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리아어 음운론

불가리아어 음운론을 설명한다.

음소

편집

모음

편집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u
중모음 e ă o
저모음 a

/i e o u/는 이완음이다. /ă/는 [a]보다 긴장도와 혀의 위치가 높지만, 러시아어의 [ɨ]보다는 낮은 위치에서 조음된다. 어두의 모음은 성문 파열음을 갖는다.[1]

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은 강세를 받는 모음보다 짧고 약하게 발음되고, /i-e a-ă u-o/ 짝에 서로 가깝게 발음된다. 강세를 받지 않는 어말의 모음은 종종 묵음이 된다.[1]

모음+비음+마찰음 형태에서 모음은 비음화되고, 비음은 종종 탈락된다.[1]

본래 불가리아어에서 모음이 연속되는 경우는 형태론적 변화에서만 일어난다(знаеш). 외래어에서는 모음 연속이 흔하다(театър).[1]

자음

편집
양순음 순치음 치경음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폐쇄음 p p´  b b´ t t´  d d´ k´  g´ k  g
마찰음 f f´  v v´ s s´  z z´ š  ž x
파찰음 c  c´ č  ǯ
비음 m  m´ n  n´
설측음 l  l´
전동음 r  r´
활음 j

/t d s z c l/는 치음~치경음, /n r/은 치경음이다. acute 악센트(´)는 순음과 치경음의 구개음화를 표시한다. 치경구개음은 구개음화되는 정도가 작다. 구개음화된 순음의 경우 많은 불가리아인들은 [Cj]와 같이 발음한다. 특히 /n ´ l ´ r ´/의 치음~치경음은 구개음화 된 경우 치경구개음에 가깝게 변동이 일어난다.[2]

/n/은 연구개음 앞에서 연구개음 /ŋ/로 변이된다.[2]

/l/은 전설모음 앞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연구개음화된다.[2]

/c/와 /x/는 유성음 앞에서(/v v´/ 제외. 후술) 유성 변이음 /ʒ/와 /ɣ/을 갖는다. /x/는 전설 모음 앞에서 연구개 변이음 /x´/를 갖는다.[2]

어떤 음소표는 /x´ʒ ʒ´/를 포함하고 있는데, /x´ʒ´/는 오로지 외국어에 대해서만 쓰인다. /ʒ/는 외국어에 더해 방언에도 쓰이는 경우가 있다.[2]

장애음은 공명음이나 /v v´/ 앞에서 유성음과 대립된다. 이외의 경우에는 둘 모두 어말이나 무성음 앞에서 무성음화되며, 유성음 앞에서 유성음화된다.[2]

구개음화된 음가와 구개음화되지 않은 음소는 전설 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서만 대립되며, 고유어에서는 형태론적 변화에 의해서만 /ă u o/ 앞에서 대립된다.[2]

연구개음과 경구개음은 전설 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서 대립된다. 다만 연구개음은 외국에서 유래한 단어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전설 모음 앞에만 자리하며, 나머지 모음 앞에는 경구개음만이 자리한다.[2]

모음 뒤의 /j/는 어말이나 자음 앞에 자리한다. 전설 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 있을 때는 어두나 모음 뒤에 자리한다. 몇몇 차용어에서 어두에 올 때를 제외하고는 자음 뒤에 오거나 전설 모음 앞에 오지 않는다.[2]

자음은 형태론적 변화에 의해서만 연속해서 나타날 수 있다. 자음군은 별개의 규칙을 따른다.[2]

알파벳 전사

편집
А
A
Б
B
В
V
Г
G
Д
D
Е
E
Ж
Ž
З
Z
И
I
Й
J
К
K
Л
L
М
M
Н
N
О
O
П
P
Р
R
С
S
Т
T
У
U
Ф
F
Х
X
Ц
C
Ч
Č
Ш
Š
Щ
ŠT
Ъ
Ǎ
Ь
´
Ю
JU
Я
JA

