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zerkatz의 베를린 공방전 작업장

편집

사용자/사용자토론 네임스페이스로 옮겨주세요. --; 실수 맞죠? --Klutzy 2006년 9월 2일 (일) 21:08 (KST)답변

잘 아시네요 ^-^;; 이런 쪽에는 영 잼병이라 계속 실수를 하는군요.장갑냐옹이 2006년 9월 2일 (일) 21:14 (KST)답변

사용자:Panzerkatz/베를린 공방전 작업장에 덧붙이시면 되겠네요. 추가로 사용자 페이지에 그 쪽으로 가는 링크가 있으면 좋겠네요. --peremen 2006년 9월 2일 (일) 21:28 (KST)답변

사용자:Panzerkatz/베를린 공방전 작업장으로 옮겼습니다. --Klutzy 2006년 9월 2일 (일) 21:29 (KST)답변

감사합니다. 다음부터는 더 신경쓰겠습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9월 2일 (일) 22:31 (KST)답변

SS특별임무부대

편집

SS특별임무부대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집에 있는 책에 일부 언급된 것이 있고, 영어판과 독어판 위키의 내용을 첨부해서 만들고 있습니다. 이번 주안에 마무리해서 등록할 것입니다. 혹시나 작업하고 계시다면, 제가 올린 것에 나중에 첨부하는 식으로 했으면 합니다. 글쓰다보니 알게 된 것인데, 이 부대는 전쟁 전부터 그때그때 임시편성 부대였더군요. 말 그대로 Task Force인데, 전쟁 전만 해도 경찰 임무를 위해 오스트리아 병합과 체코 강탈시에 편성되었다가 폴란드 전역부터 학살부대가 되었더군요. --WaffenSS 2006년 9월 5일 (화) 06:30 (KST)답변

아인자츠그루펜을 말씀하시는 거군요. 일단 관련 내용도 잘 모르고 해놓은 자료도 없습니다. 그런데 이름이 어째서 SS특수임무부대가 되는 겁니까. 이러면 정말 싫은데요. 하필이면 SS-VT와 번역 이름이 비슷하군요. 둘 다 나치 산하 조직이긴 하지만 아인자츠그루펜은 인간 망종의 한계를 뛰어넘었더군요. SS해골단 처리가라입니다. 이름 좀 어떻게 안 되겠습니까?장갑냐옹이 2006년 9월 5일 (수) 16:42 (KST)답변

영어판에서는 Special Group 또는 Task Force 정도라고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일본식으로 특임대, 등으로 하는 것도 눈가리고 아웅이겠고요. 아직 완성한 단계는 아니니까, 좋은(???) 이름 생각 좀 해봅시다. 하긴 독어사전(민중서림 2000년판)에서는 Einsatz를 1) 넣음, 삽입, 삽입물, 2) 상금, 도박 판돈(!) 3) 수놓음(옷에다), 4)한 벌, 셋트, 5) 양어지(뭔 소리인지 모르겠음), 6) 연주 시작, 7) 경주, 진력 8) (군대/노동력 등) 배치, 투이브, 출동, 출격 등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WaffenSS 2006년 9월 5일 (수) 18:01 (KST)답변

특별학살부대 및 이동학살부대라는 사용례

편집

일반적으로 특별학살부대(Einsatzgruppen)라 불린 특수한 친위대 조직이 대 폴란드 전쟁 당시부터 활동했으며, 대 소련전 개시와 함께 육군의 진격이 이루어진 후방 지역에서 다수의 소련인 그리고 유태인을 무자비하게 학살한 일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다행히 남겨진 문서에서 그들의 활동을 다수 재현(再現)할 수 있다는 것으로, 관련 설을 부정하던 사람들도 관련 내용 전부를 부정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니시오카(西岡)씨는 여기에 어떻게 대처할까요.

"특히 소련 전선에서는 다수의 유태인계 시민이 파르티잔 등와 함께 혼동되어 총살당한 일이 아인자츠그루펜이라 불린 특별 부대에 의해 실제로 발생했습니다. (중략) 그러나, 모든 유태인을 단지 유태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독일이 "절멸"시킬려고 했다는 설은 근거가 전혀 없습니다." (진실, 77페이지)

이동학살부대가 작성한 문서는 다수 존재하며, 니시오카씨의 주장에 정면으로 대치는 것들만을 선택해 소개하겠습니다. 최초는 루돌프 랑에의 보고(42년 1월)입니다.

"아인자츠 코만도Ⅱ가 당초부터 염두에 두고 있던 목적은 모든 유태인의 처형을 통한 유태인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이었다(eine radikale Loesung des Judenproblems durch die Exekution aller Juden). [1]

부대 목적이 이렇게 밝혀진 보고가 있었던 겁니다. 그 활동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별학살부대A(주로 발트(Balt), 白루테니아에서 활동)의 41년 10월 16일부터 42년 1월 31일까지의 "전과"입니다(지역 별 숫자도 있습니다만, 총계만을 인용하겠습니다).

