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ccw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rori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11:19 (KST)답변

부적절한 편집 되돌림 알림

편집

  안녕하세요 Tkccw님!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지만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려 놓았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시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rori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11:27 (KST)답변

대구시 문서 망가트리지 마세요

독자연구 주의해주세요.

편집

  반갑습니다 Tkccw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인천광역시 문서에 하신 기여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인천광역시 문서에 하신 기여는 위키백과에 실릴 수 없는, 공개 발표되지 않은 사실, 주장, 이론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듭니다. 사견이나 검증되지 않은 평가 등을 삽입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분명한 출처를 함께 제시하셔야 합니다! 위키백과는 독자연구를 위한 곳이 아닙니다. 독자연구 금지는 위키백과의 지침으로 위키백과 안에서 꼭 지켜주셔야 합니다. Tkccw님이 쓰신 글이 독자연구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려면, 문서 내용에 포함된 정보와 직접 관련된, 믿을 수 있는 출처를 밝히고, 해당 출처의 내용을 충실히 전달해 주셔야 합니다. 해당 기여를 다시 한번 검토하셔서 독자연구라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고쳐주신다면 위키백과의 질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더 궁금한 게 있다면 질문방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세요. 앞으로 더 좋은 기여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rori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11:34 (KST)답변

출처요구

편집

  반갑습니다, Tkccw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다름이 아니오라 인천광역시 문서에 하신 기여에 대해 알려드릴 것이 있습니다. Tkccw님이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에 편집하신 내용에 대해 출처가 요구되었습니다. 위키백과의 내용에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밝히는 것은 글을 읽는 사람이나 편집하는 사람이 확인할 수 있음을 보증하고, 해당 편집이 독자 연구가 아님을 보여 주고, 저작권 침해의 주장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적절한 출처가 제시되지 않으면 해당 내용이 삭제될 수 있으니, 번거로우시더라도 처리를 부탁드립니다. 혹시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길라잡이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더 궁금한 게 있다면 질문방에 질문을 남기거나, 저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세요. 앞으로도 좋은 기여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rori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11:39 (KST)답변

출처란...

편집

출처란 어느 게시판이나 블로그에 임의로 쓰여진 글(특히 이번에 제시하신 근거는 시간적으로 제가 요구한 뒤에 그냥 본인이 작성한 글;;)을 출처로 제시하라는 것이 아니예요... 위키백과:출처 밝히기, 위키백과:독자연구 금지, 위키백과:중립적 시각을 한번만이라도 읽고 편집해주시기 바랄게요 :) 그렇지 않다면 해당 편집은 "트리비아"로 간주하고 되돌릴 수밖에 없어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rori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15:13 (KST)답변

두번째로 지적합니다...

편집

직접 편집해놓은걸 출처로 가져오지 마세요... --Porori (토론 | 메일 | 기여) 2010년 7월 17일 (토) 21:11 (KST)답변

안내

편집

님은 계속해서 다른 위키백과의 내용을 출처로 다시는데 그렇다면, 이탈리아어 위키백과에서는 아직 '대구광역시'를 '대구'로 '충청도'는 일본식 한자(얼마 전 정정.)로 사용하는데, 그럼 그것이 옳다는 겁니까? 다른판 위키백과는 출처가 될 수 없으며, 자신이 편집한 내역은 더더욱 출처가 될 수 없습니다. 독자 연구이기 때문이죠.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17일 (토) 22:13 (KST)답변

사실이라는 증거를 그것이 아니라, 뉴스,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등에서 찾아주세요.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17일 (토) 22:36 (KST)답변

"3대도시"

편집

[1]

해당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대구광역시가 인구가 3번째로 많다는 것 등의 '통계적 사실'을 언급하고 있지, '3대도시'라는 불명확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다른 언어 위키백과는 그 다른 언어 문서의 신빙성을 확인할 수 없다면 출처로 사용할 수 없으며, 신빙성이 확인된다면 그 확인한 방법을 출처로 다는 것이 적절합니다. 스스로도 알고 계시겠지만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 문장 하나를 추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직접 하지 않으셨다고 해도 여전히 마찬가지입니다. --klutzy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22:38 (KST)답변

그러니까 그 통계의 출처를 밝혀 달라는 겁니다.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17일 (토) 22:40 (KST)답변

세번째로 지적합니다.

편집

자기가 올려놓은걸 근거로 올리는 것은 명백한 트리비아예요. --Porori (토론 | 메일 | 기여) 2010년 7월 18일 (일) 00:00 (KST)답변

영어판, 일본어판에 하신 잘못된 정보 기여는 모두 되돌렸습니다. 다른 언어판에 잘못된 정보를 쓰지 말아 주세요!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18일 (일) 00:13 (KST)답변

안내

편집

참고로, 위키백과는 언어로 구분하는 것이지 나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닙니다. [2] [3]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18일 (일) 00:23 (KST)답변

영어판 위키백과도 한국어판 위키백과도 모두 전세계 사람들에게 열려있는 각자의 "언어판"이지, "국가판"이 아니예요. 미국에서 대구를 한국 제3의도시로 인정했습니다라는 발언은 잘못된 것으로 판단됩니다만... 비단 위키백과 편집이기 때문이 아니라요;; 영어판 위키백과지 미국 위키백과가 아니거든요~ 영국에서도 쓰고, 캐나다에서도 쓰고, 우리 같은 한국이나 아시아에서도 두루 쓰는 위키백과죠! 그런 근거는 영락없는 트리비아입니다... --Porori (Who | Talk | Mail | Contribs) 2010년 7월 18일 (일) 17:16 (KST)답변
브리테니커 말입니까? 거기서 다른 도시들을 검색해봤지만, 대구 말고는 그런 말이 없더군요. 출처(참고 문헌)도 없고요.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18일 (일) 21:27 (KST)답변
제 글을 읽긴 합니까?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18일 (일) 21:55 (KST)답변

사실...

