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토론:노벨 게임

마지막 의견: 16년 전 (Singleheart님) - 주제: 노벨 게임의 범위

미소녀 게임

편집

이 토론은 분류토론:비주얼 노벨에서 가져왔습니다. 분류 명칭에 관한 다른 의견이 있으시면, 아래에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마소리스 2006년 9월 24일 (월) 15:37 (KST)답변


이 분류가 남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소녀 게임에도 이 분류가 붙었던데, 미소녀 게임은 미소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게임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말이고 여기에는 비주얼 노벨이라고 부르기 대단히 부적합한 게임들도 많이 있습니다. 조악한 예를 들자면 '대륙을 제패하여 수많은 미소녀를 손에 넣는다'를 목적으로 하는 전략 시뮬레이션 미소녀 게임 같은 것이 꽤 됩니다.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도 어찌보면 '시각화한 소설'(visual novel)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스타크래프트토탈 어나이얼레이션분류:비주얼 노벨을 붙이긴 뭣합니다. '비주얼 노벨'은 좁은 의미, 즉 사용자의 참여가 선택지를 고르는 수준으로 제한되고 텍스트 위주로 진행되는 게임만을 가리키는 분류로 쓰는 편이 낫겠다고 생각합니다. --한동성 2006년 9월 21일 (금) 15:02 (KST)답변