  • 유태인 218,050명
  • 포그롬(Pogrom)인 5,500명
  • 리투아니아 국경 순찰 5,502명 (주: 무엇을 의미하는지 불명)
  • 공산당원 8,359명
  • 파르티잔 1,044명
  • 정신병 환자 1,644명
  • 그 외 311명
  • 총계 240,410명[2]

이중 포그롬인은 민중의 반유태인 감정을 자극했다는 이유로 학살되었기 때문에 그 희생자도 유태인 수에 포함되며, 학살된 사람 대부분이라 할 수 있는 94%가 유태인이었습니다. 주의하셔야 할 것은 "유태인"이라는 항목이 "파르티잔" 및 "공산당원"이라는 항목과는 완전히 별개로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파르티잔 등과 혼동"될 일이 전혀 없는 없죠. 명확히 유태인은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대량 학살되었습니다. 이런 자료들로 "뒷받침"되는 사실을 니시오카씨는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겁니다.

여기서 이용한 크라우스닉과 빌헬름의 책에 따르면 그들이 학살한 총수는 220만명에 달합니다.

장갑냐옹이 2006년 9월 5일 (수) 20:05 (KST)답변

일본쪽 자료인가요? 자료 고맙습니다. 작업중인 내용에 추가해넣겠습니다. 그런데, 학살부대라고 하기엔 또 너무 직설적인.. 게다가 전쟁 전 이 부대의 성격과도 좀 매칭하기 힘들고.. 고민좀 더 해봐야겠군요. --WaffenSS 2006년 9월 6일 (수) 03:36 (KST)답변

아인자츠그루펜으로 검색하니 바로 나오더군요. 자료 출처도 명확하고, 자료가 나름대로 저명한 서적이라서 충분히 믿을만 하다고 생각돼서 퍼왔습니다. 영미 자료에서도 이동학살부대라고 한 게 있더군요. 한 영국인 교수가 쓴 아인자츠그루펜의 정의는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오늘 교보 문고 들렸다가 발견한 서적인데, 책 값이 무려 5만원이 넘어서 그만두었습니다. 이거보다 급한 것들이 많으니까요). 이동해 다니며 후방에서 학살 임무를 당담한 부대. 그래서 이동학살부대라고 했더군요.장갑냐옹이 2006년 9월 6일 (목) 16:06 (KST)답변

전쟁 중 역할에 비중을 두어 부대 이름을 나름대로들 번역했군요. 흠. --WaffenSS 2006년 9월 6일 (목) 16:28 (KST)답변

그림:12SSHJPOWAbused.jpg

편집

별도의 규정이 없다면 사진은 "촬영한 지" 50년이 아니라 "사진 작가가 죽은 후" 50년이 기준입니다. 위 사진은 캐나다 법 규정(1949년 이전 촬영)이라 PD라고 영어 위키백과에 나와있네요. 이왕이면 대한민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도 PD인지도 확인바랍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3일 (화) 01:01 (KST)답변

일단 기본적으로 그렇게 여기고는 있었지만 일부 사진들, 특히 공식적으로 정부에서 필요로 해서 찍은 사진들이 개인에게 소유권이 있다고 해서 좀 애매해 하고 있었습니다. 정부의 명령과 요청에 따라 찍혀진 공식적인 사진들은 정부에 저작권이 있으니까요. 이번 일을 계기로 좀 더 사진 저작권에 대해서 신경을 쓰겠습니다. 이전부터도 신경을 쓰긴 했지만 위키 백과는 더욱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될 거 같습니다. 여러 모로 어렵군요. 그래도 하는 거 만큼 보람이 있어서 기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10월 8일 (월) 18:09 (KST)답변

혈압오르는군요.

편집

역사학과에서 글쓰기 방법을 배우고 15년째 글이란 걸 써오고 있지만, 저런 자는 처음 봅니다. --WaffenSS 2006년 10월 18일 (목) 16:21 (KST)답변

파이퍼의 사진

편집

en:Image:PeiperSS.jpg에서 download highres를 누르면 고해상도 그림을 얻을 수 있습니다. "180px-PeiperSS.jpg"라는 이름을 보니 위키백과 글에서 바로 download하셨군요. :( 그리고 그림의 저작권이 불명확합니다. 나치 독일 정부가 저작권이 있는게 확실한가요? 그리고 (따로 저작권에 대한 언급이 없다면) 촬영한 지 50년이 아니라, 그걸 촬영한 사진작가가 죽은 후 50년이 지나야 저작권이 소멸됩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19일 (금) 16:41 (KST)답변

