리오카, 삿포로, 오비히로, 아시베츠, 아사히카와
- 각본은 1978년 유키구미 전국투어 버전을 차용. 마츠 아키라가 오스칼을 연기하여 페르젠과 앙드레 등 남역 주요 3역을 모두 연기한 것을 두고 「베르바라 3관왕」이라고 불렸다.
- 1980년 유키구미(앙드레와 오스칼)[62] 지방공연
- 5월 1일 - 5월 5일[62] 후쿠오카 시민회관
- 5월 10일 - 5월 25일[62] 쿠라시키, 나라, 히로시마, 우베, 키쿠치, 아마기, 시마바라, 혼도, 야시로, 미야자키, 미야코노조, 가고시마
- 각본우 1978년 유키구미 전국투어의 개정판. 미기와 나츠코의 최후의 지방공연이었기 때문에 전 일정을 따라다닌 열성 팬도 있었다.
- 1991년 유키구미(오스칼과 앙드레 편) 지방공연
- 4월 13일 - 4월 29일[36]
- 공연 장소[36]
- 형식명은 「다카라즈카 로망[36]」.
- 모리 케아키가 오스칼 역, 아유 유우키가 마리 앙투아네트 역으로 본공연과는 배역을 바꾸어서 상연하였다.
- 1991년 하나구미(페르젠 편) 지방공연
- 9월 8일 - 9월 30일[36]
- 공연 장소[36]
- 9월 8일 다카마츠
- 9월 10일 모리야마
- 9월 11일 한다
- 9월 12일 코난
- 9월 13일 마츠사카
- 9月15日 마치다
- 9月16日 가와구치
- 9月17日 쵸후
- 9月18日 사가노 오오노
- 9月20日 다가조
- 9月21、22日 센다이
- 9月24日 하코다테
- 9月26日 오비히로
- 9月28、29日 삿포로
- 9月30日 아사히카와
- 형식명은 「다카라즈카 로망[36]」.
- 오우라 미즈키와 히비키 미토의 퇴단이 이미 발표되어 있었기 때문에 마지막 전국투어가 되었다.
- 2005년 호시구미(페르젠과 마리 앙투아네트 편)
- 9월 24일 - 10월 21일 전국투어
- 11월 11일(금) - 11월 13일(일)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1번지)
- 한일 국교 정상화 40주년 기념 「한일 우정의 해 2005 다카라즈카 가극단 공연」
- 병연은 쇼 『소울 오브 시바!!』.
- 전국투어 공연 장소
- 2006年・雪組(オスカル編)
- 7月1日 - 28日 全国ツアー
- 当時2番手男役の水夏希が主演を務めた。
- 全国ツアーの公演場所
- 7月1日・2日 梅田芸術劇場・メインホール
- 7月4日 山梨県立県民文化ホール
- 7月5日 アミューたちかわ(立川市民会館)
- 7月7日 さいたま市文化センター
- 7月8日・9日 神奈川県民ホール
- 7月11日 グリーンホール相模大野(神奈川県)
- 7月13日 富士市文化会館(静岡県)
- 7月15日 日進市民会館(愛知県)
- 7月16日 一宮市民会館(愛知県)
- 7月17日 守山市民ホール(滋賀県)
- 7月19日 呉市文化ホール(広島県)
- 7月21日 九州厚生年金会館(北九州市)
- 7月22日・23日 福岡市民会館
- 7月25日 iichiko総合文化センター グランシアタ(大分県)
- 7月27日・28日 鹿児島県文化センター
- 2014年・雪組(オスカルとアンドレ編)
- 3月7日 - 26日 全国ツアー[63]
- 形式名は「宝塚グランドロマン[63]」。2幕30場[63]。
- 2013年の「フェルゼン編」でオスカル役を演じた2番手男役の早霧せいなが主演を務めた。
公演日 | 公演場所 |
---|---|
3月7日(金) | 梅田芸術劇場・メインホール (大阪府) |
3月8日(土) | |
3月9日(日) | |
3月12日(水) | まつもと市民・芸術館(長野県) |
3月13日(木) | コラニー文化ホール(山梨県立県民文化ホール) |
3月15日(土) | 日本特殊陶業市民会館フォレストホール(名古屋市民会館) (愛知県) |
3月16日(日) | |
3月18日(火) | 伊勢市観光文化会館(三重県) |
3月19日(水) | 三重県文化会館(三重県) |
3月21日(金) | 北九州ソレイユホール(旧・九州厚生年金会館) (福岡県) |
3月22日(土) | 福岡市民会館(福岡県) |
3月23日(日) | |
3月25日(火) | アルカスSASEBO(長崎県) |
3月26日(水) | 長崎ブリックホール(長崎県) |
- 2014年・花組(フェルゼンと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編)
- 6月12日 - 6月29日 中日劇場 [64]
- 形式名は「宝塚グランドロマン[64]」。2幕31場[64]。
- 明日海りおのトップお披露目公演。
- 2014年・宙組(フェルゼンと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編)
- 8月29日 - 9月21日 全国ツアー[65]
- 形式名は「宝塚グランドロマン[65]」。2幕33場[65]。
- 2番手男役の朝夏まなとが主演を務めた。
公演日 | 公演場所 |
---|---|
8月29日(金) | 梅田芸術劇場・メインホール (大阪府) |
8月30日(土) | |
8月31日(日) | |
9月3日(水) | オーバード・ホール(富山県) |
9月5日(金) | 府中の森芸術劇場(東京都) |
9月6日(土) | 相模女子大学グリーンホール(グリーンホール相模大野) (神奈川県) |
9月7日(日) | 市川市文化会館(千葉県) |
9月9日(火) | 酒田市民会館「希望ホール」 (山形県) |
9月11日(木) | 秋田市文化会館(秋田県) |
9月13日(土) | イズミティ21(宮城県) |
9月14日(日) | |
9月15日(月) | |
9월 17일(수) | 링크 스테이션 홀 아오모리(아오모리시 문화회관) (아오모리 현) |
9월 18일(목) | 대관 시민 문화회관(아키타 현) |
9월 20일(토) | 니토리 문화 홀(구 홋카이도 후생성 연금회관) (홋카이도) |
9월 21일(일) |
출연자들
편집※氏名の後ろの「()」の文字はその年当時の所属組
2006년・호시구미 다카라즈카・도쿄
편집※츠키구미・유키구미 출연자 이외는 다카라즈카[66]・도쿄[67] 공통. 츠키구미・유키구미는 다카라즈카만 출연. 하나카제 미라이는, 다카라즈카에서는 1월 19일부터 전일정, 도쿄에서는 전일정 휴연.
