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nghyun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토론 문서에 글을 남길 때는 해당 글 맨 뒤에 꼭 서명을 넣어 주세요. 위키백과에서 쓰는 서명 방식은 이름을 직접 쓰는 것이 아니라, 물결표 4개(--~~~~)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 환영합니다 (토론) 2012년 5월 15일 (화) 13:34 (KST)답변

문서 이동

편집

문서 이동은 복사&붙여넣기로 이동하지 않고 위키백과:문서 이동하기에서의 방법에 따라 이동합니다. -- Min's (토론) 2012년 5월 16일 (수) 14:40 (KST)답변

문서를 이동하는 것(표제어를 바꾸는 것)은 복사&붙여넣기로 이동하지 않고, 문서의 변경 내역(역사)을 보존하기 위해 위키백과:문서 이동하기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이동하셔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 Min's (토론) 2012년 5월 16일 (수) 14:59 (KST)답변

회원가입한지 4일이 되지 않아서 권한이 없는것 같습니다.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의 정책에 따라 "정지궤도 해색탑재체"라는 제목을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 고쳐야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Yanghyun (토론) 2012년 5월 16일 (수) 15:24 (KST)답변

위키백과:문서 이동을 꼼꼼히 다시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문서 이동 권한이 없을 시에는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에 요청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가람 (논의) 2012년 5월 16일 (수) 16:15 (KST)답변

천리안해양관측위성 문서에 관해서

편집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까 천리안해양관측위성 문서에서 되돌리기 분쟁이 일어난 것을 보았습니다. 현재 문서관리 요청을 하신 양현님의 문서 넘겨주기는 처리되고 있는 중입니다. 그 이전에 한 가지 질문을 드립니다. 정지궤도 해색탑재체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 이름이 바뀌어야 한다는 근거는 이 링크에 제시된 것이 맞나요? --Sotiale (토론) 2012년 5월 17일 (목) 09:28 (KST)답변

네, 맞습니다. 만약 영문으로 접속이 된다면, 이 링크로 접속하셔서 [해양위성정보] 메뉴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Yanghyun (토론) 2012년 5월 17일 (목) 09:43 (KST)답변
감사합니다. 요청하신 문서 관리 요청이 처리될 수 있도록 해당 정보를 제시하겠습니다. 문서 관리 요청을 해 주셔서 제 임의로 넘겨주기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조금만 더 기다려주시길 바라겠습니다. :) --Sotiale (토론) 2012년 5월 17일 (목) 09:45 (KST)답변
네, 감사합니다. --Yanghyun (토론) 2012년 5월 17일 (목) 09:48 (KST)답변
COSI는 COMS의 한 모듈 아닌가요? 위성체 전체에 대해서는 천리안 (위성) 문서가 이미 존재합니다.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17일 (목) 15:52 (KST)답변
네, 맞습니다. COMS에는 통신탑재체, 기상탑재체, 해양탑재체 등 3개의 탑재체가 있습니다. 이중 해양탑재체를 "GOCI" 혹은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이라 부릅니다. 이 세개의 탑재체는 전속 운영기관도 각각 다르고, 활용 분야도 각각 다릅니다. 이곳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OMS에 세개의 탑재체가 함께 적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각각 성격이 다르므로 "천리안 (위성)"으로 넘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천리안 (위성)"에는 GOCI의 스펙이나 밴드 특성, 비전 및 목표와 같은 설명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천리안 (위성)"과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을 분리하고 "천리안 (위성)"에서 해양관측위성 부분에 "천리안해양관측위성"으로 링크를 거는 방향으로 해결했으면 좋겠습니다. --Yanghyun (토론) 2012년 5월 17일 (목) 16:57 (KST)답변
모듈 하나에 대해서도 '위성'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관례가 있는지요? 천리안 위성이 다목적 위성이라 천리안해양관측위성, 천리안통신위성 등은 모두 다 천리안 위성체 본체를 말하는 것 아닐까요?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18일 (금) 16:32 (KST)답변
네, 예를 들어주신 것처럼 목적에 따라 다르게 '위성'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고 각각 고유명사처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위성들이 천리안 위성 본체에 적재되어 있습니다만,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천리안위성은 이 위성들이 정지궤도에 위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저희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는 이중에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의 운영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Yanghyun (토론) 2012년 5월 18일 (금) 17:03 (KST)답변
그렇다면 각 기능을 천리안 (위성)로 병합해서 설명하는건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15:24 (KST)답변
종전에 말씀드린바와 같이 천리안위성은 해양, 통신, 기상 센서들이 정지궤도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양관측위성은 한반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합니다. 통신위성과 기상위성도 각각의 역할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각 역할이 다르므로 따로 설명하는 것이 더 명확할 것 같습니다. 대표적인 해양관측센서 중 하나인 SeaWiFS도 OrbView-2(AKA SeaStar) 위성에 적재되어 있으나, 따로 구분되어 설명되어 있습니다. NASA의 Aqua도 마찬가지 입니다.--Yanghyun (토론) 2012년 5월 22일 (화) 16:35 (KST)답변
en:Aqua (satellite)en:Aura (satellite)는 여러 개의 독립적인 장비를 탑재하고 있는 위성이고, 각각의 관측 장비에 대해서는 MODISHSB에서 정의하는 것과 같이 "an instrument launched on NASA's Earth Observing System satellite Aqua"(EOS의 일부인 Aqua 위성에 탑재된 장비)로 소개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따로 설명하는 건 괜찮겠습니다만, 위성에 탑재된 관측 장비일 뿐인 것을 '위성'이라고 설명하면 잘못된 정의가 될 것 같습니다. 차라리 GOCI나, 해양위성센터 한국어 페이지에서 천리안 해양관측위성이라는 명칭 외에 GOCI를 설명하고 있는 '정지궤도 해양탐색체'나 GOCI라는 약어 그대로 표제어를 잡는 게 더 나을 것 같기도 합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6:09 (KST)답변