불가리아어 알파벳은 다음 규칙들에 의한 변화를 제외하면 음소표와 가깝게 발음된다.[3]

첫째, /št/는 щ로 표기되며, 음소 /ǯ/는 дж, /ʒ/는 дз로 표기된다.[3]

둘째, 철자는 형태론적인 유-무성 장애음의 변별적 요소를 반영하지 않는다.[3]

셋째, 경구개음과 구개음화된 자음이 전설모음이 아닌 모음 앞에서는 /j/와 뒤따르는 모음이 합쳐져 я, ю, ьо로 표기된다. 이외의 경우 /j/는 й로 표기된다.[3]

넷째, я는 다의적이다. 경구개음, 구개음화된 자음, /j/ 뒤의 /a/와 구개음화된 자음, /j/ 뒤의 /ă/로서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론적인 변화에 사용된다. 하나, 남성 단수 정관사. 둘, 1,2식 변화 동사의 1인칭 단수 및 3인칭 복수형.[3]

다섯째, a 역시 다의적이다. 다음 두 가지 경우 /ă/가 아닌 /a/가 사용된다. 하나, 명사의 목적격 남성 단수 정관사. 둘, 1,2식 변화 동사의 1인칭 단수 및 3인칭 복수형.[3]

/ă/는 원시슬라브어 *o와 강한 *ъ가 변화한 음소다. 또한 불가리아어에서 /ă/는 유음이나 비음으로 끝나는 어말 자음군을 어근과 분리하기 위해 삽입되었다. /e/는 원시슬라브어의 *ę과 강한 *ь가 변화한 것이다. 한편 약한 *ъ/ь는 단음절 어근의 단어에 남아 있다. 일부 *ь 음가는 /ă/로서 남아 있다.[3]

불가리아어에서는 원시슬라브어의 이중모음 *o/e를 전위, 장음화시키기도 했다.[3]

불가리아어에서 강세를 받은 음절은 길고 강하게 발음된다. 강세는 분별적인 자질이며 위치는 자유롭고 이동이 가능하다.[3]

일반적인 단어는 한 개의 강세를 갖지만 합성어의 경우 약화된 강세나 두 개의 강세를 갖기도 한다. 불가리아어에서는 접어를 접두사, 접미사, 가변 접사로 분류한다.[3]

형태음운론적 교체

편집

원시슬라브어에서 유래한 것

편집

연구개음~경구개음 교체는 원시슬라브어의 1식 구개음화에서 유래한다. 현대 불가리아어에서는 특정 조건 하에서 일어난다.[4]

  1. /-e/형 남성 호격
  2. 일부 1식 변화 동사
  3. 불규칙 중성 복수(눈, 귀)

연구개음~치음 교체는 원시슬라브어의 2,3식 구개음화에서 유래한다. 남성명사의 복수형이나 다음절 어근에서 비교적 규칙적으로 일어난다. 몇몇 여성 불규칙 복수에서도 일어난다(팔, 발).[4]

Jotation은 원시슬라브어의 치음과 순음 앞에 있던 *j에서 유래한다. 고대 불가리아어에서 널리 쓰였으나 현재는 극히 드물게 나타난다.[4]

o~e 교체는 원시슬라브어에서 경구개음 뒤 후설모음의 전설모음화 현상, 혹은 연구개음의 3식 구개음화에서 유래한다. 이 같은 교체는 비생산적이며 어휘상으로 제한적이다.[4]

자음 절삭은 자음이 다른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 삭제되는 것이다.[4]

  1. /j/는 1식 변화 동사 현재형 어간의 끝에 올 경우 굴절하면서 탈락한다. 이 교체는 형태론적 조건에도 불구하고 생산적이며 규칙적이다.
  2. /t d/는 어근 끝에서 1식 변화 동사의 아오리스트 소사 /l/ 앞에 올 경우 탈락한다.
  3. /n s t/는 일부 중성명사의 단수나 복수형에서 탈락한다. 이는 다른 교체에서도 산발적으로 나타난다.