- 나토리 레이 (전과)
- 쿠니 나츠키 (전과)
- 미사 노에루 (전과)
- 이즈모 아야 (전과)
- 오오조라 유우히 (츠키구미, 다카라즈카에서만, 1월 27일 (금) - 2월 6일 (월))
- 키리야 히로무 (츠키구미, 다카라즈카에서만, 1월 12일 (목) - 1월 19일 (목))
- 아사미 히카루 (유키구미, 다카라즈카에서만, 1월 1일 (일) - 1월 3일 (화))
- 타카시로 케이 (유키구미, 다카라즈카에서만, 1월 5일 (목) - 1월 10일 (화))
- 미즈 나츠키 (유키구미, 다카라즈카에서만, 1월 20일 (금) - 1월 26일 (목))
2006年・雪組 宝塚・東京
편집※花組・月組・星組出演者以外は宝塚[68]・東京[69]共通。
2006年・雪組 全国ツアー
편집2013년 츠키구미 다카라즈카・도쿄
편집※하나구미・유키구미 출신자 이외는 다카라즈카[71]・도쿄[72] 공통
2013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도쿄
편집※츠키구미・호시구미・소라구미 출연자 이외는 다카라즈카[74]・도쿄[75] 공통
99기생 A반 (도쿄 only)
편집2014年・雪組 全国ツアー
편집2014年・花組 中日劇場
편집2014年・宙組 宝塚・東京
편집2014年・宙組 全国ツアー
편집- 寿つかさ
- 大海亜呼
- 朝夏まなと
- 七海ひろき
- 風羽玲亜
- 澄輝さやと
- 綾瀬あきな
- 星吹彩翔
- 瀬音リサ
- 蒼羽りく
- 結乃かなり
- 風馬翔
- 花咲あいり
- 桜音れい
- 愛咲まりあ
- 実咲凜音
- 実羚淳
- 涼華まや
- 真みや涼子
- 和希そら
- 瀬戸花まり
- 里咲しぐれ
- 秋奈るい
- 朝日奈蒼
- 瑠風輝
- 小春乃さよ
- 穂稀せり
- 風輝駿
- 華妃まいあ
- 澄風なぎ
- 若翔りつ
- 咲翔みなき
- 天瀬はつひ
- 英真なおき(専科)
2001年(ベルサイユのばら2001)
편집宙組と星組が東西同時上演。ポスターを横尾忠則が担当。
- 宙組(フェルゼンと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編)
- 4月6日 - 5月14日(新人公演:4月24日):宝塚大劇場[80]、6月29日 - 8月12日(新人公演:7月10日):東京宝塚劇場[42]
- 形式名は「三井住友VISAシアター 宝塚グランドロマン[80][42]」。2部36場[80][42]。
- 第87期生(龍真咲、早霧せいなら)の初舞台公演。
- ある日の宝塚大劇場2回公演時、1回目公演後に大階段を繋ぐワイヤーにトラブルの為、第2回開演時間が大幅にずれ込む事態が発生したことがあり、その際、第一幕の歌が本来『御覧なさい 御覧なさい…』の部分を『ごめんなさい ごめんなさい…』と変更するなどのファンサービスが行われた。なお、応急修理の為に業者が呼ばれ、修理される待ち時間の間、支配人が2回舞台に上がり謝罪を述べている。
- 宝塚における特別出演(専科)[80]:城火呂絵、星里未子、未沙のえる、箙かおる、彩輝直
宝塚[80] | 東京[42] | |
---|---|---|
彩輝直 | 4月28日-5月14日 | 6月29日-7月23日 |
水夏希 | 4月6日-4月27日 | 7月24日-8月12日 |
宝塚[80] | 東京[42] | |
---|---|---|
彩輝直 | 4月6日-4月27日 | 7月24日-8月12日 |
水夏希 | 4月28日-5月14日 | 6月29日-7月23日 |
- 星組(オスカルとアンドレ編)
- 3月30日 - 5月6日(新人公演:4月10日):東京宝塚劇場[42]、8月17日 - 10月1日(新人公演:9月4日):宝塚大劇場[81]
- 形式名は「三井住友VISAシアター 宝塚グランドロマン[81][42]」。2部32場[81][42]。
- トップコンビ稔幸と星奈優里の退団公演。
- 通算観客動員356万4千人を記録した。
- 東京公演における特別出演(専科)[42]:高ひづる、汝鳥伶、邦なつき、一樹千尋、一原けい、香寿たつき、湖月わたる、樹里咲穂
東京[42] | 宝塚[81] | |
---|---|---|
香寿たつき | 3月30日-4月13日 | 8月17日-10月1日 |
湖月わたる | 4月14日-4月27日 | - |
樹里咲穂 | 4月28日-5月6日 |
東京[82] | 宝塚[81] | |
---|---|---|
星原美沙緒 | - | 8月17日-8月27日 9月11日-10月1日 |
未沙のえる | 8月28日-9月10日 | |
汝鳥伶 | 3月30日 - 5月6日 | - |
2006年
편집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生誕250年を記念して再演。
- 星組(フェルゼンと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編)
- 1月1日 - 2月6日[83](新人公演:1月17日[84]):宝塚大劇場、2月17日 - 4月2日[83](新人公演:2月28日[84]):東京宝塚劇場
- 形式名は「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生誕250周年記念 三井住友VISAシアター 宝塚グランドロマン[83]」。2部35場[83]。
役者名 | 日程 |
---|---|
朝海ひかる(雪組) | 1月1日(日)-1月3日(火) |
貴城けい(雪組) | 1月5日(木)-1月10日(火) |
霧矢大夢(月組) | 1月12日(木)-1月19日(木) |
水夏希(雪組) | 1月20日(金)-1月26日(木) |
大空祐飛(月組) | 1月27日(金)-2月6日(月) |
アンドレ | ベルナール | |
---|---|---|
2月17日(金)-3月3日(金) | 立樹遥 | 柚希礼音 |
3月4日(土)-3月14日(火) | 柚希礼音 | 立樹遥 |
3月16日(木)-3月21日(火) | 立樹遥 | 柚希礼音 |
3月23日(木)-4月2日(日) | 柚希礼音 | 立樹遥 |
- 雪組(オスカル編)
- 2月10日 - 3月20日[83](新人公演:2月28日[84]):宝塚大劇場、4月7日 - 5月21日[83](新人公演:4月18日[84]):東京宝塚劇場
- 形式名は「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生誕250周年記念 三井住友VISAシアター 宝塚グランドロマン[83]」。2部33場[83]。
- 雪組大劇場公演中の2006年3月17日に通算観客動員400万人を記録した。
- 貴城けい、水夏希はアンドレ役で出演以外は、貴城はジェローデル、水はアラン役で出演した。
宝塚[87] | 東京[88] | |
---|---|---|
湖月わたる(星組) | 2月10日(金)-2月12日(日) | - |
春野寿美礼(花組) | 2月20日(月)-2月23日(木) | - |
瀬奈じゅん(月組) | 3月6日(月)-3月12日(日) | - |
貴城けい(雪組) | 2月13日(月)-2月19日(日) 3月17日(金)-3月20日(月) |
4月7日(金)-4月24日(月) |
水夏希(雪組) | 2月24日(金)-3月5日(日) 3月13日(月)-3月16日(木) |