편집

원론적으로 이야기 드리자면 제 3의 도시, 3대 도시라는 말 자체가 확실한 증거가 있지 않고서야 위키백과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 표현입니다... 위키백과:중립적 시각(NPOV)을 참고해주시길 거듭 부탁합니다.. --Porori (Who | Talk | Mail | Contribs) 2010년 7월 19일 (월) 00:38 (KST)답변

3/4대 도시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인구순 아닌가요? -- Min's (토론) 2010년 7월 20일 (화) 15:36 (KST)답변
인구순이요? 님의 말씀대로라면, 미국의 워싱턴은 제3의 도시 안에 들기는 합니까?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25일 (일) 16:52 (KST)답변

대구광역시

편집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내륙의 광역시이며, 대한민국 3대 도시중 하나이다.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와 영천시를, 서쪽으로는 고령군, 성주군을, 북쪽으로는 군위군, 칠곡군이 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이 접해 있다. 분지 지형으로 인해 한국에서 가장 기온이 높은 편에 속하는 도시[1]이다. 광역시 승격 이래로도 경상북도청의 이전 계획이 장기화되어 현재까지 경상북도의 도청소재지다.

목차 [숨기기] 1 역사 1.1 고려 1.2 조선 1.3 대한제국 1.4 일제침략기 1.5 미군정기 1.6 대한민국 1.7 역대 시장 1.8 주요 인물 2 행정 구역 3 지리 3.1 위치 3.2 지형 3.3 기후 4 교육 5 문화·관광 5.1 시티투어 5.2 공원 6 교통 7 산업 7.1 기업 7.2 산업 단지 8 언론·통신 9 스포츠 10 주거 지구 11 관련 드라마 12 자매 도시 13 같이보기 14 주해 15 주석 16 바깥 고리


역사  [편집]

대구의 지방조직 변천 - 달구벌 5C말~6C초 양주 위화군 달구화현 757년 양주 수창군 대구현 940년 영남도 수성군 대구현 1018년 영남도 경산부 대구현 1394년 경상도 대구현 1419년 경상도 대구군 1466년 경상도 대구도호부 1895년 대구부 대구군 1896년 경상북도 대구군 1910년 경상북도 대구부 1949년 경상북도 대구시 1981년 대구직할시 - 1995년 대구광역시 - 선사시대 달구화(達句火)[주 1], 달구벌(達句伐), 달불(達弗), 달성(達城)으로 성읍이 형성되었다. 청동기시대 부족국가가 형성되었다. 261년(신라 첨해이사금 15년) 달벌성(達伐城)이 축조되었다. (244년 축성 시작) 5세기말~6세기초 달구벌(達句伐, 達句火)이 신라에 병합되어 달구화현(達句火縣, 達弗城)이라 칭하였다. 689년(신라 신문왕 9년) 신라의 수도를 서라벌에서 달구벌로 천도하려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위화군(喟火郡)을 수창군(壽昌郡)으로, 달구화현(達句火縣, 達句伐)이라 칭하던 것을 대구현(大丘縣)으로 개칭하였다. 양주(良州) 관하에 두었다. 927년(신라 경순왕 원년) 후백제 견훤과 고려 왕건 사이의 공산 전투가 현재의 팔공산 일대에서 있었다.

고려  [편집]

940년(고려 태조 23년) 수창군을 수성군(壽城郡)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수성군·장산군·해안현(解顔縣)과 대구현·화원현(花園縣)·팔리현(八里縣)·하빈현(河濱縣)으로 행정 계통이 양분되었다. 대구현 등은 경산부(京山府) 관하에 두었다. 1143년(고려 인종 21년) 대구현이 현령관으로 승격하여 하빈현, 화원현을 영속하였다. 1203년(고려 신종 6년) 무신정권기에 부인사 승려의 반무신란이 있었다. 1232년(고려 고종 19년) 몽고의 침입으로 팔공산 부인사의 대장경을 소실하였다. 1255년(고려 고종 42년) 공산성에서 항몽 투쟁하였다.

조선  [편집]