모음 절삭은 어근 끝의 모음이 일부 굴절에서 삭제되는 것이다.[4]

/t/~/s/ 교체는 일부 파생관계에서 나타난다.[4]

원시슬라브어 모음 교체의 흔적은 주로 대립에서 보존된다.[4]

원시슬라브어 이후에 발생한 것

편집

일반적, 음운론적, 선택적 교체

편집

통상적인 대화에서 이 교체는 단어 내부뿐 아니라 단어 사이에서도 작용한다.[5]

CC~C 교체는 형태론적 규칙에 의해 나타나는 자음 중첩이 하나의 자음으로 줄어드는 것이다.[5]

치경음~경구개음 교체는 일부 경구개자음 앞의 치경자음이 경구개음화하는 것이다.[5]

ST~S 교체는 치경마찰음+치경폐쇄음이 다른 단어나 자음 앞에서 치경마찰음으로 줄어드는 것이다.[5]

E~J 교체는 강세가 없는 /e/나 /i/가 주로 강세를 받은 낮은 위치의 모음과 이어질 때 /j/로 변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o/나 /u/는 [w]로 변한다. 이 음소들은 구개음화나 순음화된 것처럼 발음된다.[5]

일반적, 음운론적, 필수적 교체

편집

어말 무성음화된 음소는 장애를 받지 않는 음소 앞에 있게 되면 다시 유성음이 된다. 다만 정관사를 제외한 접미사 앞에서는 무성음화되며, 접두사의 어말에서는 무성음화되지 않는다.[6]

자음군 동화는 유성음 앞의 무성음은 유성음화되고, 무성음 앞의 유성음은 무성음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접사와 강세가 있는 단어의 결합에서도 같은 변화가 일어난다. 다만 /v v´/는 유성음화를 일으키지 않지만 무성음화를 받는다.[6]

연구개음~경구개음 교체는 다른 모음 앞의 /k g/가 전설모음 앞의 /k´g´/와 교체되는 것이다. 통상적인 대화에서는 단어 사이에서도 작용한다.[6]

C´~C 교체는 전설모음이 아닌 모음 앞의 구개음화된 자음이 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으로 변하는 것이다.[6]

/i/~∅ 교체는 후설 모음, 자음, 다른 단어 앞에 나오는 /j/가 전설 모음 앞에서 삭제되는 것이다. 이 변화는 선택적인 것일 수도 있다.[6]

/j~C´/ 교체는 어근의 맨 앞에 있는 /j/가 접두사의 마지막 자음의 구개음화 요소로 변하는 것이다.[6]

/s/~∅ 교체는 /-sk-/ 형태의 접사로 변화하는 형용사에서 /s/가 탈락하는 것이다.[6]

어휘론적 교체

편집

음운론적 요소나 형태론적 요소, 또는 형태음운론적 요소로 인해 어휘적으로 강제되는 교체이다.[7]

C´a´~Ce 교체는 강세가 있는 /a/ 앞에 구개음화된 자음이 올 때, 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 뒤의 /e/로 변하는 것이다. 90-100여 개의 어근에서 이 같은 어휘적 변화가 일어난다. 음운론적 요인으로, C´a´는 강세를 받고 (1)구개음화된 자음이나 치경구개자음 (2)해당 자음을 포함하는 자음군 (3)어두모음을 포함하는 음절 앞에 있지 않을 경우에만 보존되고, 그렇지 않으면 /Ce/나 /Ce´/ 형태를 가진다.[7]

음위 전환은 오래된 현상이나 예외가 많다.[7]

모음 삭제는 많은 명사/동사의 변화에서 /ă/와 /e/가 삭제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7]

각주

편집
  1.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p. 190.
  2.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pp. 190-192.
  3.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pp. 192-194.
  4.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pp. 194-196.
  5.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p. 196.
  6.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pp. 196-197.
  7. Comrie, Bernard, and Greville G. Corbett. (1993). The Slavonic Languages. London: Routledge. pp. 197-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