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너스 인 퍼

비너스 인 퍼》(영어: Venus in Fur)는 미국의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데이비드 아이브스(David Ives, 1950년 ~ )가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가 1870년에 발표한 소설 《모피를 입은 비너스》에서 영감을 받아 희곡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권력이 갖는 힘을 에로틱하면서도 코믹하게 풀어낸 2인극으로,[1][2] 2010년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 되었고, 이듬해인 2011년에 브로드웨이에 입성해, 2012년 토니 어워즈 최우수 연극상에 노미네이트 되고, ‘벤다’ 역의 니나 아리안다가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받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한국에서는 2017년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에서 김민정 연출로 초연되었다.[3]

비너스 인 퍼
Venus in Fur
극본데이빗 아이브스
원작
레오폴트 폰 자허마조흐
공연2017년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111
2019년 충무로아트센터 중극장 블랙

줄거리

편집

《비너스 인 퍼》는 극중 '연출'이 가진 권력과 배역을 소화하는 '여배우'의 권력이 가장 잘 보여지는 한정된 장소인 오디션장에서 상대방을 지배하는 모습을 섹시하지만 코믹하게, 때로는 어두운 모습으로 그려낸다.[4] 뽑는 자와 뽑히고 싶은 자는 명확하게 우위가 나뉘고 일반적으로 후자의 존재가 약하다. 그러나 ‘마조히즘’이 모티브인 연극 오디션에서 벌어지는 연기는 현실의 공간을 완벽하게 뒤집는다. 극 속 현실은 현대지만, 극 중 극은 근대시대 캐릭터 ‘쿠솀스키와 두나예브’와 고대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인 ‘비너스’를 절묘하게 뒤섞으며 시대를 넘나든다.[5]

등장인물

편집
  • 토마스: 새디스틱한 연출가
  • 벤다: 오디션을 받는 여배우

2017년 한국 공연

편집
  • 2017년 7월 25일부터 8월 27일까지 두산아트센터 Space111에서 한국 초연무대가 열렸다.

창작진

편집
  • 연출: 김민정
  • 프로듀서: 박용호
  • 기획: 두산아트센터, 달 컴퍼니
  • 제작: 달 컴퍼니, 쉐도우2
  • 음악감독: 김준성
  • 무대디자인: 황수연
  • 조명디자인 최재호
  • 음향디자인 강국현
  • 의상디자인: 조문수

캐스팅

편집
  • 토마스: 이도엽, 지현준
  • 벤다: 방진의, 이경미

2019년 한국 공연

편집
  • 2019년 7월 24일부터 8월 18일까지 충무로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재연무대가 열렸다.

창작진

편집
  • 윤색/연출: 김민정
  • 프로듀서: 박용호
  • 제작: 달 컴퍼니
  • 음악감독: 김준성
  • 무대디자인: 황수연
  • 조명디자인: 최재호
  • 음향디자인: 강국현
  • 의상디자인: 조문수
  • 헤어/메이크업: 김남선

캐스팅

편집
  • 토마스: 김태한, 김대종
  • 벤다: 이경미, 임강희

각주

편집
  1. 배, 지원 (2019.7.16). “아트인사이트”. 《[PRESS] 연극 '비너스 인 퍼' : 오디션장에서 벌어진 일 [공연]》. 
  2. “아트조선”. 《'마조히즘' 탄생시킨 소설 '비너스 인 퍼' 연극으로》. 2019.7.28. 
  3. “KBS 스토리매거진”. 《[리뷰] 연극 '비너스 인 퍼' 마조히즘을 아시나요》. 2017.12.8. 
  4. 이, 재훈 (2019.7.23). “Newsis”. 《연극 '비너스 인 퍼' 다시 온다, 모피를 입은 비너스》. 
  5. 신, 성아 (2019.6.13). “NewDaily”. 《'성적 욕망' 섹시하게…연극 '비너스 인 퍼' 7월 재연》.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