1394년(조선 태조 3년) 대구현이 수성현·해안현·하빈현을 영속하였다. 1419년(조선 세종 원년) 5월 대구현(大丘縣)·수성현·해안현·하빈현 이상 4개 현을 통합하여 대구군(大丘郡)으로 승격하였다. 1466년(조선 세조 12년) 대구군을 대구도호부(大丘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590년(조선 선조 23년) 대구읍성이 토성으로 축성되었다. 1592년(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중 대구읍성은 파괴되었다. 1601년(조선 선조 34년) 경상도 감영을 대구부로 이전, 설치하였다. 화원현·경산현·하양현을 편입하였다. 1607년(조선 선조 40년) 경산현·하양현은 대구도호부 관할에서 분리되었다. 1684년(조선 숙종 10년) 풍각현의 각북면·각현내면·각초동면·각이동면 이상 4개 면이 대구도호부에 편입되었다. 1658년(조선 효종 9년) 약령시가 경상감영 안의 객사(客舍) 주변에서 처음 열리기 시작하였다. 1736년(조선 영조 12년) 대구읍성이 석성으로 축조되었다. 1750년(조선 영조 26년) 유생 이양채(李亮采)가 '구(丘)'자가 대성 공자의 휘자에 저촉되므로 피해야 한다(피휘)며, 대구(大丘)를 대구(大邱)로 개칭할 것을 상소하였다. 정조·헌종 때는 대구(大丘)와 대구(大邱)로 혼용하다가 철종 이후에는 대구(大邱)만 사용하였다. 1895년(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8도(道)제가 폐지되고 23부제가 실시되어, 대구부 대구군(大邱府 大邱郡)이 되었다.[2] 1896년(건양 원년) 8월 4일 13도제가 실시되어, 경상북도 대구군(慶尙北道 大邱郡)이 되었다.[3]

대한제국  [편집]

1899년(광무 3년) 2월 대구제일교회가 대구 최초 서양식 병원 제중원(동산병원의 전신)이 설립되었다. 1899년(광무 3년) 7월 대구 최초 근대 중등교육기관 달성학교(1916년 대구고등보통학교 계승, 1950년 경북중학교와 경북고등학교로 분리, 1970년 경북중학교 폐교, 현 경운중학교 계승)가 설립되었다. 1905년(광무 9년) 달성공원이 조성되었다. 1906년(광무 10년) 9월 24일 대구군 소속 각북면·각현내면·각초동면·각이동면 이상 4개 면은 청도군으로 이속하였다.[4] 1906년(광무 10년) 10월 대구읍성이 철거되었다. 일제 통감부 이사청이 설치되었다. 1907년(광무 11년) 2월 대구에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중심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하여 전국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1907년(광무 11년) 대구 첫 영화관 금좌(錦座)가 현재 태평로2가에 문을 열어 12년 동안 번창하였다. 1908년(융희 2년) 약령시를 현재 남성로로 이전하였다.

일제침략기  [편집]

1910년(융희 4년) 8월 29일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제로 병합하는 경술국치가 일어났다. 1910년 10월 1일 대구군을 대구부로 개칭하였다.[5] 1911년 11월 14일 일제는 동상면과 서상면을 통합해 대구면을 설치한 후 동명을 일본식으로 전면 개정하였다.[6][7] 경상북도고시 제38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구부 서상면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달성동, 쇄환동, 서내동, 북내동, 동산동, 계산동, 남산동, 남하동, 남중동, 남외동 대구부 대구면 팔운정·수정(壽)·명치정1정목·명치정2정목·시장정·북내정·횡정·시장북통·서내정·남성정·수정(竪)·달성정·본정1정목·본정2정목·서성정1정목·서성정2정목·팔중원정·경정1정목·원정2정목·서천대전정·금정2정목·상서정·하서정·신정·남산정 대구부 동상면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사일동, 사이동, 남성리, 칠성리, 신전리, 용덕리,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대구부 대구면 덕산정·경정2정목·대화정·원정1정목·동천대전정·금정1정목·동운정·행정·궁정·삼립정·남용강정·북용강정·동성정1정목·동성정2정목·동성정3정목·남정·동본정·남욱정·북욱정·전정(田)·전정(前)·영정·봉산정·촌상정·칠성정·상정·동문정·신상동·신천동·신하동·가암동

1913년 대구역이 건립되었다. 322호에 전기가 들어왔다. 1914년 4월 1일 대구부를 분해하여, 도시 지역인 대구면만 대구부(大邱府)로 남기고,[8] 대구면을 제외한 대구부의 나머지 면과 현풍군이 달성군으로 개편되었다.[9] 52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구부 대구면 팔운정 등 대구부 팔운정 등 대구부 대구면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달성군 수성면 신천동·신암동

1915년 1월 15일 서상일 등은 영남지역 인사들과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였는데 3.1만세운동에서 대구지역 운동을 주도하였다. 1917년 4월 1일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일부를 대구부에 편입해 대봉정을 신설하였다.[10] 53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9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 일부, 봉덕동 일부 대구부 대봉정

1919년 3월 8일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1923년 서문시장이 현재의 자리로 이동하였다. 1927년 10월 16일 장진홍이 조선은행 대구지점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신간회 대구지회가 조직되었다. 1932년 대구 최초의 백화점 이비시야 백화점이 등장하였다. 1938년 10월 1일 달성군 수성면, 달서면 일부(감삼동 제외), 성북면 일부(동변동·서변동·연경동 제외)을 대구부에 편입하였다.[11] 81법정동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성북면 침산동·산격동·검단동·복현동 대구부 침산동·산격동·검단동·복현동 달성군 수성면 대명동·봉덕동·두산동·지산동·범물동·황청동·범어동·효목동·만촌동·상동·중동·하동·신천동·신암동 대구부 대명동·봉덕동·두산동·지산동·범물동·황청동·범어동·효목동·만촌동·상동·중동·하동·신천동·신암동 달성군 달서면 원대동·조야동·평리동·비산동·노곡동·성당동·내당동·상리동·중리동·이현동 대구부 원대동·조야동·평리동·비산동·노곡동·성당동·내당동·상리동·중리동·이현동

1938년 11월 2일 옛 수성면, 옛 달서면, 옛 성북면 지역에 대구부 동부출장소·서부출장소·북부출장소가 각각 설치되었다.[12] 1941년 대구 약령시가 폐쇄되었다. 1942년 대구공립상업고등학교 학생들 중심으로 태극단 학생독립운동이 일어났다.