5月6日(土)-5月21日(日) |
安蘭けい(星組) | - | 4月25日(火)-5月5日(金) |
2013年 - 2014年
편집宝塚歌劇100周年を記念して再演。
- 2013年・月組(オスカルとアンドレ編)
- 1月1日 - 2月4日[89](新人公演:1月22日[90]):宝塚大劇場、2月15日 - 3月24日[89](新人公演:2月28日[90]):東京宝塚劇場
- 形式名は「三井住友VISAカード シアター 宝塚グランドロマン[89]」。2幕32場[89]。
- 前公演『ロミオとジュリエット』に続く主役の役替わり公演第2弾。トップスター龍真咲と準トップスター明日海りおがオスカル役、アンドレ役を役替りで演じる。
- 大劇場公演では、花組の蘭寿とむ、雪組の壮一帆がアンドレ役で特別出演した。
- 3月21日(木)13時30分からの公演で、1974年初演以来の観劇者が450万人に到達[91]。
- 2013年月組版の演出面での目玉としては、最後の馬車に乗って天国に行くシーンで、オスカルとアンドレを乗せた馬車を、クレーンを用いてそのまま空中へ飛ばす新演出が挙げられる(従来、このシーンは回り舞台の上に銀馬車を置き、回り舞台を回転させて馬車の走行を演出していた。なお銀馬車を使わないバージョンもある)。この派手な演出は製作発表会にて植田紳爾 (脚本・演出)が「これは大きな見せ場だと思います」と言った通りになった。銀馬車および馬車を曳く白馬にはLEDで溢れんばかりの電飾が施された。光り輝く馬車に乗った二人が舞台から大きくせり出し、一階観客の頭上を上手側、下手側へ大きく左右に動いてアピール、この演出によって「地上では結ばれない貴族と平民の恋の、天国での成就」を描き出し、観客は拍手喝采、またクレーンによる上昇は思いのほか上がって、二階席の客へは今にも手が届かんばかりに迫っており、これもまた客の期待に予想以上に応えた。舞台退場時は馬車を持ち上げたままクレーンが後退し、左右から黒カーテンが閉まった[92]。
開演時間 (日本標準時) |
オスカル | アンドレ | ベルナール | ミッシェル | アルマン | ロセロワ | ヴェール | シャロン | ジェローデル | |
---|---|---|---|---|---|---|---|---|---|---|
1月1日(火) | 13: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美弥るりか | 響れおな | 宇月颯 | 煌月爽矢 | 鳳月杏 | 星那由貴 | 珠城りょう |
1月2日(水) | 11:00 | |||||||||
15:00 | ||||||||||
1月3日(木) | 11:00 | |||||||||
15:00 | ||||||||||
1月5日(土) | 貸切公演 | |||||||||
15:00 | ||||||||||
1月6日(日) | 11:00 | |||||||||
15:00 | ||||||||||
1月7日(月) | 13:00 | 蘭寿とむ | 明日海りお | 煌月爽矢 | 珠城りょう | 鳳月杏 | 響れおな | 宇月颯 | 美弥るりか | |
1月8日(火) | 11:00 | |||||||||
15:00 | ||||||||||
1月10日(木) | 11:00 | |||||||||
15:00 | ||||||||||
1月11日(金) | 13:00 | 壮一帆 | ||||||||
1月12日(土) | 11:00 | |||||||||
15:00 | ||||||||||
1月13日(日) | 11:00 | |||||||||
15:00 | ||||||||||
1月14日(月) | 貸切公演 | 明日海りお | 美弥るりか | 響れおな | 宇月颯 | 煌月爽矢 | 鳳月杏 | 星那由貴 | 珠城りょう | |
15:00 | ||||||||||
1月15日(火) | 13:00 | |||||||||
1月17日(木) | 11:00 | |||||||||
15:00 | ||||||||||
1月18日(金) | 13: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1月19日(土) | 11: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15:00 | ||||||||||
1月20日(日) | 11: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15:00 | ||||||||||
1月21日(月) | 13: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1月22日(火) | 13: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1月24日(木) | 11:00 | |||||||||
1月25日(金) | 15:00 | |||||||||
1月26日(土) | 11: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15: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1月27日(日) | 11:00 | |||||||||
15: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1月28日(月) | 13: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1月29日(火) | 11:00 | |||||||||
15: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1月31日(木) | 11:00 | |||||||||
15: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2月1日(金) | 13:00 | |||||||||
2月2日(土) | 11:00 | |||||||||
15: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2月3日(日) | 貸切公演 | |||||||||
15: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2月4日(月) | 13: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開演時間 (日本標準時) |
オスカル | アンドレ | |
---|---|---|---|
2月15日(金) | 15: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2月16日(土) | 11:00 | ||
15:30 | |||
2月17日(日) | 11:00 | ||
15:30 | |||
2月19日(火) | 13:30 | ||
18:30 | |||
2月20日(水) | 13:30 | ||
2月21日(木) | 13: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18:30 | |||
2月22日(金) | 13:30 | ||
