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 history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안녕하세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귀하께서 기여하신 성평화 문서가 삭제 토론에 회부되었습니다. 토론은 위키백과:삭제 토론/성평화에서 진행될 예정이니 토론에 꼭 참여해 주시기 바랍니다.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해당 문서를 좀 더 나은 방향으로 편집할 수도 있으나, 삭제 토론 틀을 토론 종료 전에 제거하지 말아주세요. 또한 토론에 참여할 때에는 기본적 예의를 지켜 주세요.

-- 환영합니다 (토론) 2018년 10월 5일 (금) 10:31 (KST)답변

성평화

편집

성평등의 한계를 토대로 각자의 차이에 걸맞게 평화롭게 의무를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성평등, 그에 따른 한계

편집

우선 성평등의 기본적인 개념을 짧게 말하자면, '남성과 여성이 모든 범위에서 같다는 믿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까, 같은 인간으로서 남성과 여성의 동질성을 토대로 서로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성평등은 남성과 여성이 기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절대로 인지시킬 수가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나타난다. 성평등에 의거해서 목표에 가깝게 이룩했다는 국가 중에 스웨덴을 비롯한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를 보면 그 정도는 쉽사리 알 수 있는 내용이다. 남성과 여성이 같다는 전제하에 많은 이슈들을 통과시켜서 활용했겠지만 그곳의 남성과 여성은 각자로 구분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간호사를 여성이 더 많이 하고, CEO나 3D업종에 남성이 더 많이 종사하는 등의 차이가 돋보이고 있다.
게다가, 페미니즘이 성평등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성갈등을 유발하고 있는 점에서 그 한계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까지 두드러지는 차이를 무시한 채, 성평등은 여러 문화권과 국가에서 정식 이념화되고 있다.

대안으로서의 성평화

편집

남성학과 이갈리타리아니즘에서 연구된 성을 토대로, 남성과 여성의 근본적인 차이를 확실히 하는 것이 성평화의 첫 발걸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