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아과
벼아과(-亞科, 학명: Oryzoideae 오리조이데아이[*])는 벼과의 아과이다.[1] 20개 속에 약 120여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종은 주요 곡물 쌀을 만드는 벼이다.[2] 이 아과는 벼과 중에서 가장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는 BOP 분지군의 3개 아과 중의 하나로 모두가 C3 광합성 식물이다. 3개 아과 중에서 가장 먼저 분기한 계통발생 분지군이다.[3][4] 4개 족과 분류 위치가 불확실한 1개 속(Suddia, 필로라키스족으로 추정)을 포함하고 있다.[2]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석을 통해 이들 분지군들의 분기 순서가 밝혀졌다.[2]
벼아과 | ||
---|---|---|
벼(Oryza sativa)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
목: | 벼목 | |
과: | 벼과 | |
(미분류): | BOP 분지군 | |
아과: | 벼아과 Oryzoideae Kunth ex Beilschm., 1833 | |
모식종 | ||
벼속(Oryza L.) | ||
[출처 필요] | ||
족 | ||
|
하위 분류
편집계통 분류
편집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5]
벼과 |
| ||||||||||||||||||||||||||||||||||||||||||||||||||||||||||||||||||||||||||||||||||||
각주
편집- ↑ Kunth, Karl Sigismund. Flora 16(2): 52, 109. 1833.
- ↑ 가 나 다 Soreng, Robert J.; Peterson, Paul M.; Romschenko, Konstantin; Davidse, Gerrit; Zuloaga, Fernando O.; Judziewicz, Emmet J.; Filgueiras, Tarciso S.; Davis, Jerrold I.; Morrone, Osvaldo (2015).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53 (2): 117–137. doi:10.1111/jse.12150. ISSN 1674-4918.
- ↑ Grass Phylogeny Working Group II (2012).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New Phytologist》 193 (2): 304–312. doi:10.1111/j.1469-8137.2011.03972.x. ISSN 0028-646X. PMID 22115274.
- ↑ Janke, Axel; Zhao, Lei; Zhang, Ning; Ma, Peng-Fei; Liu, Qi; Li, De-Zhu; Guo, Zhen-Hua (2013). “Phylogenomic Analyses of Nuclear Genes Reveal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s within the BEP Clade and the Evidence of Positive Selection in Poaceae”. 《PLoS ONE》 8 (5): e64642. doi:10.1371/journal.pone.0064642. ISSN 1932-6203.
- ↑ Grass Phylogeny Working Group II (2012).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New Phytologist》 193 (2): 304–312. doi:10.1111/j.1469-8137.2011.03972.x. PMID 22115274.
이 글은 벼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