2月23日(土) | 11:0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15:30 | |||
2月24日(日) | 貸切公演 | ||
15: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2月26日(火) | 貸切公演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18: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2月27日(水) | 13: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2月28日(木) | 13: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3月1日(金) | 13: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3月2日(土) | 11:00 | ||
15: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3月3日(日) | 貸切公演 | ||
15: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3月5日(火) | 11:00 | ||
15: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3月6日(水) | 13: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3月7日(木) | 13: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18: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3月8日(金) | 13:30 | ||
3月9日(土) | 貸切公演 | ||
15: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3月10日(日) | 11:00 | ||
15: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3月12日(火) | 13: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18: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3月13日(水) | 13:30 | ||
3月14日(木) | 貸切公演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18: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3月15日(金) | 13:30 | ||
3月16日(土) | 11:0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15: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3月17日(日) | 11:00 | ||
15: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3月19日(火) | 13: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3月20日(水) | 11:00 | ||
15: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3月21日(木) | 貸切公演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18:30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3月22日(金) | 13: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3月23日(土) | 11:00 | ||
貸切公演 | 明日海りお | 龍真咲 | |
3月24日(日) | 11:00 | ||
15:30 | 龍真咲 | 明日海りお |
- 2013年・雪組(フェルゼン編)
- 4月19日 - 5月27日[89](新人公演:5月7日[90]): 宝塚大劇場、6月14日 - 7月21日[89](新人公演:6月27日[90]):東京宝塚劇場
- 形式名は「三井住友VISAカード シアター 宝塚グランドロマン[89]」。2幕34場[89]。
- 壮一帆と愛加あゆのトップコンビお披露目公演であり、第99期生の初舞台公演。
- 大劇場公演では、月組の龍真咲、星組の柚希礼音がアンドレ役で、宙組の凰稀かなめがオスカル役で特別出演した。
- “積極的に行動するフェルゼン像”を描くため、再び台本、演出を改訂、オーストリア女王マリア・テレジア(アントワネットの母親)、マロングラッセ婆や(アンドレの祖母、オスカルの乳母)など登場しなくなった脇役も多い。物語終盤、スウェーデンに帰国していたフェルゼンがアントワネット救出のため、フランス再訪への決意を胸に、スウェーデン国王グスタフ3世に謁見するシーンはカットされ、代わりにスウェーデン・デンマーク国境において、フェルゼン・ジェローデルの二人組が国境警備隊と大立ち回りを演ずる、迫力あるシーンに差し替わった。
オスカル | アンドレ | ランベスク公爵 | ベルナール | アラン | ロセロワ | フランソワ | |
---|---|---|---|---|---|---|---|
4月23日-4月30日 | 凰稀かなめ | 柚希礼音 | 未涼亜希 | 早霧せいな | 彩凪翔 | 彩風咲奈 | 帆風成海 |
5月24日-5月26日 | 早霧せいな | 龍真咲 | 彩凪翔 | 彩風咲奈 | 帆風成海 | 久城あす | |
上記以外の日程 | 未涼亜希 | 鳳翔大 |
- 2014年・宙組(オスカル編)
- 5月2日 - 6月2日[56](新人公演:5月20日[57]):宝塚大劇場、6月20日 - 7月27日[58](新人公演:7月3日[59]):東京宝塚劇場
- 形式名は「三井住友VISAカード シアター 宝塚グランドロマン[56][58]」。2幕41場[56][58]。
- 6月27日の東京宝塚劇場公演中に観客動員500万人を突破[93]。
その他の劇場での公演
편집- 1976年・花組(アンドレとオスカル)[94] 地方公演
- 4月15日 -4月26日[94] 仙台、山形、酒田、秋田、清水、浜松、四日市、伊勢
- 4月30日 - 5月7日[94] 福岡市民会館
- 5月8日 - 5月23日[94] 広島、福山、岡山、倉敷、福井、高岡、金沢、糸魚川、新潟、長岡
- 6月10日 – 6月27日[94] 前橋、水戸、平、盛岡、八戸、太田、浦和、藤沢、徳島、丸亀、高松、松山
- 6月30日 - 7月11日[94] 名古屋・中日劇場
- 足掛け3ヶ月に及ぶ長期地方公演(当時は全国ツアーの事をこう呼んでいた)。それほど人気があったともいえる。しかし、糸魚川の公演では地元の行事と日程が重なったため、観客が4人しかいなかった。
- 1977年・花組『ファンタジー・ベルサイユのばら』[94] 地方公演