미군정기  [편집]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광복을 맞았다. 1945년 9월 29일 대구역에서 열차끼리 충돌하여 73명이 사망하고 120여명이 중상을 입는 참사가 일어났다. 1946년 10월 1일 대구 10·1 사건(10월 항쟁)이 일어났다. 1948년 4월 1일 일본식 동명이 한국식 동명으로 개정되었다.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부 팔운정·수정(壽)·명치정1정목·명치정2정목·시장정·북내정·횡정·시장북통·서내정·남성정·수정(竪)·달성정·본정1정목·본정2정목·서성정1정목·서성정2정목·팔중원정·덕산정·경정1정목·경정2정목·대화정·원정1정목·원정2정목·동천대전정·서천대전정·금정1정목·금정2정목·동운정·행정·궁정·삼립정·남용강정·북용강정·동성정1정목·동성정2정목·동성정3정목·남정·동본정·남욱정·북욱정·전정(田)·전정(前)·영정·봉산정·촌상정·칠성정·상정·동문정·상서정·하서정·신정·남산정·대봉정 대구부 수창동·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동산동·북내동·서야동·시장북로·서내동·남성로·인교동·달성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도원동·덕산동·종로1가·종로2가·대안동·북성로1가·북성로2가·동일동·장관동·태평로2가·태평로3가·동인동·태평로1가·사일동·삼덕동·공평동·완전동·동성로1가·동성로2가·동성로3가·남일동·교동·문화동·상덕동·화전동·전동·용덕동·봉산동·향촌동·칠성동·포정동·동문동·상서동·하서동·대신동·남산동·대봉동

대한민국  [편집]

1949년 8월 15일 대구부(大邱府)에서 대구시(大邱市)로 개칭하였다.[13] 1950년 7월 16일 6.25전쟁으로 인해 8월 17일까지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가 되었다. 1951년 6월 9일 대구시 남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14] 1952년 1월 16일 동인동, 삼덕동, 칠성동이 분동하였다. 87법정동 동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동인동, 삼덕동, 칠성동 대구시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칠성동1가·칠성동2가

1953년 4월 1일 대구시 중부출장소·종로출장소를 설치하였다.[15] 6출장소 87법정동 1957년 11월 6일 달성군 동촌면, 월배면, 성서면, 가창면, 공산면을 편입하였다.[16] 동촌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1출장소 148법정동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달성군 동촌면 지저동·도동·입석동·불로동·봉무동·검사동·둔산동·방촌동·부동·평리동 대구시 지저동·도동·입석동·불로동·봉무동·검사동·둔산동·방촌동·부동·신평동→동촌출장소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상동·하동·대천동 대구시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월성동·월암동·대천동→월배출장소 달성군 성서면 파호동·파산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용산동·죽전동·갈산동·장동·장기동·본리동·송현동·감삼동 대구시 파호동·파산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용산동·죽전동·갈산동·장동·장기동·본리동·송현동·감삼동→성서출장소 달성군 가창면 파동·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 대구시 파동·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가창출장소 달성군 공산면 덕산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지묘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도학동·진인동·능성동·평광동·동변동·서변동·연경동 대구시 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지묘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도학동·진인동·능성동·평광동·동변동·서변동·연경동→공산출장소 시조례 제108호 동명개칭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하동(동부출장소) 대구시 수성동

1960년 2월 28일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은 2.28학생의거를 일으켰다. 이 의거는 4.19의거로 연결되었다. 1963년 1월 1일 대구시 공산출장소(서변동·동변동 제외)가 달성군 공산면으로, 가창출장소(파동 제외)가 가창면으로, 성서출장소가 성서면으로, 월배출장소가 월배면으로 환원되었다.[17]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중부출장소 등이 중구·동구·서구·남구·북구로 승격하였다. 5구 101법정동 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봉산동·교동·태평로1가·용덕동·상덕동·완전동·동성로2가·동문동·문화동·공평동(중부출장소) 대구시 중구 동인동1가·동인동2가·동인동3가·동인동4가·삼덕동1가·삼덕동2가·삼덕동3가·봉산동·교동·태평로1가·용덕동·상덕동·완전동·동성로2가·동문동·문화동·공평동 대구시 덕산동·상서동·하서동·남성로·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장관동·사일동·남일동·동일동·동성로1가·동성로3가·전동·종로1가·종로2가·북성로1가·북성로2가·서내동·북내동·대안동·포정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야동·인교동·동산동·시장북로·대신동·달성동·수창동·도원동·화전동·향촌동·태평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종로출장소) 대구시 중구 덕산동·상서동·하서동·남성로·수동·계산동1가·계산동2가·장관동·사일동·남일동·동일동·동성로1가·동성로3가·전동·종로1가·종로2가·북성로1가·북성로2가·서내동·북내동·대안동·포정동·서문로1가·서문로2가·서야동·인교동·동산동·시장북로·대신동·달성동·수창동·도원동·화전동·향촌동·태평로2가·서성로1가·서성로2가 대구시 신암동·신천동·효목동·만촌동·범어동·황청동·지산동·범물동·두산동·상동·중동·수성동(동부출장소)·파동 대구시 동구 신암동·신천동·효목동·만촌동·범어동·황청동·지산동·범물동·두산동·상동·중동·수성동·파동 대구시 평광동·봉무동·불로동·도동·지저동·입석동·검사동·방촌동·둔산동·부동·신평동(동촌출장소) 대구시 동구 평광동·봉무동·불로동·도동·지저동·입석동·검사동·방촌동·둔산동·부동·신평동 → 동구 동촌출장소 대구시 성당동·내당동·비산동·평리동·중리동·이현동·상리동·원대동·노곡동·조야동(서부출장소) 대구시 서구 성당동·내당동·비산동·평리동·중리동·이현동·상리동·원대동·노곡동·조야동 대구시 남산동·대봉동·봉덕동·대명동(남부출장소) 대구시 남구 남산동·대봉동·봉덕동·대명동 대구시 칠성동1가·칠성동2가·태평로3가·침산동·산격동·복현동·검단동(북부출장소)·서변동·동변동 대구시 북구 칠성동1가·칠성동2가·태평로3가·침산동·산격동·복현동·검단동·서변동·동변동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대구시 지묘동·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진인동·도학동·능성동·연경동(공산출장소) 달성군 공산면 지묘동·덕곡동·송정동·중대동·신용동·내동·미대동·신무동·백안동·용수동·미곡동·진인동·도학동·능성동·연경동 대구시 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가창출장소) 달성군 가창면 용계동·오동·정대동·행정동·상원동·단산동·대일동·냉천동·우록동·삼산동·옥분동·주동 대구시 갈산동·파산동·파호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장동·장기동·용산동·죽전동·본리동·감삼동(성서출장소) 달성군 성서면 갈산동·파산동·파호동·호림동·신당동·이곡동·장동·장기동·용산동·죽전동·본리동·감삼동 대구시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대천동·월암동·월성동·송현동(월배출장소)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대천동·월암동·월성동·송현동

