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초 (드라마)
《유심초》(有心草)는 SBS에서 1991년 12월 16일부터 1992년 5월 14일까지 방영된 드라마이다.
![]() 有心草 | |
장르 | 사극 드라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SBS (구 서울방송) |
방송 기간 | 1991년 12월 16일 ~ 1992년 5월 14일 |
방송 시간 | 월 ~ 금 밤 8시 30분 수, 목 밤 9시 55분 |
방송 분량 | 25분(일일드라마), 55분(수목드라마) |
방송 횟수 | 84부작 |
연출 | 김재순 |
조연출 | 김양 |
각본 | 신봉승 |
출연자 | 이주나, 변소정, 박지영 외 |
음성 | 한국어 |
HD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트리비아편집
1991년 12월 9일 SBS TV가 개국하면서 방영을 시작한 드라마로, 첫 회인 1991년 12월 16일부터 1992년 3월 20일까지는 25분 분량의 일일드라마로 방영되었으나, 1992년 3월 25일부터 1992년 5월 14일까지는 1시간으로 늘려 수목 드라마로 방영되었다.[1]
기획 의도편집
조선 시대의 신분이 다른 세 여인의 삶을 통해 선과 악의 의미를 재조명한 작품[2]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편집
주변 인물편집
화영 관련 인물편집
윤보배 관련 인물편집
정순옹주 관련 인물편집
그 이외 인물편집
결방편집
경쟁 프로그램편집
일일극
- 《옛날의 금잔디》(KBS1) : 1991년 12월 16일 ~ 1992년 3월 20일
수목드라마
참고 사항편집
- 박지영과 변소정과 함께 1989년 말부터 MBC와 2년간 전속 출연 계약을 맺었지만 <유심초>에 출연하게 되자, MBC는 두 배우에게 1500만~2000만 원 상당의 손해배상을 SBS에게는 출연 정지 가처분 신청을 했다.[4] 변소정은 이때문에 출연 중이었던 MBC 주말극 <산너머 저쪽>에서 중도하차했다.[5]
- 백일섭은 영화제작에 몰두하기 위해 한동안 브라운관에서 사라졌다가 해당 작품으로 안방극장 복귀를 했다.[6]
- 방송이 뜸해진 드라마 주제가를 도입해 조용필의 노래로 선보여 복고적 분위기를 풍긴 동시에[7] 새 편성 전략의 하나로 내세운 "TV 일일사극의 부활"로 화제가 됐지만 시청자들의 TV시청패턴과 기호에도 맞지 않는 시대착오적인 혹평을 사[8] 20% 미만의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였다.[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SBS-TV 23일 첫 프로개편”. 동아일보. 1992년 3월 6일. 2015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박성수 (1991년 8월 2일). “SBS-TV 드라마 준비"착착"”. 경향신문. 2015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연휴 TV 다큐멘터리·드라마”. 한겨레신문. 1991년 12월 31일. 2017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박성수 (1991년 9월 10일). “MBC두 탤런트에 손배소송”. 경향신문.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 성일권 (1991년 9월 13일). “잇단 탤런트 도중하차로"파문"”. 경향신문.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 ↑ 양영채 (1993년 3월 14일). “"25년만의 인기회복 신나요"”. 동아일보. 2016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진성호 (1991년 12월 6일). “TV「3局(국)시대」 <中(중)> 편성 차별화…새 이미지 총력”. 조선일보. 2022년 6월 20일에 확인함.
- ↑ 김현덕 (1992년 1월 11일). “SBS TV 한달 중간평가...드라마 약세속 오락물 눈길”. 국민일보. 2022년 6월 20일에 확인함.
- ↑ “스케치 드라마「삼국기」 시청자 만족도 1位(위)”. 동아일보. 1992년 6월 11일. 2015년 9월 5일에 확인함.
SBS 일일드라마 | ||
---|---|---|
이전 작품 | 작품명 | 다음 작품 |
신설
|
유심초
(1991년 12월 16일 ~ 1992년 3월 20일) |
사랑의 찬가
(1995년 7월 10일 ~ 1996년 2월 2일) |
SBS 수목드라마 (10시 드라마) | ||
신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