- 10月8日 – 10月31日[94] 釧路、帯広、札幌、小樽、苫小牧、室蘭、花巻、仙台、千葉、川越、那覇
- 併演は『うつしよ桜』。
- アンドレとオスカル編を短くして、1時間半の作品にしたもの。
- 1978年・雪組『宝塚ファンタジー・ベルサイユのばら』[94] 地方公演
- 9月1日 – 9月24日[94] 刈谷、一宮、和歌山、広島、福山、下関、小倉、防府、佐賀、佐世保、長崎、熊本、大分、久留米、武雄
- アンドレとオスカル編に、東京月組の脚本等を取り込んで改訂した作品。
- 1979年・花組(アンドレとオスカル)[95] 地方公演
- 9月7日 - 10月1日[95] 一宮、春日井、伊勢、各務原、豊橋、磐田、静岡、横浜、東松山、習志野、八王子、柏、福島、仙台、盛岡、札幌、帯広、芦別、旭川
- 脚本は1978年の雪組全ツの時のもの。松あきらがオスカルを演じ、フェルゼン、アンドレと男役の主要3役すべてを演じたことで「ベルばら三冠王」と呼ばれた。
- 1980年・雪組(アンドレとオスカル)[95] 地方公演
- 5月1日 - 5月5日[95] 福岡市民会館
- 5月10日 - 5月25日[95] 倉敷、奈良、広島、宇部、菊池、甘木、島原、本渡、八代、宮崎、都城、鹿児島
- 脚本は1978年雪組全ツの改訂版。汀夏子の最後の地方公演となったため、全日程をついてまわった熱狂的なファンもいた。
- 1991年・雪組(オスカル・アンドレ編) 地方公演
- 4月13日 - 4月29日[96]
- 公演場所[96]
- 4月13日 瀬戸
- 4月14日 一宮
- 4月16日 川口
- 4月17日 相模大野
- 4月19日 前橋
- 4月20日 市川
- 4月21日 多摩
- 4月23日 静岡
- 4月24日 浜北
- 4月25日 豊川
- 4月26日 大津
- 4月28日 呉
- 4月29日 広島
- 5月1日 - 5日 福岡市民会館 [96]
- 形式名は「宝塚ロマン[96]」。
- 杜けあきがオスカル役、鮎ゆうきが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役と本公演とは配役と脚本を変更して上演された。
- 1991年・花組(フェルゼン編) 地方公演
- 9月8日 - 9月30日[96]
- 公演場所[96]
- 9月8日 高松
- 9月10日 守山
- 9月11日 半田
- 9月12日 江南
- 9月13日 松阪
- 9月15日 町田
- 9月16日 川口
- 9月17日 調布
- 9月18日 相模大野
- 9月20日 多賀城、
- 9月21、22日 仙台
- 9月24日 函館
- 9月26日 帯広
- 9月28、29日 札幌
- 9月30日 旭川
- 形式名は「宝塚ロマン[96]」。
- 大浦みずきとひびき美都の退団がすでに発表されており、最後の全国ツアーとなった。
- 2005年・星組(フェルゼンと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編)
- 9月24日 - 10月21日 全国ツアー
- 11月11日(金) - 11月13日(日) 慶熙(きょんひ)大学「平和の殿堂」(大韓民国ソウル特別市東大門区回基洞1番地)
- 日韓国交正常化40周年記念「日韓友情年2005 宝塚歌劇韓国公演」
- 併演はショー『ソウル・オブ・シバ!!』。
- 全国ツアーの公演場所
- 2006年・雪組(オスカル編)
- 7月1日 - 28日 全国ツアー
- 当時2番手男役の水夏希が主演を務めた。
- 全国ツアーの公演場所
- 7月1日・2日 梅田芸術劇場・メインホール
- 7月4日 山梨県立県民文化ホール
- 7月5日 アミューたちかわ(立川市民会館)
- 7月7日 さいたま市文化センター
- 7月8日・9日 神奈川県民ホール
- 7月11日 グリーンホール相模大野(神奈川県)
- 7月13日 富士市文化会館(静岡県)
- 7月15日 日進市民会館(愛知県)
- 7月16日 一宮市民会館(愛知県)
- 7月17日 守山市民ホール(滋賀県)
- 7月19日 呉市文化ホール(広島県)
- 7月21日 九州厚生年金会館(北九州市)
- 7月22日・23日 福岡市民会館
- 7月25日 iichiko総合文化センター グランシアタ(大分県)
- 7月27日・28日 鹿児島県文化センター
- 2014年・雪組(オスカルとアンドレ編)
- 3月7日 - 26日 全国ツアー[63]
- 形式名は「宝塚グランドロマン[63]」。2幕30場[63]。
- 2013年の「フェルゼン編」でオスカル役を演じた2番手男役の早霧せいなが主演を務めた。
公演日 | 公演場所 |
---|---|
3月7日(金) | 梅田芸術劇場・メインホール (大阪府) |
3月8日(土) | |
3月9日(日) | |
3月12日(水) | まつもと市民・芸術館(長野県) |
3月13日(木) | コラニー文化ホール(山梨県立県民文化ホール) |
3月15日(土) | 日本特殊陶業市民会館フォレストホール(名古屋市民会館) (愛知県) |
3月16日(日) | |
3月18日(火) | 伊勢市観光文化会館(三重県) |
3月19日(水) | 三重県文化会館(三重県) |
3月21日(金) | 北九州ソレイユホール(旧・九州厚生年金会館) (福岡県) |
3月22日(土) | 福岡市民会館(福岡県) |
3月23日(日) | |
3月25日(火) | アルカスSASEBO(長崎県) |
3月26日(水) | 長崎ブリックホール(長崎県) |
- 2014年・花組(フェルゼンと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編)
- 6月12日 - 6月29日 中日劇場 [64]
- 形式名は「宝塚グランドロマン[64]」。2幕31場[64]。
- 明日海りおのトップお披露目公演。
- 2014年・宙組(フェルゼンと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編)
- 8月29日 - 9月21日 全国ツアー[65]
- 形式名は「宝塚グランドロマン[65]」。2幕33場[65]。
- 2番手男役の朝夏まなとが主演を務めた。
公演日 | 公演場所 |
---|---|
8月29日(金) | 梅田芸術劇場・メインホール (大阪府) |
8月30日(土) | |
8月31日(日) | |
9月3日(水) | オーバード・ホール(富山県) |
9月5日(金) | 府中の森芸術劇場(東京都) |
9月6日(土) | 相模女子大学グリーンホール(グリーンホール相模大野) (神奈川県) |
9月7日(日) | 市川市文化会館(千葉県) |
9月9日(火) | 酒田市民会館「希望ホール」 (山形県) |
9月11日(木) | 秋田市文化会館(秋田県) |
9月13日(土) | イズミティ21(宮城県) |
9月14日(日) | |
9月15日(月) | |
9月17日(水) | リンクステーションホール青森(青森市文化会館) (青森県) |
9月18日(木) | 大館市民文化会館(秋田県) |
9月20日(土) | ニトリ文化ホール(旧・北海道厚生年金会館) (北海道) |
9月21日(日) |
배역 목록
편집푸른색이 주연 남역, 핑크색은 주연 여역을 의미한다. 1970년대에는 스타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더블 톱스타 제도가 있다. 불명확한 점은 공백으로 한다.
