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감
고려
편집중앙과 지방의 각 관아와 도감에 설치된 관직이다. 설치된 관청에 따라 다양한 별감이 있었다.
조선
편집별감은 원(園)·유(囿)·화초·과물 등의 관리를 관장하는 장원서(掌苑署)와 왕명을 전달하는 액정서(掖庭署) 소속의 관직이다. 《경국대전》의 〈형전(刑典)〉에 의하면, 궁궐 내의 별감의 수가 나와 있는 데, 그 수는 모두 86명이었다.[1] 임금과 중전이 거처하는 대전과 중궁전, 세자와 세손이 거처하는 세자궁과 세손궁에 별도의 별감이 소속되어 활동했다. 노란 초립에 홍색포를 입은 사치스러운 복색으로 유명하다. 혜원 신윤복의 풍속화 <선술집: 주사거배(酒肆擧盃)>와 <밤길안내: 야금모행(夜禁冒行)>, <기방난투: 유곽쟁웅(遊廓爭雄)>과 유숙의 <대쾌도> 등에 모습이 등장한다.
각주
편집- ↑ 강명관 (2003년 8월 11일). 〈제9장 조선 후기 유행 주도한 오렌지족 - 별감〉. 《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9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