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시지
변시지(邊時志, 1926년 5월 29일 ~ 2013년 6월 8일[1])는 대한민국의 서양화가, 대학 교수이다. 본관은 원주.
![]() 邊時志 | |
---|---|
예술가 정보
| |
출생 | 1926년 5월 29일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제주군 |
사망 | 2013년 6월 8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 (87세)
직업 | 화가 |
국적 | ![]() |
학력 | 일본 오사카 미술학교 서양화과 |
분야 | 서양화 |
수상 | 제34회 〈광풍회전〉 최고상 외 |
주요 작품
| |
영향
| |
데라우찌 만지로(寺內萬治郞) |
생애편집
1926년 제주도에서 태어났다.[1] 여섯 살 때 가족들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에서 소학교를 다녔다. 1940년 오사카 미술학교 서양학과에서 수학하여 1945년 졸업, 조선인 최초로 일전(日展)에 수차례 입선하였으며, 1948년에 광풍회 최고상을 수상하여 광풍회 정회원 및 무심사의 자격을 부여받아 심사위원이 되었다. 광풍회는 일본 문부성 주최의 일전(日展)을 주관하는 일본의 최고 중앙화단으로서 약관의 나이(23세)에 최고(광풍)상 수상은 일본화단 역사상 전무 후무한 일이다. 1957년에 서울대학교의 초청으로 한국에 돌아와 강의하였고 이후 마포고등학교,서라벌 예술대학, 한양대 등에서 회화를 가르쳤으며, 1975년에는 제주대로 옮겨 작품활동을 하였다.[1] 국내 최초의 시립미술관인 서귀포시 기당미술관의 설립에 기여하였으며, 2007년부터 10년간 미국 국립 스미소니언박물관에 작품 2점을 한국인 최초로 전시하였으며, 2013년 6월 8일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지병으로 별세, 서귀포시 사회장으로 장례가 엄수되었다.
수상편집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 1947년 제33회 〈광풍회(光風會 - 일본 主流 화단) 공모전〉 입선
- 1947년 일본 문부성 주최 〈일본제국미술전(日展)〉"裸婦" 초입선(조선인(朝鮮人) 최초로 입선)
- 1948년 제34회 〈광풍회전〉 최고상 수상 (5점을 출품하여 이중 4점을 동일(同一) 회기(會期)에 최고상 획득과 동시에 일전(日展) 무감사(無監査) 자격 취득)
- 1986년 제주도문화상 수상(예술부문)국민훈장,
- 1986년 서귀포시 시민상
- 1987년 서귀포시장 감사패
- 1991년 제주대학교 총장 공로패국민포장(國民褒章)
- 1991년 서귀포시장 공로패수상
- 1994년 서귀포시 시민상 수상(문화예술부문)
- 1995년 제주대학총장 감사패
- 2016년 보관문화훈장
전시편집
- 1949.4.7-11 제1회 ≪개인전≫(시세이도화랑, 일본 도쿄)[2]
- 1950 제36회 광풍회 심사위원
- 1951 제2회 ≪개인전≫(시세이도화랑, 일본 도쿄)
- 1953 제3회 ≪개인전≫(판급(阪急)백화점 양화랑(洋畵廊), 일본 오사카(大阪))
- 1958 제4회 ≪유화 회고(回顧)전≫(화신화랑) 연일 5천명 이상 관객 동원 - 한국화단 최초의 회고(回顧)전
- 1959.3.4-10 제5회 ≪개인전≫(중앙공보관화랑)
- 1962 ≪국제자유미술전≫
- 1966 ≪말레이시아 미술초대전≫
- 1967 ≪한국 현역작가 초대전≫(경복궁미술관)
- 1971 제6회 ≪개인전≫(후지화랑, 일본)
- 1972 ≪현대 중진작가전≫(현대화랑, 서울)
- 1973-1976 ≪아시아국제전≫
- 1974 ≪한국거장명화전≫ 출품(고려미술화랑, 일본 오사카)
- 1974 ≪오리엔탈미술협회전≫(국립중앙공보관)
- 1976 ≪제주도전≫(제주대학교 학생회관)
- 1977 ≪제주대 교수전≫(신간사회관, 제주)
- 1978 제7회 ≪변시지, 이학숙 부부전≫(예총화랑)
- 1978 제8회 ≪변시지 초대전≫(산호전시실, 제주)
- 1978 ≪국제현대미술전≫(일본)
- 1979 제9회 ≪변시지 작품전≫(동덕미술관)
- 1979 제10회 ≪변시지 작품회전≫(산호전시실, 제주)
- 1980 ≪개인전≫(전시공간 화랑, 제주)
- 1980 ≪제주미협전≫(전시공간 화랑, 제주)
- 1981 ≪한국미술 81전≫(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1981 ≪오리엔탈 7인전≫(동덕미술관)
- 1981.10.6-20 제16회 ≪변시지 초대전≫(Astrolabio화랑, 이태리 로마)
- 1982 제17회 ≪변시지 초대전≫(정화랑, 광주)
- 1982 제18회 ≪수묵화 초대전≫(정화랑, 광주)
- 1982 제19회 ≪변시지 초대전≫(한광(韓光)미술관, 부산)
- 1982 ≪일본 광풍회전≫(동경도미술관, 일본)
- 1982 ≪제주도전≫(제주대학교 학생회관)
- 1982 ≪한국 현대미술대상전≫ 초대작가(디자인포장센타, 서울)
- 1982 ≪한국 전통예술대상전≫ 심사원
- 1982 ≪한국 현대미술대상전≫ 초대작가, 심사위원
- 1983 제20회 ≪변시지 수묵화 초대전≫(한솔화랑, 제주도)
- 1983 ≪83 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1983 ≪향토작가 10인전≫(상미전시공간, 제주 서귀포)