※ 이후의 행정구역 변경에 대한 내용은 각 구별 문서로 대신한다.

1965년 2월 1일 동 행정구역 개편으로 행정동의 수가 89개로 줄었다.[18] 5구 89행정동 106법정동 1976년 8월 1일 동구 동촌출장소가 대구시 동촌출장소로 승격하였다. 1980년 4월 1일 동구가 수성구와 분구하였고 동촌출장소를 폐지하였다.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달성군의 월배읍·성서읍·공산면 및 칠곡군의 칠곡읍, 경산군의 안심읍·고산면 일원을 관할로 대구직할시가 설치되었다.[19] 1988년 1월 1일 서구 및 남구의 일부를 관할로 달서구가 설치되었다.[20] 1991년 3월 26일 성서 초등학생 5명이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대구광역시의회1991년 7월 8일 지방자치제도의 부활로 대구직할시의회가 개원하였다. 1992년 11월 27일 동화사 남북통일발원 약사여래 석조대불이 완공되었다.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로 개칭하였다. [21]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을 경상북도로부터 편입하였다. 시역은 885.6 ㎢로 확장되어 현재에 이른다. 1995년 4월 28일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나 101명이 사망하였다. 1998년 5월 2일 대구 지하철 1호선(진천~안심)이 개통되었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발생으로 192명의 사망자와 148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2003년 8월 21일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가 개막하여, 8월 31일 폐막하였다. 2005년 10월 18일 대구 지하철 2호선(문양~사월)이 개통되었다. 2008년 4월 25일 동구 등 6개 지구의 대구광역시, 구미시 등 5개 지구의 경상북도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받았다.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2013년 세계에너지총회가 열릴 예정이다.

대구광역시청 역대 시장 [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대구광역시장입니다.

주요 인물  [편집]

대구광역시 출신자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 구역  [편집]

대구는 다음과 같은 7개의 '구'와 1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도 # 명칭 한자 인구(명) 가구(세대) 면적(㎢)

1 중구 中區 79,496 34,130 7.08 

2 동구 東區 332,409 125,324 182.34 3 서구 西區 230,761 87,470 17.52 4 남구 南區 176,151 72,425 17.45 5 북구 北區 465,483 160,139 95.52 6 수성구 壽城區 453,265 153,291 76.47 7 달서구 達西區 601,678 202,699 62.26 8 달성군 達城郡 173,361 59,491 427.05

지리  [편집]
위치  [편집]

북쪽, 서쪽, 동쪽은 경상북도가 둘러싸고 있고 남쪽은 경상남도이다.

지형  [편집]

대구광역시 (지산동과 범물동)대구는 분지형태이다. 북쪽에는 팔공산이, 남쪽에는 비슬산이 있다. 강은 신천이 있는데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금호강과 합쳐지며 금호강은 동에서 서로 흐르다가 낙동강으로 흐른다. 대구 시가지는 신천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기후  [편집]

전체적인 강수량은 적다. 최고 기온이 40˚C, 최저 기온이 -20.2˚C에 달한 적이 있었다. 대구는 대한민국에서 더운 곳으로 유명한데, 최고 기온 40도는 대한민국 내의 가장 높은 공식적인 최고 기온 기록이기도 하다.

