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군 을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충청남도 부여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부여군 을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48년~1963년
의원 수1인
이후 선거구부여군

역사

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장암면, 석성면, 초촌면, 옥산면, 남면, 충화면, 양화면, 임천면, 세도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부여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부여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

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48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철수
1950년 무소속 이종순
1954년 자유당 조남수
1958년 자유당 임철호
1960년 민주당 이종순

역대 선거 결과

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편집
충청남도 부여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철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1,438표
36.62%
당선
이호철 무소속 7,957표
25.48%
문장섭 대한독립촉성국민회 6,570표
21.03%
심상원 무소속 3,282표
10.51%
서기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980표
6.34%
합계 31,227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
충청남도 부여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종순 무소속 6,394표
22.59%
당선
조대하 무소속 4,694표
16.58%
장수원 대한국민당 4,266표
15.07%
김철수 일민구락부 3,199표
11.30%
허익 무소속 3,197표
11.29%
심상선 무소속 2,965표
10.47%
서상익 무소속 2,128표
7.51%
김봉수 무소속 1,458표
5.15%
신하철 무소속 0표
0%
합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
충청남도 부여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조남수 자유당 10,465표
36.15%
당선
신하철 대한독립촉성국민회 8,134표
28.10%
이종순 무소속 2,901표
10.02%
김철수 무소속 2,612표
9.02%
이호철 무소속 1,735표
5.99%
김기승 무소속 1,507표
5.20%
신승면 무소속 963표
3.32%
정창화 무소속 625표
2.15%
합계 28,942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
충청남도 부여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임철호 자유당 16,759표
53.19%
당선
조남수 무소속 7,518표
23.86%
이종순 민주당 7,230표
22.94%
합계 31,507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편집
충청남도 부여군 을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종순 민주당 10,751표
37.18%
당선
김승진 무소속 6,519표
22.54%
조준구 무소속 6,207표
21.46%
백병기 무소속 2,867표
9.91%
조준구 무소속 1,937표
6.69%
신승열 무소속 630표
2.17%
합계 28,911표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