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cschmidt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구글링

편집

위키백과에 기여해주셔서 고맙습니다. 구글링 문서에 기여를 해주셨는데, 이 기여는 백과사전에는 조금 부적절하지 않나 생각되네요. 그래서 되돌렸습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6월 15일 (화) 16:09 (KST)답변

도트피치

편집

도트피치 문서를 만들어 주셔서 고맙습니다만, 저작권 침해 부분이 있어서 삭제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곳에서 글을 가져오는 것은 저작권 침해에 해당된답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6월 15일 (화) 16:33 (KST)답변

죄송합니다만

편집

제가 무슨 문서를 삭제해서 말을 남기신 거죠? 예전에 묵었다고 생각한 문서 날잡고 많이 삭제 신청 한 날이 있어서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전 일반 사용자입니다. 삭제할 권리는 저한테 없어요.--Saehayae (토론) 2010년 6월 19일 (토) 20:31 (KST)답변

하이재커

편집

저명성의 부족으로 삭제신청되어 삭제되었는데요, 뉴스나 서적 등 신뢰있는 출처에서 쉬이 검색이 안되거나 거의 미비하였습니다. 원문은 혹시 필요하실지도 몰라서 아래에 첨부합니다 hun99 (토론) 2010년 6월 20일 (일) 02:53 (KST)답변

하이재커(Hijacker)

악성프로그램중의 하나인 하이재커는 컴퓨터 사용자들의 시작페이지를 특정 사이트로 고정시키고 수 많은 팝업을 띄워 사용자들에게 방해를 하는 프로그램이다. Coolwebsearch, Coolwwwsearch, Youfindall, White-pages.ws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로 active x를 사용하는 익스플로러 사용자들에게 주로 감염이 된다. 특정 사이트 방문이나 특정 프로그램 실행시 의도치 않은 팝업이 뜨거나 다른 사이트로 이동이 된다. 쉽게 치료가 되지 않으며 전염성을 가지는게 특징이다. 트레이바나 히든프로세스로 몰래 작동을 하고 있으며 안티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이나 백신으로도 검색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레지스트리 정리나 다른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으로 치료가 되기도 하지만 궁극적인 경우에는 포맷을 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잦은 익스플로러 오류나 의도치 않은 팝업창이 지속적으로 뜰 경우 의심을 해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