[보이기] 대구 (1971-2000)의 기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년 최고기온기록 °C (°F) 16.5 (62) 22.2 (72) 26.8 (80) 31.5 (89) 36.6 (98) 38.0 (100) 39.7 (103) 40.0 (104) 37.5 (100) 30.7 (87) 26.6 (80) 20.8 (69) 40.0 (104) 평균최고기온 °C (°F) 5.3 (42) 7.5 (46) 12.9 (55) 20.1 (68) 25.0 (77) 28.0 (82) 30.3 (87) 30.9 (88) 26.6 (80) 21.7 (71) 14.4 (58) 8.0 (46) 19.2 (67) 평균기온 °C (°F) 0.2 (32) 2.1 (36) 7.1 (45) 13.8 (57) 18.7 (66) 22.5 (73) 25.7 (78) 26.1 (79) 21.3 (70) 15.4 (60) 8.6 (47) 2.5 (37) 13.7 (57) 평균최저기온 °C (°F) -4.1 (25) -2.4 (28) 2.1 (36) 7.9 (46) 12.8 (55) 17.8 (64) 22.1 (72) 22.4 (72) 16.9 (62) 10.1 (50) 3.7 (39) -2.0 (28) 9.0 (48) 최저기온기록 °C (°F) -20.2 (-4) -16.4 (2) -10.9 (12) -6.0 (21) 1.8 (35) 7.8 (46) 11.3 (52) 12.3 (54) 6.2 (43) -2.0 (28) -8.6 (17) -15.2 (5) -20.2 (-4) 강수량 mm (inches) 21.6 (0.85) 27.1 (1.07) 51.6 (2.03) 75.2 (2.96) 75.3 (2.96) 140.7 (5.54) 206.7 (8.14) 205.8 (8.1) 129.6 (5.1) 42.0 (1.65) 37.1 (1.46) 15.2 (0.6) 1,027.9 (40.47) 출처: [22] 2009-08-18

교육  [편집]

100년 역사 학교 개교년도 학교 현위치 1898년 효성초등학교 달서구 송현2동 1900년 대구종로초등학교 중구 서문로 1905년 대구중앙초등학교 수성구 만촌1동 1906년 대구현풍초등학교 달성군 현풍면 계성중학교 중구 대신동 계성고등학교 대구초등학교 중구 봉산동 1907년 대구수창초등학교 중구 수창동 신명여자중학교 수성구 수성동1가 성명여자중학교 중구 동산동 신명고등학교 1909년 대구칠곡초등학교 북구 읍내동 1910년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 수성구 노변동 대구복명초등학교 수성구 범물1동 대학교 경북대학교 - 북구, 중구 계명대학교 - 달서구, 남구 대구가톨릭대학교 - 남구, 중구 대구교육대학교 - 남구 대구대학교 - 남구 대구한의대학교 - 수성구 영남대학교 - 남구 경북외국어대학교 - 북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 대구 중구, 달서구, 달성군 현풍면(건설중) 전문대학 계명문화대학 대구공업대학 대구과학대학 대구보건대학 대구산업정보대학 영남이공대학 영진전문대학 한국폴리텍Ⅵ대학(대구캠퍼스) 한국폴리텍섬유패션대학 고등학교 대구광역시의 고등학교 목록에 대해서는 대구광역시의 고등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구국제학교 교육청 대구광역시교육청 대구광역시의 학교 · 학생 · 교직원 현황 (2008년)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전문계) 전문대학 교육대학 대학교 대학원 기타학교 합계 303개교 215개교 123개교 71개교 20개교 9개교 1개교 3개교 36개교 9개교 790개교 27,570명 178,029명 110,449명 86,544명 23,701명 60,161명 2,351명 48,797명 11,843명 1,965명 551,408명 2,406명 9,611명 5,896명 5,470명 1,816명 1,374명 147명 2,399명 278명 509명 29,906명 자료 : 대구통계연보[23]

문화·관광  [편집]

대구광역시의 축제 목록 대구광역시의 절 목록

시티투어  [편집]

대구시의 관광자원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2일 시작된 시티투어는 각종 문화유적, 관광지, 시정현장 등을 순회하며 대구의 문화와 역사, 관광지 등을 둘러볼 수 있는 관광 체험 프로그램이다.

순환코스 동대구역 → 불로동고분군 → 봉무공원 → 구암 팜스테이 → 갓바위 → 방짜유기박물관 → 동화사 → 팔공산동화집단시설기구 →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 팔공산온천관광호텔 정기코스 1코스(팔공산권) : 불로동고분군 → 봉무공원 → 동화사 → 방짜유기박물관 → 신숭겸 장군 유적지 2코스(비슬산권) : 현풍곽씨12정려각 → 도동서원 → 비슬산자연휴양림 →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 현풍 석빙고 3코스(화원권) : 월곡역사박물관 → 대구수목원 → 화원동산 → 남평문씨본래새거지 → 용연사 4코스(시지·가창권) : 녹동서원 → 허브힐즈 → 대구스타디움 → 대구 스포츠기념관 → 둔산동경주 최씨종가 5코스(다사권) : 환경시설공단 →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 계명한학촌 → 매곡정수장 → 육선사 6코스(도심권) : 약령시한의약문화권 → 달성공원 → 대구향교 → 국립대구박물관 → 구암서원

공원  [편집]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조성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조선시대 경상감영이 위치하였던 장소에 조성된 경상감영공원, 곽재우 장군의 호로 공원명을 지은 망우당공원, 달서구 두류동에 위치한 두류공원 등이 있다.

교통  [편집]

대구는 버스와 지하철이 주요한 이동 수단이다. 외부 지역 및 국가와는 항공, 철도, 버스 등으로 연결된다.


