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leDragon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Dalgial (토론) 2010년 3월 31일 (수) 16:08 (KST)답변

벚나무속 문서 중 왕벚나무 원산지 문제 편집

‘제주도 자생, 한국, 일본.(원산)’ 이 중 어떤 것에 출처를 요구하셨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만, 왕벚나무 문서에 제주도 자생에 대한 설명이 나오고, 왕벚나무 일본어판을 보면 여러 설이 다양하게 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요구 틀은 뗐습니다. 즐겁게 위백 생활 하십시오.--Dalgial (토론) 2010년 3월 31일 (수) 16:14 (KST)답변

그들은, 'Prunus x yedoensis'를 'Prunus yedoensis'와 혼동 하는 것 같습니다.(彼らは'Prunus x yedoensis'と'Prunus yedoensis'を混同しているように見える。)(They seem to confuse 'Prunus x yedoensis' with 'Prunus yedoensis'.)[1]--PurpleDragon (토론) 2010년 3월 31일 (수) 17:46 (KST)답변
혹시 PurpleDragon 씨는 식물분류학 전공자이십니까? 왕벚나무와 재배왕벚나무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있기는 합니다만(〈RAPD 분석에 의한 한라산 자생 벚나무속 식물 및 재배 왕벚나무의 계통유전학적 유연관계〉, 식물분류학회지 27집 | 1997년), IPNI(국제식물명 목록)을 보아도 'Prunus x yedoensis'는 등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어떤 사연으로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서 왕벚나무를 산벚나무와 올벚나무의 잡종으로 기재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PurpleDragon 씨가 논거로 댄 논문이 실려 있는 USDA에도 'Prunus x yedoensis'는 없습니다. 저는 전공자가 아니라 확언을 드릴 수는 없지만, 앞에 얘기한 논문 저자들도 자신들의 연구에 대해 ‘현 단계에서는 성급하게 어떤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고 결론을 짓더군요. 즉, 'Prunus x yedoensis'와 'Prunus yedoensis' 혼동 문제는 결론 난 바 없다는 것입니다. IPNI와 USDA, 한국 국가표준식물목록 모두 'Prunus yedoensis'만 등재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이 혼동 문제를 각각 국제적이고 미국적이며 한국적으로 권위 있는 그곳에 제기해야 하는 것 아닐까요? PurpleDragon 씨의 의문은 왕벚나무 문서에 부분적으로 지적되면 충분할 것입니다. 씨의 의문 때문에 기존 통용되는 의논이 의심받을 수는 있으나, 출처를 대라는 틀을 유지하려는 것은 납득할 수 없습니다. 이미 출처가 충분하기 때문입니다.--Dalgial (토론) 2010년 4월 1일 (목) 14:44 (KST)답변
우리에게는, 출전을 나타내는 것이 필요합니다.(我々には、出典を示すことが必要です。)--PurpleDragon (토론) 2010년 4월 3일 (토) 12:0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