- 1983 ≪한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 1983 ≪현대 미술대상전≫ 심사위원
- 1984 ≪84 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1984 제21회 ≪변시지 초대작품전≫(한솔화랑, 제주)
- 1984 제22회 ≪변시지 초대작품전≫(상미전시공간, 서귀포)
- 1984 ≪한국미술연구회전≫(세종문화회관, 서울)
- 1984 ≪신미술대전≫ 심사위원
- 1984 ≪현대미술대상전≫ 심사위원
- 1984 ≪부산 한국미술 공모대상전≫ 심사위원
- 1984 ≪백제미술대전≫ 심사위원
- 1985 ≪85 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미술관, 서울)
- 1985 제23회 ≪변시지 초대전≫(세종당화랑, 제주)
- 1985 ≪한,일 미술 교류전≫(지구당화랑, 일본 동경)
- 1985 ≪현대미술대상전≫ 심사위원
- 1985 ≪신미술대전≫ 심사위원
- 1986.6.6-18 제24회 ≪우성 변시지화집 출판기념전≫
-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86 제25회 ≪출판기념전≫(동인미술관, 제주)
- 1986 ≪전국교원미술대상≫ 심사위원장
- 1987 서귀포 기당미술관 변시지 상설전시실 설치
- 1987 ≪신미술대전≫ 심사위원장서귀포 기당미술관 명예관장
- 1987 제2회 ≪전국교원미술대상전≫ 심사위원장
- 1987 ≪87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88 ≪88 한국현대미술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88 ≪개인전≫(신세계미술관, 서울)
- 1988.4.19-24 제26회 ≪개인전≫(신세계미술관)
- 1989 ≪제주도전≫ 심사위원장
- 1990 제27회 ≪변시지 제주풍화초대전≫(백송화랑)
- 1990 ≪90 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미술전, 과천)
- 1990 ≪예술의 전당 개관기념전≫ 출품(예술의 전당, 서울)
- 1990 제28회 ≪개인초대전(정년퇴임기념)≫(예향화랑)
- 1992 제29회 ≪개인초대전≫(예맥화랑, 서울 강남)
- 1992 제30회 ≪개인초대전≫(예맥화랑, 서울 강남)
- 1992 ≪92 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미술전, 과천)
- 1993 ≪우즈배그공화국 독립 2주년 축제 초대전≫(예술의전당, 서울)
- 1994 ≪서울 국제 현대미술제≫(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94 ≪서울 풍경의 변천전≫(예술의전당, 서울)
- 1995 ≪변시지 고희 기념전(제32회)≫
- 1996 ≪한국 누드미술 80년전≫(예술의전당, 서울)
- 1996 ≪제주도전≫ 심사위원장
- 1997 ≪제주 화집 출품 및 기념전≫
- 1998 ≪정부 소장 미술품특별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98 ≪근대 유화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99 ≪근대회화전≫≪그림갤러리 특별 초대전≫(그림갤러리)
- 1999 ≪한국미술 99 : 인간 사물 자연전≫, ≪제주도전≫ 심사위원장
- 2000 제35회 ≪개인전≫≪광풍회전≫ ≪신맥회전≫ ≪움직이는 미술관≫
- 2001 ≪광풍회전≫ ≪신맥회전≫ ≪움직이는 미술관≫
- 2003 ≪근대회화전≫ 출품(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2004 ≪덕양 어울림누리 문화체육센터 개관기념전≫
- 2004.9.1-10.15 ≪마음의 풍경≫(어울림미술관, 경기도 고양)
- 2005 ≪특별기획전≫(기당미술관, 제주 서귀포)
- 2006 ~ 현재 미국립 스미소니언 한국관 2점(난무, 이대로 가는 길)전시
방송편집
- 2006년 ‘KBS 교향악단 특별 연주회’ : "제주 빛과 바람소리, 변시지"
- 2007년 빛과 바람의 순례자 화가 변시지, KBS 제주
- 2011년 'KBS TV 현대사 증언' : "바람의 화가, 변시지" 등 다수
각주편집
- ↑ 가 나 다 ‘폭풍의 화가’ 변시지 화백 별세 Archived 2020년 4월 30일 - 웨이백 머신, 《동아일보》, 2013.6.8
- ↑ 아르코 예술기록원. “변시지(邊時志)”. 아르코 예술기록원. 2020년 4월 13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외부 링크편집
- 화가 변시지 공식홈페이지 "공익재단 아트시지"
- 변시지, 국립예술자료원
- 변시지 - 韓國性의 完成으로 世界的 스타덤에 오른 暴風의 老畵家[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ART KOREA, 2004.6.
- [전은자의 제주바다를 건넌 예술가들] 54. 폭풍의 화가 변시지, 《제민일보》, 2010.8.16
- 변시지 / 빛과 바람, 실존적 삶의 메타포, 김달진미술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