본공연
편집2013年月組 | 2013年雪組 | 2014年宙組 | |
---|---|---|---|
劇場 | 宝・東 | 宝・東 | 宝・東 |
オスカル | 龍真咲 明日海りお |
早霧せいな 凰稀かなめ[注 20] |
凰稀かなめ |
アンドレ | 龍真咲 明日海りお 蘭寿とむ 壮一帆[注 21] |
未涼亜希 柚希礼音 龍真咲[注 22] |
朝夏まなと 緒月遠麻 |
アントワネット | - | 愛加あゆ | - |
フェルゼン | 紫門ゆりや | 壮一帆 | - |
ジェローデル | 珠城りょう 美弥るりか[注 23] |
夢乃聖夏 | 七海ひろき 朝夏まなと |
アラン | 星条海斗 | 彩風咲奈 彩凪翔[注 24] |
緒月遠麻 七海ひろき |
ベルナール | 美弥るりか 明日海りお[注 25] |
彩凪翔 早霧せいな[注 26] |
蓮水ゆうや |
ロザリー | 愛希れいか | 早花まこ | 実咲凜音 |
オスカル(子供時代) | 咲妃みゆ | - | 星吹彩翔 |
アンドレ(子供時代) | 海乃美月 | - | |
小公子 | - | 和希そら | |
小公女 | - | 真みや涼子 瀬戸花まり | |
脚本・演出(スタッフ) | 植田紳爾 | ||
演出(スタッフ) | 鈴木圭 | 谷正純 |
신인공연
편집※1976년 츠키구미는 역할교환 공연이다
2013年月組 | 2013年雪組 | 2014年宙組 | |
---|---|---|---|
劇場 | 宝・東 | 宝・東 | 宝・東 |
オスカル | 煌月爽矢 | 煌羽レオ | 和希そら |
アンドレ | 鳳月杏 | 帆風成海 | 実羚淳 |
アントワネット | - | 夢華あみ | - |
フェルゼン | 星那由貴 | 彩風咲奈 | - |
ジェローデル | 天翔りいら | 久城あす | 桜木みなと |
アラン | 珠城りょう | 永久輝せあ | 留依蒔世 |
ベルナール | 輝月ゆうま | 月城かなと | 瑠風輝 |
ロザリー | 海乃美月 | 星乃あんり | 伶美うらら |
ディアンヌ | |||
脚本・演出(スタッフ) | 植田紳爾 | ||
演出(スタッフ) | 鈴木圭 | 谷正純 |
その他の劇場での公演
편집1976年花組 | 1977年花組 | 1978年雪組 | 1979年花組 | 1980年雪組 | |
---|---|---|---|---|---|
公演 | 地方公演 | ||||
オスカル | 安奈淳 | 安奈淳 | 汀夏子 | 松あきら | 汀夏子 |
アンドレ | 榛名由梨 | 松あきら | 麻実れい | みさとけい | 麻実れい |
アントワネット | 上原まり | 城月美穂 | 邦月美岐 | 城月美穂 | |
フェルゼン | 松あきら | みさとけい | 常花代 | 汐見里佳 | 常花代 |
ジェローデル | 新城まゆみ | 新城まゆみ | 尚すみれ | 央いおり | 尚すみれ |
アラン | 汐見里佳 | 汐見里佳 | |||
ベルナール | 立ともみ | 室町あかね | 真咲佳子 | ||
ロザリー | 美樹ひろみ | 花鳥いつき | |||
ジャンヌ | 八汐みちる | 昇路みちる | |||
脚本・演出(スタッフ) | 植田紳爾 |
1991年雪組 | 1991年花組 | 2005年星組 | 2006年雪組 | |
---|---|---|---|---|
公演 | 地方公演 | 全国ツアー | ||
オスカル | 杜けあき[96] | 真矢みき[96] | 涼紫央[115] | 水夏希[注 58] |
アンドレ | 海峡ひろき[96] | 愛華みれ[96] | 立樹遥[115] | 壮一帆 |
アントワネット | 鮎ゆうき[96] | ひびき美都[96] | 白羽ゆり[115] | - |
フェルゼン | 高嶺ふぶき[96] | 大浦みずき[96] | 湖月わたる[115] | - |
ジェローデル | 轟悠[96] | 宝樹芽里[96] | 麻尋しゅん[115] | 沙央くらま |
アラン | 風見玲央[96] | - | - | 緒月遠麻 |
ベルナール | 和光一[96] | 舵一星[96] | 綺華れい[115] | 悠なお輝 |
ロザリー | 朝霧舞[96] | 峰丘奈知[96] | 琴まりえ[115] | 舞風りら |
ジャンヌ | 小乙女幸[96] | |||
メルシー伯爵 | 麻月鞠緒[96] | 未沙のえる[115] | ||
グスタフ3世 | 未沙のえる[96] | 英真なおき[115] | ||
ソフィア | 香坂千晶[96] | |||
ジャルジェ将軍 | 飛鳥裕[96] | |||
ルイ16世 | 星原美沙緒[96] | 大真みらん[115] | ||
プロバンス伯爵 | 磯野千尋[96] | 紫蘭ますみ[115] | ||
ポリニャック伯爵夫人 | 真咲佳子[96] | |||
シャルロット | 早原みゆ紀[96] | |||
シッシーナ夫人 | 北小路みほ[96] | しのぶ紫[115] | ||
脚本・演出(スタッフ) | 植田紳爾 | |||
演出(スタッフ) | - | 谷正純 |
2014年雪組 | 2014年花組 | 2014年宙組 | 2015年花組 | |
---|---|---|---|---|
公演 | 全国ツアー | 中日劇場 | 全国ツアー | 梅田・台湾 |
オスカル | 早霧せいな[注 58] | 芹香斗亜 | 七海ひろき | 柚香光 |
アンドレ | 夢乃聖夏 | 望海風斗 | 蒼羽りく | 芹香斗亜 |
アントワネット | - | 蘭乃はな | 実咲凜音 | 花乃まりあ |
フェルゼン | 蓮城まこと[注 59] | 明日海りお | 朝夏まなと | 明日海りお |
ジェローデル | 鳳翔大 | 鳳真由 | 澄輝さやと | 鳳真由 |
アラン | 彩凪翔 | 真輝いづみ | 実羚淳 | 真輝いづみ |
ベルナール | 彩風咲奈 | 大河凜 | 星吹彩翔 | 瀬戸かずや |
ロザリー | 咲妃みゆ | 花乃まりあ | 瀬音リサ | 城妃美伶 |
ジャンヌ | ||||
脚本・演出(スタッフ) | 植田紳爾 | |||
演出(スタッフ) | 谷正純 |
각주
편집- ↑ 「베르바라」 관객 500만인=초연부터 40년—다카라즈카 가극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시사 통신사 2014년 6월 27일)
- ↑ http://www.tca-pictures.net/shop/press/100202_versailles.html Archived 2014년 4월 26일 - 웨이백 머신 DVD-BOX 베르사이유의 장미 GRAND HISTOY
- ↑ http://www.tca-pictures.net/shop/press/100202_versailles_detail.html Archived 2010년 7월 18일 - 웨이백 머신 DVD-BOX 베르사이유의 장미 GRAND HISTOY Special Disc 상세내용
- ↑ 이케다 리요코 작 베르사이유의 장미 제 9장 신에게 불려가다
- ↑ 이케다 리요코 원작 베르사유의 장미 제 9장 신의 부름을 받고
- ↑ 우에다 신지의 회상/일본경제신문 「나의 이력서」 2014년 10월.
- ↑ 가 나 다 우에다・카와사키 켄코 저「宝塚・百年を越えて」국서 간행회로부터
- ↑ 우사미 쇼 감수・해설「宝塚タカラジェンヌ100」헤본샤 (1994년 1월 초판) 124p「ベルサイユのばら・昭和から平成へ」에서
- ↑ 가 나 선술・NHK「プロジェクトX・挑戦者たち」(2005년 12월 6일 방송)에서
- ↑ 초연에서 오스칼을 연기한 하루나 유리의 회상.「宝塚の卒業生たち・昭和のベルサイユのばら」닛테레 방송・간행에서
- ↑ 일본의 연호. 1926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1월 7일까지가 쇼와시대에 해당된다
- ↑ 가 나 다 100년사(무대) 2014, 139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100년사(무대) 2014, 294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100년사(무대) 2014, 215쪽.
