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가섬
사도가섬(일본어: 佐渡島 사도가시마[*])은 니가타현의 동해상에 있는 섬이다. 섬 전체가 니가타현 사도시에 속한다. 인구는 6만 9,546명(2005년 3월 1일 현재)으로 면적은 854.88km2로 대한민국의 천안시 면적(636.07km2)보다는 넓고, 원주시(872.45km2)보다는 약간 작은 편이다.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등 4개의 주요 섬들을 제외하면 오키나와섬 다음으로 일본에서 면적이 2번째로 넓은 섬이며, 큰 일본 본토 4도에 딸린 섬으로는 가장 큰 섬이다.[1]
사도가 섬 | |
---|---|
![]() | |
지도
| |
지리 | |
![]() | |
위치 | 동아시아 |
좌표 | 북위 38° 05′ 00″ 동경 138° 21′ 00″ / 북위 38.08333° 동경 138.35000°
|
면적 | 854.76 km2
|
행정 구역 | |
![]() | |
현 | 니가타현 |
시 | 사도시
|
인구 통계 | |
인구 | 64,533명(2008년 6월 1일 기준)
|
2021년 12월 28일 일본이 군함도처럼 강제 징용에 대한 어떤 설명도 없이 사도가 섬의 사도광산을 세계유산 후보로 선정해 세계유산 등재 신청을 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2] 일본측 관계자는 "조선인 강제 동원 사실을 언급하는 건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KBS에 밝혔다.[3] 이에 대해 대한민국 외교부는 유감 표명과 등재 철회를 요구하였다.[4]
2022년 1월 18일 하야시 요시마사 일 외상이 사도(佐渡) 광산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해 "한국에 우리나라(일본)의 입장에 근거해 적절히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고 밝혔다.[5] 하지만, 1월 27일 아베를 비롯한 일본 우익 세력들은 강제징용과 사도광산은 서로 상관 없다는 무논리로 유네스코에 등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 이에 한국 외교부와 일본 시민단체가 등재 재추천에 반대를 표하였다.[7][8] 하지만 일본은 1월 28일 한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추천을 강행하였다.[9] 이에 한국 외교부는 주한일본대사를 불러 강한 유감을 전하였다.[10]
2월 9일 러시아 외무부가 일본의 사도광산 등재 추진에 반대의 입장과 한국 정부의 반대 입장에 대해 이해한다고 밝혔다.[11] 또한 2월 11일 중국 외교부도 일본은 불행한 역사에 대해 직시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히었다.[12]
2월 11일 한일 외교장관이 하와이에서 첫 회담을 갖고 상호 의견을 교환하였는데, 정의용 외교장관은 일본이 사도광산 등재 추진에 항의를 하였다.[13] 하지만 일본은 추천서에 군함도 때와 똑같이 강제 징용에 대한 내용만 제외한 것으로 알려졌다.[14]
일본이 지난 2월 강제징용 등 과거사 문제로 한국이 반대하는 사도광산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에 관한 추천서를 냈지만, 유네스코 측이 일부에 "충분하지 않은 점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늦어지고 있다고 한다.[15] 이에 2023년 6월 유네스코 등재총회 때까지 한일간 관계는 평탄치 않을 것 같다.
참고로 사도가섬은 1200여명의 조선인들이 강제 노역한 곳으로 알려졌다.
역사편집
각주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오키나와섬 다음으로, 이투루프 섬(영유권 주장)을 1위로 치기도 한다.
- ↑ <더뉴스> 군함도에 이어 또..日 '조선인 강제노역'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록 추진
- ↑ <단독> 日 사도광산 '단독 추천' 결정.."강제동원 언급 검토 계획 없다"
- ↑ 일 세계유산 후보에 '강제동원' 사도광산..정부 "철회를"
- ↑ 일본 외무상 "사도광산 韓입장 알아..日입장 근거해 의사 전달"
- ↑ 일본 "'사도광산 강제노동' 한국 주장 전혀 수용 불가"
- ↑ 외교부, 日사도광산 등재추천 가능성에 "결론 예단않고 주시"
- ↑ "강제동원 없었다"는 사도광산..日 시민사회 '발끈'
- ↑ 일본, '조선인 징용'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추천 결정
- ↑ 정부, 일본대사 초치..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진 항의
- ↑ 러, 日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반대.."한국 반응 이해한다"
- ↑ 중국,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시도에 "일본, 역사 직시해야"
- ↑ 한일외교장관 전격회담..정의용, 日에 '사도광산' 항의 뜻 전달
- ↑ 일본, 사도광산 세계유산 추천서에 '조선인 강제노동' 제외
- ↑ "日 사도광산, 내년 세계유산 등재 어려워..유네스코 '이의' 제기"
이 글은 일본의 지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