그리고 저작권이 풀린 게 확실하다면 한국어 위키백과가 아닌 위키미디어 공용에 올려주세요.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도 함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19일 (금) 16:42 (KST)답변

일단 믿을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건 알고 있지만 굳이 고해상도 사진을 올린 필요성까지는 느끼지 못했습니다. 왜냐하면 저도 미심쩍은 부분이 있어서 말입니다. 공식적인 증명 사진 같은 경우는 훈장과 깔끔한 정복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이렇게 외부에서 찍은 사진은 확신할 수가 없습니다. 어느 책자에서 펐는지도 써있지 않으니 더더욱 알 수 없죠. 그래서 일단 믿고 올리되, 저해상도로 한다는 매우 애매한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공용으로 쓰기 어려울 거 같습니다. 일단 지켜보셨으면 합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10월 19일 (금) 16:58 (KST)답변

미심쩍을수록 (아예 안 올리거나) 원본을 올리는게 더 좋습니다. 원본이 같은지를 검사하는 건 아주 쉽지만, 해상도가 바뀌거나 그밖에 화상 처리된 그림은 발견이 힘듭니다. -- ChongDae 2006년 10월 20일 (금) 10:09 (KST)답변

무슨 말씀인지 알았습니다. 제가 좀 더 사진에 관해서 조사해보겠습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문제의 소지가 있으니 어제 올린 저해상도 파이퍼 사진은 지우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아니 지우는 게 좋겠습니다. 출처와 저작권 유효 기간을 이제라도 조사해 보겠습니다. 늦었다는 생각도 들지만 늦었을 때라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죠.장갑냐옹이 2006년 10월 20일 (금) 12:44 (KST)답변

이거야 원..

편집

관심분야가 너무 넓다보니. 뻘건색 링크를 보면 한숨만 나오는군요. 게티스버그 전역을 작업하다보니 관련 문서들엔 온통 붉은 밑줄 뿐이고, 나치도 마찬가지고, 독일은 더 말할 것도 없고, 서양사쪽도 마찬가지고, 한국전쟁 쪽도 그렇고, 무기도 마찬가지고.. 먹고 살아야 하겠고... --WaffenSS 2006년 10월 19일 (금) 23:26 (KST)답변

쉬엄쉬엄 하시지요. 아시다시피 빈 곳이 많기는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먼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너무 열심히 하셔서 생활에까지 지장 받으시면 안 돼죠. 저 같은 경우는 보시면 아시겠지만 요즘은 거의 보수만 하고 있습니다. 기본 지식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무장친위대 관련 서적만 3권 사서 열심히 보고 있죠. 이번 요아힘 파이퍼 건도 그렇고 영어 위키백과를 99% 신뢰할 수 없어서 고민입니다. 완벽한 정보란 존재하지 않지만 이번 경우는 좀 난감합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10월 19일 (금) 23:34 (KST)답변

친위대 계급

편집

사용자:WaffenSS/친위대 계급 및 기장에서 작업을 좀 진행해야 할 것 같습니다. 친위대 계급이 3번에 걸쳐 의미나 단어등이 바뀌어서 정확하게 우리 말로 번역하기 곤란한 경우도 있고, (특히 사병 계급은...) 도표도, 독어 원문, 영어 번역, 직역/통상 사용 단어 등 정리할 것들이 많습니다. --WaffenSS 2006년 10월 21일 (토) 12:08 (KST)답변

위키백과:위키프로젝트 제2차세계대전/친위대 계급 및 기장 로 문서 옮겼습니다. --WaffenSS 2006년 10월 21일 (일) 20:49 (KST)답변
1932년 ~ 34년에서 Haupttruppführer 같은 것은 SA의 계급이로군요. 골치아픕니다. 대충 작업해놨는데, 일본어 등을 참고해서 한 번 작업해주시기바랍니다. 저 많은 계급장들을 어떻게 다 외우고 구별했는지, 신기하기만 하군요. 육해공군에 돌격대, 경찰, 히틀러유겐트, 제국노동봉사대, 당 제복, 공군고사포보조부대, 소방대, ... 거기에 외국인 부대들은 또 나름대로 기장과 계급장을 만들어 썼다고 하니.. --WaffenSS 2006년 10월 23일 (월) 03:52 (KST)답변

플런더 작전

편집

누가 플런더 작전을 번역했는데, 손봐야 할 게 많습니다. 제가 일부 손은 보긴 했는데, 장갑냐옹이님도 한 번 살펴봐주세요. 요즘 게티스버그 전역 번역하느라 미처 손이 잘 안가네요. 얼른 마무리해야 하는데 쩝. --WaffenSS 2006년 11월 4일 (일) 18:27 (KST)답변

곧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SS대장 항목의 계급 명칭을 모두 정리했습니다. 역시 SS대장으로 밀고 나가야겠죠. 그럼, 플란더 작전으로 넘어가겠습니다. 그리고 SS중장을 바로 작업 들어갑니다.장갑냐옹이 2006년 11월 5일 (월) 16:16 (KST)답변

히믈러.

