뵤른 야른시다
뵤른 야른시다(고대 노르드어: Bjǫrn Járnsíða, 아이슬란드어: Björn Járnsíða, 스웨덴어: Björn Järnsida, 덴마크어: Bjørn Jernside, 영어: Björn Ironside→철벽 뵤른)는 9세기경 스웨덴을 지배했다는 전설적인 왕(사고코눙가르)이다.
뵤른 야른시다
Bjǫrn Járnsíða | |
---|---|
스비아인의 왕 | |
전임 | 에위스테인 벨리 |
후임 | 에이리크 뵤른손 |
신상정보 | |
출생일 | 8??년 |
사망일 | 8??년 |
가문 | 문쇠가 |
부친 | 라그나르 로드브로크 |
모친 | 아슬라우그 |
종교 | 노르드 종교 |
라그나르의 아들들의 사트르에 따르면 뵤른은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와 아슬라우그 사이에 태어난 아들로,[1] 흐비트세르크, 이바르 힌 베이늘라우시, 시구르드 오름이아우가와 동복형제이며 프리들레이프, 에이리크, 아그나르와 이복형제이다.
뵤른과 그 형제들은 고향 스웨덴을 떠나 셸란섬, 레이드고탈란드, 고틀란드섬, 욀란드섬 등을 정복하고 다니다가 셸란 섬의 레이레에 정착했고, 이바르가 무리의 지도자 역할을 했다. 아들들이 자기만 빼놓고 재미를 보자 화가 난 라그나르는 에위스테인 벨리를 스웨덴의 야를로 세워 아들들이 스웨덴을 건드리지 못하게 지키라고 하고는 발트 해를 건너 동쪽으로 원정을 갔다.
그 뒤 에이리크와 아그나르가 멜라렌호를 건너와 에위스테인에게 라그나르의 아들들에게 복종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에이리크는 에위스테인의 딸 보르그힐드를 아내로 맞고 싶다고 했다. 에위스테인은 처음에는 여러 군장들과 논의를 해 보겠다고 했다. 군장들은 거부 의사를 밝히며 대행왕 에위스테인에게 역적질을 하는 아들들을 토벌하라고 했다. 이로 인해 전투가 벌어져 아그나르는 죽고 에이리크는 포로로 잡힌 뒤 죽음을 자청해 창에 꿰여 죽었다.
셸란섬에서 타플 놀음을 하던 도중 이 소식을 들은 뵤른, 아슬라우그, 흐비트세르크는 분노해 대군세를 몰고 스웨덴으로 쳐들어가 에위스테인을 죽였다. 라그나르는 아들들이 자신에게 고하지도 않고 제멋대로 복수를 행했음이 못마땅해져 크나르 두 척의 병력만으로 잉글랜드를 정복해 보이기로 했다. 그러나 노섬브리아의 앨라 왕에게 패배하고 뱀 굴에 던져져 죽었다.
이에 뵤른을 위시한 형제들은 앨라에게 쳐들어갔다(이교도 대군세). 처음에는 패배했지만 이바르가 계책을 써 앨라에게 큰 땅을 받아낸 뒤 거기에 요크 읍성을 세우고 거점으로 삼았다. 그 뒤 이바르가 형제들에게 다시 공격할 것을 제안했다. 이바르가 요크를 거점으로 주변의 앵글로색슨 현지인들의 민심을 어느 정도 샀기에 앵글로색슨 군장들 여럿이 이바르의 편에 서서 싸웠고 앨라는 붙잡혀 끔찍하게 살해당했다.
그 뒤 뵤른과 형제들은 잉글랜드, 웨일스, 프랑스, 이탈리아 곳곳을 들쑤시며 약탈을 하다가 고향 스칸디나비아로 돌아가 각자 영토를 나누었는데 뵤른은 스웨덴 웁살라를 자기 몫으로 챙겼다고 한다.
헤르보르와 헤이드레크의 사가에서는 뵤른에게 레필과 에이리크 두 아들이 있었고 뵤른의 왕위를 에이리크가 계승했다고 한다.
평평한 섬의 서에 나오는 족보에는 토르핀 카를세프니가 뵤른 야른시다의 7대손이라고 되어 있다.
생베르탱 편년사, 퐁테넬 편년사에는 850년대에 센 강을 약탈한 바이킹 지도자의 이름이 뵤른(라틴어로 베르노)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 뵤른이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들 뵤른 야른시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족보편집
고조부 라드바르드 | ||||||||||||||||
증조부 란드베르 | ||||||||||||||||
고조모 아우드 | ||||||||||||||||
조부 시구르드 | ||||||||||||||||
고외조부 구드뢰드 | ||||||||||||||||
증조모 잉길드 | ||||||||||||||||
아버지 라그나르 | ||||||||||||||||
증외조부 간달프 | ||||||||||||||||
조모 알프힐드 | ||||||||||||||||
고외조부 알프 | ||||||||||||||||
증외조모 가우틸드 | ||||||||||||||||
고외조모 귀리타 | ||||||||||||||||
뵤른 | ||||||||||||||||
외고조부 볼숭 | ||||||||||||||||
외증조부 시그문드 | ||||||||||||||||
외고조모 흘료드 | ||||||||||||||||
외조부 시구르드 | ||||||||||||||||
외증조모 효르디스 | ||||||||||||||||
어머니 아슬라우그 | ||||||||||||||||
외증외조부 부들리 | ||||||||||||||||
외조모 브륀힐드 | ||||||||||||||||
각주편집
- ↑ “The Tale of Ragnar's Sons – Translation by Peter Tunstall”. 2012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6월 21일에 확인함.
참고 자료편집
- Lagerquist, Lars O. (1997). Sveriges Regenter, från forntid till nutid. Norstedts, Stockholm. ISBN 91-1-963882-5
이 글은 스웨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군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