동대구역항공: 동구 지저동에 대구국제공항이 있어 제주도, 인천 등 국내 도시 및 상하이 등 외국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철도 : 대구역 및 동대구역에서 경부선, 경북선, 대구선, 동해남부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KTX 이용은 동대구역에서만 가능하다. 도시 철도 : 지하철은 대구도시철도공사가 관리하고 운행한다. 대구광역시를 북동·남서를 대각선으로 관통하는 1호선과 동서로 관통하는 2호선이 운행되고 있다. 남동·북서를 대각선으로 관통하는 3호선이 2014년에 개통될 예정이다.[24] 시외버스 : 두 개의 고속버스 터미널과 다섯 개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전국 각지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시내버스 : 수입금의 분배는 대구광역시에서 맡아 하고, 버스의 운행은 개별 회사가 맡아 하는 준공영제로 운영된다. 도시 규모에 비해 도시철도망이 부족한 대구의 대중교통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일반/좌석버스의 운임은 어른 1,100원, 청소년 800원, 어린이 500원이고, 급행버스의 운임은 어른 1,50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800원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 버스 승차후 1시간 이내, 최초 도시철도 하차후 30분 이내 갈아탈 경우 무료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택시 : 중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2,2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50m당 100원으로, 시간요금은 36초당 10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나드리콜 : 대구시에서 중증장애인, 만65세이상의 사람으로서 대중교통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콜택시이다. 기본요금이 1,000원이고 거리당 요금이 책정되며, 시내는 최대 3,300원 시외는 최대 6,600원이 한도이다. 도로 :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이 대구를 관통하고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등 7개 고속도로 노선 및 5개 국도 노선이 시가지를 방사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신천대로, 앞산순환로, 신천동로 등 도시고속도로로 확충되어 있다. 금호 분기점, 도동 분기점, 동대구 분기점, 옥포 분기점,현풍 분기점 남대구 나들목, 동대구 나들목, 북대구 나들목, 서대구 나들목, 성서 나들목, 수성 나들목, 칠곡 나들목,화원 나들목 [보이기]v • d • e대구광역시의 교통 철도 KTX 경부고속선 · 동대구역 일반철도 경부선 · 대구선 · 대구역 · 동대구역 도시철도 1호선 · 2호선 · 3호선 광역전철 대구권 광역전철

도로 고속도로 1호(경부·AH 1) · 12호(88올림픽) · 20호(익산포항) · 45호(중부내륙) · 55호(중앙·대구부산) · 451호(중부내륙지선) 국도 4호 · 5호 · 25호 · 26호 · 30호 국지도 30호 광역시도 내부순환(신천 · 앞산 · 월곡 · 구 구마) · 외곽순환(4차) · 남북(동로) · 동서(달구벌)

버스 시내 대구 · 경산 · 영천 · 청도 · 고령 · 칠곡 · 성주

시외 고속 · 남부 · 동부 · 북부 · 서부 · 현풍

항공 대구공항 기타 대경교통카드

산업  [편집]
기업  [편집]

반월당대구은행 대구텍 (TaeguTec) 희성전자 한국델파이 동아백화점 대구백화점 금복주 태왕건설 우방랜드 평화산업 SL 미리넷솔라 : 성서산업단지에 위치한 태양 전지 및 응용제품을 개발하는 업체

산업 단지  [편집]

산업단지 명 위치(구·군) 면적(천㎡) 업체수 등급 비고 성서산업단지 달서구 10,835 2,566 지방 1, 2, 3, 4차 (5차 조성 중) 달성산업단지 달성군 논공읍, 구지면 6,820 316 지방 1, 2차 대구염색산업단지 서구 855 124 지방 비산염색공단 검단산업단지 북구 796 323 지방 옥포농공단지 달성군 옥포면 160 38 농공 구지농공단지 달성군 구지면 193 23 농공 제3공단 북구 1,094 991 일반 서대구공단 서구 2,417 533 일반 현풍공단 달성군 현풍면 265 8 일반

언론·통신  [편집]

대구에 지상파 방송으로 KBS 대구방송총국, 대구문화방송, 대구방송(SBS계열국)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블 방송사로서 CMB 대구방송, HCN 금호방송, TCN 대구방송, 푸른방송 4개국이 있다. KBS는 팔공산송신소가 있으며 지상파 방송, HD 지상파방송, 지상파 DMB 그리고 FM 라디오 방송을 송출한다. MBC는 팔공산 송신소에서 지상파 방송, HD 지상파방송, 지상파 DMB 그리고 FM 라디오 방송하고 있으며, 지상파 DMB를 송출한다. 또한 고령군 다산면에서 AM 방송을 송출한다. TBC는 팔공산송신소에서 지상파 방송, HD 지상파방송, 지상파 DMB 그리고 FM 라디오 방송한다. 라디오 방송만을 하는 방송국으로는 대구교통방송, CBS 대구방송국이 있다.

대구의 신문사로서는 매일신문, 영남일보, 대구신문, 대구일보가 있으며 포항에 본사를 둔 경북일보, 경북매일신문도 대구을 주요 보도권역에 포함하고 있다.