편집

하인리히 히믈러 문서의 번역을 좀 도와주셨으면 합니다. 꽤 번역도 했고, 영어판에 없는 내용을 추가하기도 했는데, 여전히 빈 곳이 많군요. 지난 주 수요일부터 엠파스로 출근하게 되어 이전만큼은 시간을 할애하기 곤란한 상황이 되버렸습니다. 게다가 {{게티즈버그전역}} 보시면 아시겠지만,워낙 뻘건 링크들이 많아서 이쪽에도 당분간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라서요. --WaffenSS 2006년 11월 6일 (월) 03:35 (KST)답변

하인리히 히믈러 씨는 별로 하고 싶지 않았는데, 부탁하시니 어쩔 수 없군요. 같은 인간 망종이라도 테오도어 아이케 같은 무장친위대 장군을 하고 싶은 거죠. 일반친위대는 정이 안 갑니다. 그나마 SS경찰이 좀 구미를 당기게 하죠. 그럼, 슬슬 오늘을 위해 취침에 들어가야겠습니다. 간만에 불타올랐습니다. ㅇㅅㅇ;장갑냐옹이 2006년 11월 6일 (월) 04:33 (KST)답변

미쓰비시 F-2 작업장

편집

어째서 일본어판에서 번역하면 중립적 위반이라는 걸까요.

편집

궁금합니다 :) -- THEOTERYI     2007년 2월 24일 (일) 15:03 (KST)

문구가 오해를 샀군요. 일본어판이어서가 아니라 일본어판 F-2 항목 자체가 객관적 시각 및 중립성 면에서 약간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내용이나 어조를 수정했습니다. 일본어 위키백과에 올라온 내용은 자국 전투기에 대한 자부심과 반미 감정이 딱 봐도 드러나는 글이라 제 3 자가 봤을 때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을 수정하는 데 중점을 뒀고, 그 때문에 약간 오해를 살 만한 언급을 하고 말았습니다.장갑냐옹이 2007년 2월 24일 (일) 15:09 (KST)

삭제 신청 알림 1

편집

  Panzerkatz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파일:TheEscutcheonOF8SSCAVDIV.jpg 문서는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거나 위키백과의 삭제 정책의 삭제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어 삭제 신청되었습니다. 파일:TheEscutcheonOF8SSCAVDIV.jpg 문서가 삭제 신청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c:File:8th SS Division Logo.svg 공용에 대체할 수 있는 이미지가 있음.

해당 문서의 삭제 신청 이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해당 문서 상단에 {{삭제 신청 이의}}를 추가하시고, 해당 문서의 변경 내력을 확인하여 어떤 분이 삭제를 신청하였는지 확인하신 후, 그 사용자와 토론을 시도해 주세요. 토론이 잘 해결되지 않는다면, 위키백과의 여러 편집자들과 함께 삭제에 대한 토론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만약 위키백과 편집에 대해 연습할 공간이 필요하시면, 연습장을 우선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삭제된 문서의 내용이 필요하시면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을 통해 자신의 하위 문서로의 내용 복구를 요청하시거나, 이메일을 통해 삭제 이전 문서 내용을 보내줄 것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얼마든지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메이 `토론 2016년 3월 23일 (수) 21:26 (KST)

삭제 신청 알림 2

편집

  Panzerkatz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파일:TheEscutcheonOF17SSPZGDIV.jpg 문서는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거나 위키백과의 삭제 정책의 삭제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되어 삭제 신청되었습니다. 파일:TheEscutcheonOF17SSPZGDIV.jpg 문서가 삭제 신청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c:File:17th_SS_Division_Logo.svg 공용에 대체할 수 있는 이미지가 있음.

해당 문서의 삭제 신청 이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해당 문서 상단에 {{삭제 신청 이의}}를 추가하시고, 해당 문서의 변경 내력을 확인하여 어떤 분이 삭제를 신청하였는지 확인하신 후, 그 사용자와 토론을 시도해 주세요. 토론이 잘 해결되지 않는다면, 위키백과의 여러 편집자들과 함께 삭제에 대한 토론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만약 위키백과 편집에 대해 연습할 공간이 필요하시면, 연습장을 우선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삭제된 문서의 내용이 필요하시면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을 통해 자신의 하위 문서로의 내용 복구를 요청하시거나, 이메일을 통해 삭제 이전 문서 내용을 보내줄 것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얼마든지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메이 `토론 2016년 3월 23일 (수) 21:26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