- ↑ 가 나 다 라 마 100년사(무대) 2014, 141쪽.
- ↑ 100年史(무대) 2014, 294쪽.
- ↑ 다카라즈카 공연에서는 본공연 이후에 쇼를 병연하는 경우와 본공연 하나만 하는 경우가 있다
- ↑ 가 나 다 100년사(무대) 2014, 142쪽.
- ↑ http://shop.tca-pictures.net/tcaonlineshop/goods/index.html?cid=99999&ggcd=TCAD-006 Archived 2014년 8월 11일 - 웨이백 머신 TCA발매 베르사이유의 장미 대전(DVD소프트)
- ↑ 2013년 4월 8일 AM02:15 방송SKY STAGE(CS유료방송) 베르사이유의 장미 Check it Out!#5 「다른 작품에서는 볼 수 없는 레어한 신」
- ↑ 일본의 연호. 1989년 1월 8일부터 현재까지
- ↑ 가 나 다 라 마 바 80년사 1994, 335쪽.
- ↑ 가 나 다 80년사 1994, 338쪽.
- ↑ 가 나 다 80년사 1994, 337쪽.
- ↑ 가 나 다 라 80年史 1994, 337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80년사 1994, 336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80년사 1994, 342쪽.
- ↑ 가 나 다 라 80년사 1994, 344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80年史 1994, 336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80年史 1994, 342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80년사 1994, 340쪽.
- ↑ 80년사 1994, 341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80년사 1994, 347쪽.
- ↑ 80년사 1994, 350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80년사 1994, 348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80년사 1994, 351쪽.
- ↑ 1991년 다카라즈카 대극장 공연 프로그램
- ↑ 가 나 다 라 마 바 90년사 2004, 129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90년사 2004, 132쪽.
- ↑ 御覧なさい(고란나사이 : 여기 좀 보세요)와 ごめんなさい(고멘나사이 : 죄송합니다)가 발음이 비슷한것을 이용한 일종의 언어유희이다.
- ↑ 가 나 다 라 마 90년사 2004, 130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90年史 2004, 132쪽.
- ↑ 베르바라 특집1 2006, 115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100년사(무대) 2014, 190쪽.
- ↑ 가 나 다 라 100년사(무대) 2014, 315쪽.
- ↑ 2006년 호시구미 다카라즈카 공연 안내 2016년 4월 25일 열람.
- ↑ 2006년 호시구미 도쿄 공연 안내 2016년 4월 25일 열람
- ↑ 2006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공연 안내 2016년 4월 25일 열람.
- ↑ 2006년 유키구미 도쿄 공연 안내 2016년 4월 25일 열람.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100년사(무대) 2014, 203쪽.
- ↑ 가 나 다 라 100년사(무대) 2014, 320쪽.
- ↑ 다카라즈카 가극 『베르사이유의 장미』 관객 450만명 달성(다카라즈카 가극단 공식 홈페이지 2013년 3월 21일)
- ↑ http://kageki.hankyu.co.jp/versailles2013/moon/report.html 다카라즈카 공식 홈페이지 『베르사이유의 장미』-오스칼과 앙드레 편-을 연출하며
- ↑ 가 나 다 라 2013년 츠키구미(특설사이트)캐스팅 스케줄 2016년 4월 25일 열람.
- ↑ 가 나 다 라 마 2013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배역 2016년 4월 18일 열람
- ↑ 가 나 다 라 마 바 StageAlbum 2014, 14쪽.
- ↑ 가 나 StageAlbum 2014, 44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StageAlbum 2014, 41쪽.
- ↑ 가 나 StageAlbum 2014, 46쪽.
- ↑ 「베르바라」 관객 500만명=초연으로부터 40년—다카라즈카 가극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시사 통신사, 2014년 6월 27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100년사(무대) 2014, 259쪽.
- ↑ 가 나 다 라 마 100년사(무대) 2014, 260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StageAlbum 2014, 63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StageAlbum 2014, 65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StageAlbum 2014, 67쪽.
- ↑ 2006년・호시구미 다카라즈카 출연자 2016년 4월 11일 열람
- ↑ 2006년・호시구미 도쿄 출연자 2016년 4월 11일 열람
- ↑ 2006年・雪組 宝塚出演者 2016年4月13日閲覧。
- ↑ 2006年・雪組 東京出演者 2016年4月13日閲覧。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2006年・雪組 全国ツアー出演者 2016年4月18日閲覧。
- ↑ 2013년 츠키구미 다카라즈카 출연자 2016년 4월 18일 열람
- ↑ 2013년 츠키구미 도쿄 출연자 2016년 4월 18일 열람
- ↑ 가 나 2013년 츠키구미 다카라즈카 배역 2016년 4월 18일 열람
- ↑ 2013년 유키구미 다카라즈카 출연자 2016년 4월 18일 열람
- ↑ 2013년 유키구미 도쿄 출연자 2016년 4월 18일 열람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2014年・雪組 全国ツアー出演者 2016年4月18日閲覧。
- ↑ 2014年・花組 中日出演者 2016年4月25日閲覧。
- ↑ 2014年・宙組 宝塚・東京出演者 2016年4月25日閲覧。
- ↑ 2014年・宙組 全国ツアー出演者 2016年4月25日閲覧。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90年史 2004, 129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90年史 2004, 130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푸 후 그 느 드 르 므 브 스 으 즈 츠 크 트 프 흐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키 티 피 히 가가 가나 가다 가라 가마 가바 가사 가아 가자 가차 가카 가타 가파 가하 가거 가너 가더 가러 가머 가버 가서 가어 가저 가처 가커 가터 가퍼 가허 가고 가노 가도 가로 가모 가보 가소 가오 가조 가초 가코 가토 가포 가호 가구 가누 가두 가루 가무 가부 가수 가우 가주 가추 가쿠 가투 가푸 가후 가그 가느 가드 가르 가므 가브 가스 가으 가즈 가츠 가크 가트 가프 가흐 가기 가니 가디 가리 가미 가비 가시 가이 가지 가치 가키 가티 가피 가히 나가 나나 나다 나라 나마 나바 나사 나아 나자 나차 나카 나타 나파 나하 나거 나너 나더 나러 나머 나버 ベル特1 2006, 115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100年史(舞台) 2014, 190쪽.
