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찬가 (드라마)
《사랑의 찬가》는 1995년 7월 10일부터 1996년 2월 2일까지 방송되었던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서울방송)에서 제작한 일일 드라마 작품이었다.
![]() | |
장르 |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
방송 기간 | 1995년 7월 10일 ~ 1996년 2월 2일 |
방송 시간 | 매주 평일 오후 8시 55분 ~ 오후 9시 20분 |
방송 분량 | 25분 |
방송 횟수 | 142부작 |
연출 | 주일청 |
각본 | 허숙 |
출연자 | 홍성민, 서승현, 정한용, 김혜리, 김병세, 강문영 외 |
여는 곡 | 위일청 《세월》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
외부 링크 | <사랑의 찬가> 공식 홈페이지 |
![]() |
해당 작품을 통해[1] SBS 일일 드라마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등장 인물
편집김춘섭 집안
편집- 홍성민 : 김춘섭 역
- 대준이와 영준이를 비롯한 4남매의 아버지. 용띠.
- 서승현 : 서순채 역
- 대준이와 영준이를 비롯한 4남매의 어머니. 쥐띠.
- 정한용 : 김대준 역 (중도하차)
- 김춘섭과 서순채의 장남. 원숭이띠.
- 김혜리 : 홍지숙 역 (중도하차)
- 김춘섭과 서순채의 장자부. 소띠.
- 손창준 : 김수철 역 (중도하차)
- 김춘섭과 서순채의 장손. 개띠.
- 김병세 : 김영준 역
- 김춘섭과 서순채의 차남. 호랑이띠.
- 김춘섭과 서순채의 차자부. 돼지띠. 1988년 캐나다 오타와 교포 김씨(김유진)와 첫 결혼 6년째에 이혼한 전력이 있으며, 딸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입국.
- 이은주 : 김보애 역
- 1988년 어머니가 친아버지와 이혼하면서 6살 때부터 엄마 채선과 함께 7년째 대한민국으로 입국한 13세 초등학교 6학년.
- 김남주 : 김재경 역
- 김춘섭과 서순채의 막내딸. 호랑이띠. 둘째 오빠 김영준과 띠동갑, 1995년 현재 서부 간호전문대학 간호행정학과 3학년 졸업반 재학생.
- 오영갑 : 오경환 역
- 애숙의 전남편 애숙과 영준을 괴롭히는 양아치
이대식 집안
편집- 신귀식 : 이대식 역
- 김이경의 시아버지. 양띠.
- 정혜선 : 조정선 역
- 김이경의 시어머니. 소띠.
- 강석우 : 이철규 역
- 김춘섭과 서순채의 맏사위. 쥐띠. 장모 서순채와는 띠동갑.
- 유하영 : 김이경 역
- 김춘섭과 서순채의 맏딸. 개띠. 친정 조카 김수철과는 띠동갑.
캐나다 오타와에 사는 채선의 전 남편
편집- 명계남 : 김유진 역 (목소리 출연)
- 캐나다 오타와의 한인 교포 출신 오타와 사립 임업 수목원 사업가. 말띠. 1988년 채선과 결혼 여섯 해만에 이혼, 199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출신 한인 여자 교포와 재혼.
결방 사유
편집- 1995년 9월 8일 : 추석 특집 개그 드라마 《두 포졸전》 편성으로 인해 결방[2]
- 1995년 9월 26일 : SBS 스포츠 《1995 프로 야구 - 롯데 자이언츠 vs 해태 타이거즈》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해 결방[3]
- 1995년 10월 4일 : SBS 스포츠 《1995 프로 야구 플레이오프 2차전 - 롯데 자이언츠 vs LG 트윈스》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해 결방
- 1995년 10월 9일 : SBS 스포츠 《1995 프로 야구 플레이오프 5차전 - 롯데 자이언츠 vs LG 트윈스》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해 결방
- 1995년 10월 17일 : SBS 스포츠 《1995 프로 야구 한국 시리즈 3차전 - OB 베어스 vs 롯데 자이언츠》 중계 방송 편성으로 인해 결방
- 1995년 11월 14일 : 창사 특집 SBS 8 뉴스 편성으로 인해 결방
- 1996년 1월 1일 : 특선 영화 《유치원에 간 사나이》 편성으로 인해 결방[4]
- 1996년 1월 2일 : 개그 드라마 《친정아버지》 편성으로 인해 결방[5]
참고 사항
편집- 허숙 작가는 해당 드라마에 앞서 당초 KBS 2TV 주말 드라마 《남자는 외로워》 후속 KBS 1TV 일일 드라마 《바람은 불어도》 집필자로 낙점됐으나 편성이 무산되는 수모를 겪은 뒤[6] SBS로 옮겼다. 해당 드라마 이후 SBS에서만 활동해 왔으며 1993년 KBS 2TV 일일 드라마 《사랑은 못말려》 이후 두 번째로 일일 드라마를 집필했다.