스포츠  [편집]

종목 구단 창단연도 홈 경기장 비고 프로 야구 삼성 라이온즈 1982년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1] 프로 농구 대구 오리온스 1995년 대구실내체육관 [2] K-리그 대구 FC 2003년 대구 스타디움 [3]

주거 지구  [편집]

상인지구택지개발사업은 대구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무주택 시민에게 양질의 택지를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수도·전기·통신·도시가스·난방 등 생활기반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고, 공원·학교·녹지·운동장 등 공공시설과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대구도시공사 시행 한국토지공사 시행 대한주택공사 시행 지산지구 (1992년) 범물지구 (1993년) 상인지구 (1994년) 노변지구 (1995년) 시지지구 (1997년) 용산지구 (1998년) 장기지구 (1999년) 동서변지구 (2002년) 죽곡1지구 (2007년) 죽곡2지구 불로지구 (1986년) 월배지구 (1987년) 안심1지구 (1987년) 천내1지구 (1988년) 천내2지구 (1990년) 칠곡1지구 (1993년) 칠곡2지구 (1994년) 성서지구 (1997년) 칠곡3지구 (2000년) 동호지구 (2002년) 칠곡4지구 (2005년) 율하1지구 신서지구 송현지구 (1987년) 월성지구 (1992년) 안심2지구 (1994년) 대곡지구 (1997년) 명곡1지구 (2001년) 명곡2지구 (2002년) 본리지구 (2004년) 매천지구 율하2지구 금호지구 옥포지구 연경지구

관련 드라마  [편집]

온에어 (2008년) 제빵왕 김탁구 (2010년)

자매 도시  [편집]

도시 국가 자매결연시기

조지아 주 애틀랜타 미국  
알마티 시 카자흐스탄  
산둥 성 칭다오 시 중화인민공화국  
미나스제라이스 주 브라질  
히로시마 현 히로시마 시 일본  
상트페테르부르크 시 러시아  
롬바르디아 주 밀라노 현 밀라노 시 이탈리아  
플로브디프 불가리아  
같이보기  [편집]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주해  [편집]

↑ 달구벌, 달구화, 달불 등은 모두 똑같은 한국말을 각기 다른 한자로 표기했을뿐인 차자표기이다. 벌이란 벌판의 뜻으로 伐(벌), 弗(불) 등은 우리말 벌과 비슷한 소리를 빌려적은 음차표기이고, 火은 한자의 뜻인 <불>을 빌려적은 석차(釋借)표기이다.

주석  [편집]

↑ 1942년 8월 11일에 대구의 최고 기온이 40도였다.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칙령 제36호 (1896년 8월 4일) ↑ 칙령 제49호 (1906년 9월 24일) ↑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 경상북도령 제10호 (1911년 11월 14일) ↑ 경상북도고시 제38호 (1911년 11월 14일)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한길사, 2004) 27쪽.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조선총독부령 제9호 (1917년 2월 15일) ↑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년 9월 27일) ↑ 부조례 제22호 (1938년 11월 2일) ↑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 시조례 제10호 (1951년 6월 9일) ↑ 시조례 제26호 (1953년 4월 1일) ↑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년 11월 6일) ↑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시조례 제387호 (1965년 1월 27일) ↑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 기후자료 - 대구의 1971년 ~ 2000년 평년값 자료 ↑ 2009년도 대구통계연보 "14.교육 및 문화 (학교 총개항)" ↑ 최재용 기자. “대구지하철 3호선 50% 지역社 수주.”, 《대구신문》, 2009년 5월 22일 작성. 2009년 5월 23일 확인.

바깥 고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대구광역시(한국어) 대구광역시청 홈페이지 (한국어) 대구광역시의회 홈페이지 (한국어) 대구광역시교육청 홈페이지 [보이기]v • d • e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특별시 서울특별시 광역시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도 경기도 · 강원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보이기]v • d • e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시청소재지: 중구

중구 · 동구 · 서구 · 남구 · 북구 · 수성구 · 달서구 

달성군

원본 주소 ‘http://ko.wikipedia.org/wiki/%EB%8C%80%EA%B5%AC%EA%B4%91%EC%97%AD%EC%8B%9C’ 분류: 대구광역시 | 대한민국의 도시 | 1995년 설치

이 사람 토론은 하는 겁니까?

편집

근거도 없는 얘기나 어디서 슬쩍 가져와서 위키백과를 더럽히지 마시죠. 자기가 다른 위키백과에 적은 얘기를 올린 다음, 근거인 것처럼 포장해서 (표면적으로는) 다른 언어판의 것을 가져왔니 사람들이 믿겠지라는 식으로 포장하려는 모습, 지저분하다 못해 역겹습니다. 역겨운 것을 떠나 인천광역시 문서에서의 독단적인 편집 행위를 비롯하여 수많은 지적이 들어오면 대답 정도는 해야죠, 기본적인 예의조차도 없군요. --T-holic (토론) 2010년 7월 21일 (수) 09:46 (KST)답변

알림

편집

일본어판에서도 계속해서 확실한 근거 없이 그릇된 기여를 하시는데, 계속해서 그러시면 일본어판 위키백과에서 차단 요청에 의해 차단 되실 수 있습니다.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25일 (일) 16:54 (KST)답변

저는 분명 경고했는데도 불구하고 또다시 편집하셨네요. 이건, 저를 무시하겠다는 건가요?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27일 (화) 14:05 (KST)답변

개선의 의지가 없는 듯 합니다. 차단 외에 별다른 대책이 있는지조차 의심스러울 지경입니다. --T-holic (토론) 2010년 7월 28일 (수) 12:28 (KST)답변
일단, 일본어판에서는 차단 요청을 할 예정입니다. --가람 (토론 · ) 2010년 7월 28일 (수) 22:40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