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레스와프 3세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폴란드어: Bolesław III Krzywousty, 1086년~1138년)는 1102년에서 1107년까지 마워폴스카, 실레시아, 그리고 산도미에시의 왕자였다. 이후, 1107년부터 1138년 사망하기 전까지 폴란드 전 지역을 통치하였다. 그는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공작과 보헤미아의 브라티슬라우스 2세의 딸인 유디트 사이의 유일한 자녀였다.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
Bolesław III Krzywousty
볼레스와프 3세의 초상화 (얀 마테이코 作)
볼레스와프 3세의 초상화 (얀 마테이코 作)
폴란드의 공작
재위 1107 ~ 1138년 10월 28일
전임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후임 브와디스와프 2세 비그나니에츠
신상정보
출생일 1086년 8월 20일
출생지 폴란드
사망일 1138년 10월 28일 (52세)
사망지 폴란드 소하체프
왕조 피아스트
부친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모친 보헤미아의 유디트
배우자 키예프의 즈비슬라바
베르그의 살로메아
자녀 즈비슬라바와의 사이에서:

브와디스와프 2세 비그나니에츠 (아들)
유디트(딸, 무롬의 공주, 불확실한 이름)

살로메아와의 사이에서:
레스제크
스웨덴의 왕비 리체자
딸 (노르드마크의 후작)
카스미르
게르트루다
곱슬머리 볼레스와프 4세
늙은이 미에스즈코 3세
도브로니에가 (루사티아의 후작)
유디트 (브란덴부르그의 후작)
산도미에르즈의 헨리
아그네스 (키예프의 대공녀)
공정한 카시미르 2세

묘소 폴란드 푸스크 대성당

볼레스와프 3세는 나쿠오 전투(1109년)에서 포메라니아군을 격퇴했으며 포메라니아를 점령했다.(1119~1123년). 그리하여 폴란드의 발트해 접근이 다시 가능하게 되었다. 포메라이나의 지방 정부는 그 지역을 떠났다.

볼레스와프 3세는 1109년그워구프 전투프시에 폴레에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5세를 격퇴하기도 했다. 1113년부터 1119년까지 그는 포메라니아 전역을 점령했다. 1135년에 볼레스와프는 황제 로타르 3세에게 공물을 바쳤으며 황제는 포메라니아 서부 지역과 봉토인 뤼겐 섬으로부터 공물을 받았다. 볼레스와프는 1132년부터 1135년까지 헝가리에서도 작전을 펼쳤지만 작은 성과만 거뒀다.

결혼과 자녀 편집

그는 2번의 결혼을 했다.

키예프의 즈비슬라바 편집

그의 첫 번째 부인은 류리크 왕조 키예프 대공국스뱌토폴크 2세의 딸 즈비슬라바(1085/90 - 1114[1])였다. 1103년 맺어진 것으로 추정[2]되는 이 결혼은 키예프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얻기 위해서였다. 즈비슬라바의 죽음 전까지 폴란드와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3] 즈비슬라바와 사이에는 한 명의 아들과 한 명의 딸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일부 기록에 따르면 한 명의 아들이 더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하지는 않다.[4][5]

살로메아 본 베르그-스첼크링켄 편집

볼레스와프는 그 후에 독일의 귀족여성인 살로메아 본 베르그-스첼크링켄과 결혼했다. 그녀는 베르그 백작의 딸로 1115년 1, 2월쯤 결혼하였다.[11] 이 결혼은 폴란드와 보헤미아의 평화 협정을 위한 정치적 상황에 의해 이루어졌다. 둘 사이에는 14명의 자녀를 두었다.

 
피아스트의 정복 휘장

볼레스와프 프리오우트가 죽기 전에 부친의 (볼레스와프 3세 크시보우스티의 유언)를 발행했는데, 그 내용은 자신의 영토를 네 명의 아들이 나누어 상속 받으라는 것이었다. 유언에서 성립된 "상위 법규"는 이렇게 규정하고 있었다. 왕조의 상속자들중 가장 손윗 사람이 나머지 지역 모두를 통치하는 최상의 권력을 지니고 더이상 분할 할 수 없는 "상급 영토"인 폴란드의 남-북에서 중부까지 이르는 크라쿠프도 포함한 방대한 영토의 통제권 또한 지닌다. 그 고위의 특권은 신성 로마 제국의 봉토인 포메라니아 전역의 통제권을 포함한다. "상위 법규"는 볼레스와프가 죽고 얼마 못가 휴지 조각이 되었고, 거의 200년간의 봉건 분열 기간에 접어들게 했다.

각주 편집

  1. A wide scientific discussion over the death of Zbyslava was presented in the work of K. Kollinger. See K. Kollinger: The problem of food in 1109, Zbyslava's death and the Polish-Kievan alliance in 1102–1114, pp. 42–46 (in Polish) [retrieved 13 September 2009].
  2. O. Balzer: Genealogia Piastów, p. 121; K. Jasiński: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p. 189.
  3. K. Maleczyński: Bolesław III Krzywousty, p. 312.
  4. Gallus Anonymus: Cronicae et gesta ducum sive principum Polonorum, vol. II, cap. 40, p. 108.
  5. K. Maleczyński: Bolesław III Krzywousty, pp. 315-316.
  6. K. Maleczyński: Bolesław III Krzywousty, p. 314.
  7. K. Jasiński: Rodowód Piastów śląskich, cap. I, pp. 57-58.
  8. Latopis hipacki에 따르면, 이름이 주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고문헌에서 그녀의 이름을 유디트로 표현했다. J. Żylińska의 Piastówny i żony Piastów. pp. 99, 113. M. Spórna and P. Wierzbicki. 그러나 일부 문헌에서는 존재는 나타나지만 이름은 알려지지 않는다. M. Spórna and P. Wierzbicki: Słownik władców Polski i pretendentów do tronu polskiego, pp. 501-502.
  9. Полное собранiе русскихъ лѣтописей, vol. 2: Ипатiевская лѣтопись, p. 10.
  10. K. Jasiński: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p. 207.
  11. O. Balzer indicates that marriage of Bolesław and Salomea was concluded in 1113. O. Balzer: Genealogia Piastów, pp. 122-123. K. Maleczyński, however, believes that this marriage took place in late March–July 1115. K. Maleczyński: Bolesław III Krzywousty, p. 313. K. Jasiński was in favor of J. Bieniak, who indicates that the marriage occurred in the first two months of 1115. K. Jasiński: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pp. 190-191.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전임
브와디스와프 1세 헤르만
폴란드의 공작
1102년부터 1107년까지는 즈비그니에프와 공동 통치
1102년 ~ 1138년
후임
브와디스와프 2세 비그나니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