- 허숙 작가는 해당 드라마에 앞서 현대방송(현재 OCN Movies) 일일 드라마 《날개》 집필자로[7] 낙점됐으나 드라마 편성이 취소됐다.
- 당초 《사랑해서 미안해》라는 제목이 거론됐으나 외도한 남자가 여자에게 하는 말 같다는 지적이 있자 평범한 제목인 《사랑의 찬가》로 바뀌었다.[8]
- 미스코리아 출신 유하영(1992년), 김혜리(1988년)가 올케 - 시누이 관계로 출연했다.[9]
- 김대준 역의 정한용은 1996년 국회의원 선거 출마 때문에 1996년 1월 9일을 마지막으로 하차했는데[10] 드라마의 시작 고지 방송과 시작 타이틀 백에서 방송 출연이 금지된 정한용의 모습을 내보내어 1996년 1월 17일 방송위원회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11]
- 미혼의 엘리트인 둘째 아들이 이혼 경력이 있는 연상의 여인과 결혼을 고집한다는 내용이 드라마 속 커플들의 연령 구조의 고정 틀을 바꾸었다는 비평이 있었다.[12]
각주
편집- ↑ 김갑식 (1995년 7월 4일). “쇼 - 드라마 강화 오락에 밀린 교양”. 동아일보.
- ↑ “추석 특집 개그 드라마 「두 포졸전」<SBS 오후 8시 55분>”. 매일경제. 1995년 9월 8일.
- ↑ “해태 對(대) 롯데 마지막 경기 「95 프로 야구 해태 대 롯데」 〈SBS 오후 5시 55분〉”. 동아일보. 1995년 9월 26일.
- ↑ “「유치원에 간 사나이」 〈SBS 오후 8시 50분>”. 동아일보. 1996년 1월 1일.
- ↑ “친정아버지 (SBS·오후 8시 50분)”. 경향신문. 1996년 1월 1일.
- ↑ 이희용 (1995년 7월 11일). “<방송가> "유명 작품 본 딴 TV드라마 제목 많다"”. 연합뉴스.
- ↑ “현대방송 일일극 「날개」자체제작 방영키로”. 동아일보. 1995년 4월 17일.
- ↑ 서광원 (1995년 9월 19일). “드라마 제목 사연도 갖가지”. 경향신문.
- ↑ 박신연 (1995년 6월 18일). “"시누이·올케로 연기 대결 해요" 미스코리아 출신 탤런트 김혜리·유하영”. 경향신문.
- ↑ 신연수 (1996년 1월 5일). “「전원일기」김 회장, 「사랑의 찬가」대준 갑자기 웬 외유?”. 동아일보.
- ↑ “출마 연예인 드라마 타이틀 방영 주의 조치”. 매일경제. 1996년 1월 20일.
- ↑ 정은영 (1996년 3월 25일). “연상의 여인도...아버지 뻘 남자도 "OK" 드라마 속 결혼 「연령 파괴」”. 동아일보.
외부 링크
편집SBS 일일 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유심초
(1991년 12월 16일 ~ 1992년 3월 20일) |
사랑의 찬가
(1995년 7월 10일 ~ 1996년 2월 2일) |
자전거를 타는 여자
(1996년 2월 5일 ~ 1996년 8월 30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