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목
벼목은 외떡잎식물강에 속하는 분류이다.
벼목 | ||
---|---|---|
벼 (Oryza sativa)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
목: | 벼목(Poales) Small | |
과 | ||
|
최근의 연구(Bremer, 2000)에 따르면 벼목은 1억 1500만년 이전의 남아메리카에서 기원했다. 알려진 화석 가운데 가장 이른 것은 꽃가루와 열매가 있는데 후기 백악기의 것이다.
벼목 식물의 꽃은 매우 작고, 꽃턱잎에 쌓여 있으며 꽃차례에 가지런히 달린다.(물이끼풀속만 줄기나 가지 끝에서 단독으로 핀다.) 대부분 풍매화이고 씨는 녹말을 함유한다.
하위 분류
편집APG II 체계(2003)에 따른 벼목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벼목(Poales)
- 곡정초과(Eriocaulaceae)
- 골풀과(Juncaceae)
- 라파테아과(Rapateaceae)
- 레스티오과(Restionaceae)
- 물이끼풀과(Mayacaceae)
- 벼과(Poaceae)
- 부들과(Typhaceae)
- 사초과(Cyperaceae)
- 켄트롤레피스과(Centrolepidaceae)
- 크시리스과(Xyridaceae)
- 파인애플과(Bromeliaceae)
- 플라겔라리아과(Flagellariaceae)
- 흑삼릉과(Sparganiaceae)
- 아나르트리아과(Anarthriaceae)
- 에크데이오콜레아과(Ecdeiocoleaceae)
- 히다텔라과(Hydatellaceae)
- 조인빌레아과(Joinvilleaceae)
- 투르니아과(Thurniaceae)
APG 분류 체계(1998)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아볼보다과, 파인애플과, 물이끼풀과의 식물들은 포함하지 않았다.):
- 벼목(Poales)
- 아나르트리아과(Anarthriaceae)
- 켄트롤레피스과(Centrolepidaceae)
- 사초과(Cyperaceae)
- 에크데이오콜레아과(Ecdeiocoleaceae)
- 곡정초과(Eriocaulaceae)
- 플라겔라리아과(Flagellariaceae)
- 히다텔라과(Hydatellaceae)
- 조인빌레아과(Joinvilleaceae)
- 골풀과(Juncaceae)
- 벼과(Poaceae)
- 프리오니움과(Prioniaceae)
- 레스티오과(Restionaceae)
- 흑삼릉과(Sparganiaceae)
- 투르니아과(Thurniaceae)
- 부들과(Typhaceae)
- 크시리스과(Xyridaceae)
크론퀴스트 체계(1981)에는 벼목 분류가 없다. 벼목에 해당하는 과들은 파인애플목, 사초목, 골풀목, 레스티오목, 부들목, 히다텔라과에 할당되었다.
쓰임새
편집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중요한 과는 보리, 옥수수, 기장, 벼, 밀을 포함하는 벼과이다. 벼과는 벼목의 다른 과에 비해 현저히 많은 종을 거느린다.
- 벼과: 12,000종
- 사초과: 5,000종
- 파인애플과: 1,400종
- 곡정초과: 1,150종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외떡잎식물군의 계통 분류이다.[1]
외떡잎식물군 |
| |||||||||||||||||||||||||||||||||||||||||||||||||||||||||
벼목 |
| ||||||||||||||||||||||||||||||||||||||||||||||||||||||||||||||||||||||||||||||||||||||||||
각주
편집- ↑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 ↑ Bouchenak-Khelladi, Yanis; Muasya, A. Muthama; Linder, H. Peter (2014). “A revised evolutionary history of Poales: origins and diversification”.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5 (1): 4–16. doi:10.1111/boj.12160. ISSN 0024-4074.
- ↑ Briggs, Barbara G.; Marchant, Adam D.; Perkins, Andrew J. (2014). “Phylogeny of the restiid clade (Poales) and implications for the classification of Anarthriaceae, Centrolepidaceae and Australian Restionaceae”. 《Taxon》 63 (1): 24–46. doi:10.12705/631.1. ISSN 0040-0262.
외부 링크
편집- (영어) NCBI 분류 탐색기
- (영어) AP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