다른 언어에 '미소녀 게임'에 해당하는 분류가 없으며, 대부분이 비주얼 노벨과 관련된 내용이여서 전체를 '비주얼 노벨'로 옭겼습니다. 그 중에 비주얼 노벨과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것도 딸려 들어왔는데, 그런것은 제가 방금 다른 분류로 옭겼습니다. --마소리스 2006년 9월 21일 (금) 15:34 (KST)답변
무슨 말씀인지 이제 알겠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엔 그래도 '미소녀 게임'의 분류가 필요합니다. 에로게분류:성인 게임에 들어가 있고 비주얼 노벨분류:비주얼 노벨에 들어가 있는데 두 장르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묶는 분류가 따로 없이 그냥 컴퓨터·비디오 게임 장르로 들어가 있습니다. 영어판을 보면 분류:성인 게임에 해당하는 en:Category:H games분류:비주얼 노벨에 해당하는 en:Category:Visual novelsen:Category:Anime games라는 다소 엉뚱한 용어를 쓴 분류 아래에 묶여 있습니다. 애니메 게임이라는 말은 생소하죠?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용어가 언어별로 중구난방으로 쓰이기 때문에 다른 언어의 분류는 이 사안에서는 별로 참고가 못될 것 같다는 것입니다. 우리말에 en:Category:Anime games에 대응할 만한 말이 있을까요? 대안이 없다면 전 '미소녀 게임'을 쓰는 게 낫겠다고 생각합니다. --한동성 2006년 9월 21일 (금) 20:06 (KST)답변
미소녀 게임이라는 용어 자체가 너무 모호 합니다. "미소녀들을 자주 등장시키는 컴퓨터 게임"이라 되어 있는데, 이는 사람에 따라 기준이 천차만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소녀 게임의 경우 ja:ギャルゲー에 따라 분류:컴퓨터·비디오 게임 장르에 집어 넣었습니다. 또한 분류:미소녀 게임을 다시 만든다 하더라도 그 속에 무엇을 집어 넣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분류:성인 게임의 경우는 일본풍 성인 게임을 뜻하는 en:Category:H games을 보고 만든것이 아니라, 일본어 'アダルトゲーム'와 중국어 'Category:十八禁遊戲'을 보고 단지 넓은 의미의 성인 게임이라는 뜻으로 만든 겁니다. 따라서, 이 두개의 분류를 '미소녀가 자주 등장하는 게임'이라는 느낌을 가진 하나의 큰 분류에 묶는 것은 반대합니다. --마소리스 2006년 9월 22일 (금) 08:04 (KST)답변
ja:Category:アダルトゲームen:Category:H games와 인터위키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비주얼 노벨이 아니지만 http://getchu.com 등지에서 보통 같은 장르로 취급되는 수많은 게임들을 묶는 분류가 필요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en:Welcome to Pia Carrot 같은 작품은 '비주얼 노벨'로 불리지 않지만 보통 그것은 흩날리는 벚꽃처럼, 크로스 채널 등등과 같은 대분류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이런 대분류가 필요하고, 분류 이름은 '미소녀 게임'이 좋지 않겠느냐는 이야기입니다. 혹 성인 게임 전체를 미소녀 게임 아래에 두는 것이 부적절하신다고 생각하신다면 그냥 지금 분류:비주얼 노벨분류:성인 게임에 들어 있는 문서들 중에서 미소녀 게임에 해당된다고 생각되는 문서에만 분류:미소녀 게임을 붙이면 어떨까요. --한동성 2006년 9월 22일 (금) 09:59 (KST)답변
차라리 분류:모에분류:헨타이를 만드는건 어떻습니까? 굳이 분류:미소녀 게임을 만드신다면 말리지는 않겠습니다. 아마도 제가 생각하는 미소녀와 님이 생각하는 미소녀의 개념이 상당한 차이가 있는것 같군요... -_- --마소리스 2006년 9월 22일 (토) 17:45 (KST)답변
제작사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장르에 따르면 플라네타리안은 '비주얼 노벨'이 아닌 '키네틱 노벨'이며 카논이나 애어, 클라나드는 '연애 어드밴쳐'입니다. 또한 플레이 방법이 거의 비슷한 마브러브의 경우 '초왕도학원어드벤쳐'라는 장르명을 붙이고 있습니다. 실제 '비주얼 노벨'이라고 제작사에서 장르를 밝히는 작품은 흔하지 않은데다(Leaf사의 비주얼 노벨 시리즈 정도) 기본적으로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화면의 전체에 텍스트를 뿌리는 것을 비주얼 노벨, 하단부에 뿌리는 것을 어드벤처로 분류하고 있고(ja:ビジュアルノベル), 그런 분류법에 따르면 현재 비주얼 노벨의 분류에 포함되어 있는 것 중 '플라네타리안', '클라나드', '카논', '그것은 흩날리는 벚꽃처럼', '크로스 채널'은 비주얼 노벨에 포함되지 못합니다. 그 외에 이 분류에 속해있는 게임은 Fate 뿐이군요. 비주얼 노벨 분류를 만드는 것 자체는 특별히 문제가 없습니다만, 비주얼 노벨에 해당되지 않는 작품을 분류의 편의를 위해 비주얼 노벨에 넣는 것은 반대합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은색', '카논'에서 시작하여 '엔젤릭 세레나데', '심포닉 레인'과 같은 코가도사의 전통적인 리듬게임 및 '귀축왕 란스' 등의 앨리스사 게임까지도 심리적으로 같은 범주 안에서 이해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위의 게임들은 장르 자체에는 큰 공통점이 없으며, 18금 장면이 들어간다고 보기에도 카논과 마브러브는 전연령판이 나온 상태이며 심포닉 레인은 애초에 18금 장면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공통점으로 잡기도 어렵습니다. 이러한 게임들의 실질적인 공통점은 미소녀 캐릭터가 등장하며 그 대상을 공략한다(표현이 좋지는 않지만, 양해 부탁드립니다)는 것 뿐이며 이들을 묶어 부르는 공통적인 명칭이 해외의 위키백과에 없다고 하여 한국어 위키백과에마저 없어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현실적으로는 위의 장르들을 '미연시'라 묶어 부르고 있으나 '미연시'를 분류명으로 사용할 경우 중립적 시각에 위반될 소지가(미연시라는 표현만 들어가면 그게 맞는 말인지 틀린 말인지 논쟁이 생겨서 이 단어 자체를 금지어로 정한 커뮤니티만 여럿입니다.) 있기 때문에 '미소녀 게임'은 나쁘지 않은 분류명이라 봅니다. --Karipe 2006년 9월 23일 (토) 08:39 (KST)답변
무슨 뜻인지 잘 알겠습니다. :) 그럼 만들도록 하죠. --마소리스 2006년 9월 23일 (토) 11:14 (KST)답변
일본 위키에 따라, 관련 분류를 모조리 분류:노벨 게임으로 옭겼습니다. '미소녀 게임'이라는 명칭에 비하여, 이것이 더 내용이 잘 들어나고, 포괄적이며, 여성향 노벨 게임도 포함할 수 있어, 명칭을 수정하였습니다. 이걸로 이 문제는 해결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소리스 2006년 9월 24일 (월) 15:33 (KST)답변
이런 내용의 논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AVG에 대한 항목을 만들었습니다. 귀중한 시간 내주셔서 읽어보시고 내용의 중립성과 정확한 정의(def)를 위하여 도움을 주시기 바랍니다.--Aisia 2007년 4월 9일 (화) 23:46 (KST)