- ↑ 가 나 다 라 100年史(舞台) 2014, 315쪽.
- ↑ 2006年・星組 宝塚公演案内 2016年4月25日閲覧。
- ↑ 2006年・星組 東京公演案内 2016年4月25日閲覧。
- ↑ 2006年・雪組 宝塚公演案内 2016年4月25日閲覧。
- ↑ 2006年・雪組 東京公演案内 2016年4月25日閲覧。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100年史(舞台) 2014, 203쪽.
- ↑ 가 나 다 라 100年史(舞台) 2014, 320쪽.
- ↑ 宝塚歌劇『ベルサイユのばら』ご来場者450万人達成(宝塚歌劇公式ページ・2013年3月21日)
- ↑ http://kageki.hankyu.co.jp/versailles2013/moon/report.html 宝塚歌劇公式ページ『ベルサイユのばら』-オスカルとアンドレ編-を上演するにあたり
- ↑ 「ベルばら」観客500万人=初演から40年—宝塚歌劇団[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時事通信社、2014年6月27日)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100年史(舞台) 2014, 259쪽.
- ↑ 가 나 다 라 마 100年史(舞台) 2014, 260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80年史 1994, 351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베르바라 특집1 2006, 114쪽.
- ↑ 베르바라 특별1 2006, 114쪽.
- ↑ 준 이외는 다카라즈카에서만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 구 누 두 루 무 부 수 우 주 추 쿠 투 푸 후 그 느 드 르 므 브 스 으 즈 츠 크 트 프 흐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키 티 피 히 가가 가나 가다 가라 가마 가바 가사 가아 가자 가차 가카 가타 가파 가하 가거 가너 가더 가러 가머 가버 가서 가어 가저 가처 가커 가터 가퍼 가허 가고 가노 가도 가로 가모 가보 가소 가오 가조 가초 가코 가토 가포 ベル特1 2006, 114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80年史 1994, 340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80年史 1994, 347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80年史 1994, 348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80年史 1994, 341쪽.
- ↑ 80年史 1994, 340–341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2006年・星組 宝塚配役 2016年4月25日閲覧。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2006年・星組 東京配役 2016年4月25日閲覧。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보 소 2006年・雪組 宝塚配役 2016年5月19日閲覧。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2006年・星組 東京配役 2016年5月19日閲覧。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100年史(舞台) 2014, 294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80年史 1994, 338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 고 노 도 로 모 80年史 1994, 344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80年史 1994, 350쪽.
- ↑ ベル特き1 2006, 115쪽.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2005年・星組 全国配役 2016年4月18日閲覧。
- 내용주
- ↑ 다카라즈카 가극단 공연은 원칙적으로 가극단 전속 연출가(대체로 각본도 본인이 쓴다)가 연출한다. 가극단에서는 필요에 의해서만 조연출을 채용, 조수들은 선배 연출가 밑에서 각본 작법을 배우고 수년간의 연수를 거쳐 연출가로서의 데뷔 작품을 맡아 전속 연출가가 되어가는 내부의 전속 연출가 양성제도가 정비되어 있다. 연출가들은 가극단 연출부에 소속된 정년제이지만 연출활동에 의한 공로가 인정되면 가극단 이사(기업을 예로들면 중역)으로의 승진도 가능하여, 이사직에 취임하게 되면 정년은 적용되지 않는다.
- ↑ 전쟁 이전부터 가극단에서 활약한 고참 연출가들의 고령화에 따라 체력저하 등을 이유로 가극단의 수익 문제가 생기기 이전인 1950년대부터 가극단 외부에서 연출가 초빙 자체는 이루어지고 있었다/우에다, 가와사키 겐고 저서 「다카라즈카, 백년을 넘어서」 국서간행회.
- ↑ 아사즈키는 다카라즈카만 함
- ↑ 四季乃が宝塚、奈緒が東京のみ
- ↑ 大路は宝塚のみ
- ↑ 奈緒は宝塚、月城は東京のみ
- ↑ 瑞穂は宝塚、茜は東京のみ
- ↑ 紫苑は東京のみで、それ以外は宝塚のみ
- ↑ 大浦は宝塚のみ
- ↑ 北斗、真矢は宝塚のみで、千珠は東京のみ
- ↑ 綾瀬は宝塚のみで、洲は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鞠村は東京のみ
- ↑ 가 나 いつきが宝塚、汐風が東京
- ↑ 香寿以外は東京のみ
- ↑ 汝鳥は東京、星原と未沙は宝塚のみ
- ↑ 東京のみ登場
- ↑ 映美は東京のみ、華美は宝塚のみ
- ↑ 映美は東京のみ、南海は宝塚のみ
- ↑ 凰稀は宝塚のみ
- ↑ 蘭寿、壮は宝塚のみ
- ↑ 柚希、龍は宝塚のみ
- ↑ 美弥るりかは宝塚のみ
- ↑ 彩凪翔は宝塚のみ
- ↑ 明日海りおは宝塚のみ
- ↑ 早霧せいなは宝塚のみ
- ↑ 유우키는 다카라즈카만, 코토부키는 도쿄만
- ↑ 미즈호는 다카라즈카만, 키즈키는 도쿄만
- ↑ 코토부키는 다카라즈카만, 나카는 도쿄만
- ↑ 타카라는 다카라즈카만, 오우는 도쿄만
- ↑ 美野が宝塚、星が東京
- ↑ 麻路が宝塚、五條が東京
- ↑ 星は宝塚、星美は東京のみ
- ↑ 里美は宝塚、桂は東京のみ
- ↑ 風見は宝塚、立は東京のみ
- ↑ 絵麻緒は宝塚、大輝は東京
- ↑ 真織は宝塚の1部と2部と東京の2部、汐風は東京の1部のみ
- ↑ 大海は宝塚の1部と2部と東京の2部、彩輝は東京の1部のみ
- ↑ 天地は宝塚、英は東京
- ↑ 東京のみ
- ↑ 千秋は宝塚、稔は東京
- ↑ 羽衣は宝塚、麻丘は東京
- ↑ 麗は宝塚、出雲は東京
- ↑ 出雲は宝塚、万里は東京
- ↑ 萩尾は宝塚、乙原は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越は宝塚、登羽は東京のみ
- ↑ 筑紫野は宝塚、地矢は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彩輝は宝塚、日比谷は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東京のみ
- ↑ 映美は東京、華美は宝塚
- ↑ 東京のみ登場
- ↑ 가 나 当時は、雪組の二番手男役
- ↑ ロベスピエール役と2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