분류:에로게

편집

다른 위키백과에서 노벨 게임 관련 분류를 보았는데, 영문 위키 같은 경우는 지금은 분류:노벨 게임에 해당하는 분류 하나만 있었습니다. 제가 노벨 게임이라는 명칭을 가져온 일본 위키의 경우 ja:Category:ノベルゲーム를 전연령판에 한정해서 사용하며, 18금 노벨 게임의 경우 ja:Category:アダルトゲームソフト라는 분류를 별도로 가지고 있었습니다. ja:アダルトゲームソフト를 보니, 에로게와 연결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분류:에로게를 만들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중국어 위키백과의 zh:Category:十八禁遊戲軟件라는 카테고리가 있던데, 이것은 18금 노벨 게임만 분류해 놓았더군요. 그래서 전연령 판은 어디에 놓아 두었는지, 찾아보았는데, 별도의 분류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전연령판과 18금을 구분해 놓은 일본 위키나, 18금만 분류해 놓은 중국어 위키보다는, 모조리 한 분류에 집어 넣어 놓은 영문 위키를 따르는게 옭다고 판단되며, 분류:에로게의 경우 분류:성인 게임으로 대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제가 만들긴 했지만, 지우겠습니다.

--마소리스 2006년 9월 24일 (월) 17:06 (KST)답변

일본어 위키의 경우 노벨 게임 외에 연애 어드밴쳐라는 분류를 따로 가지고 있을 겁니다. 한번 더 확인 해 주세요.

--Karipe 2006년 9월 25일 (월) 10:43 (KST)답변

노벨 게임의 범위

편집

지금 설명을 보면 노벨 게임이 아주 광범위한 게임을 포함하는데, 이건 엄밀한 의미에서는 잘못된 분류라고 봅니다. 투하트 같은 비주얼 노벨이 인기를 끌던 시절에 사람들이 미소녀 게임을 비주얼 노벨이라고 부르던 전통이 내려오는 것 같은데, 요즘은 차라리 미연시라고 하지 노벨 게임으로 분류하지는 않는 것으로 압니다. 노벨 게임의 범위를 지금 설명에 있는 사운드 노벨, 비주얼 노벨, 키네틱 노벨에 한정해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봅니다. 설명하고 기존 몇몇 게임의 분류를 수정하는 것이 어떨까요? --싱글·하트 2007년 12월 24일 (월) 11:51 (KST)답변

글쎄요. 미연시라는 단어의 개념에도 문제가 많다고 봅니다. 미소녀 연애 시뮬레이션이라는 쟝르의 게임은 말 그대로 시뮬레이션적인 요소를 지닌 게임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예를 들자면 두근두근메모리얼과 같은 몇개 안되는 갯수의 게임이 이쪽이겠지만, 그 외의 인터렉티브하게 정해진 분기를 따라 움직이는 스타일의 어드벤쳐 게임은 시뮬레이션적인 요소를 전혀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미연시라고 부르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봅니다. 말이 좀 옆으로 샜습니다만, 굳이 흔히 말하는 화면에 텍스트가 쓰여지는 스타일의, 이른바 e-book에 가까운 일본식 디지털 노블 어드벤쳐 게임을 분류해 내자면 텍스트 어드벤쳐라는 쟝르로 구분해 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네트워커 2008년 3월 21일 (금) 03:41 (KST)
저도 미연시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같은 생각입니다. 노벨 게임이 텍스트 어드벤처에 속한다는 의견에도 공감하며, 방금 이 분류의 분류를 인터랙티브 픽션으로 바꾸었습니다. 그런데 원래 논의는 어떤 게임까지 노벨 게임이라고 할 것이냐 하는 좀 더 좁은 범위의 얘기였습니다. --싱글·하트 2008년 3월 21일 (금) 14:01 (KST)
"노벨 게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