천리안 위성 관련 문서에 대해

편집

현재 천리안 (위성)정지궤도 해색탑재체가 이미 위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상태이고, 다른 사용자분들과 토론을 통해 문서 표제어를 하나로 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런 상황에서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 또다시 같은 대상의 설명을 적는 것은 아직은 불필요하지 않을까요? 물론 논의 과정에서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을 제목으로 삼자는 결론이 나온다면 최종적으로는 그쪽으로 내용을 옮겨야겠지만, 아직 하나로 합쳐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같은 내용을 다루는 문서를 세 개나 만들어야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3:10 (KST)답변

"정지궤도 해색탑재체"에 대한 설명도 제가 올린것입니다. 그러나 "정지궤도 해색탑재체"라는 용어는 틀린 것입니다. 이 글을 작성한 후에, GOCI의 주관운영기관인 해양위성센터에서 "정지궤도 해색탑재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어 수정이 필요하였습니다. 따라서 "정지궤도 해색탑재체"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이라는 용어로 설명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싶었습니다. 이를 관리자에게 알렸고, 회의를 통해 "정지궤도 해색탑재체"라는 용어를 삭제해 주신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글을 잘 읽어 보시면 "천리안 위성"과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의 내용은 완전히 다릅니다. 문서의 내용을 잘 읽어보시기를 부탁드립니다. 해외의 주요 위성들도 이런식으로 넘어오도록 설명하고 있지 않습니다. --Yanghyun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3:49 (KST)답변
내용이 틀리다는 것이 아니라, 아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임의로 넘겨주기 문서에 내용을 넣지 않으셨으면 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천리안해양관측위성(또는 정지궤도 해양탑재체, GOCI)가 위성 자체보다 설명할 내용이 많은 것은 이해가 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천리안해양관측위성천리안 (위성)으로 못 넘겨줄 이유도 없습니다.(결국 탑재체는 위성 자체에 부속된 관측 장비로도 볼 수 있으니까요) 그러므로 독립적인 문서로 할 것인지 넘겨주기 문서로 할 것인지, 그리고 해양관측장비를 설명하고자 할 때 제목은 무엇으로 할 것인지 우선 논의가 필요하다는 거죠. 의견 충돌이 있을 때 무작정 내용을 Yanghyun님이 원하시는 대로 집어넣는 것은 논의 진행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5:48 (KST)답변
우선, 제목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의가 필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GOCI를 운영하는 기관이 저희 센터이며, 여기서 쓰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천리안해양관측위성"을 "천리안 위성"으로 넘기면 GOCI의 스펙이나 밴드 등에 관한 정보를 표출할 수가 없게 되어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게 됩니다. 내용이 다른데 어떻게 넘겨주기를 하려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OrbView-2(AKA SeaStar)의 SeaWiFS나 MODIS(NASA)의 Aqua 등의 해외위성들도 전부 따로 설명하고 있는데, 왜 굳이 국내에서만 계속 넘겨주기를 하는지 의아합니다. --Yanghyun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6:59 (KST)답변
공식 명칭이라면 문서 이동 요청을 해서(정상적인 절차를 밟아서) 제목을 변경하는 게 더 맞습니다. 백:문서 관리 요청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천리안해양관측위성에 내용을 바로 삽입하는 것은 백:문서 옮기기 지침에도 맞지 않아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7:12 (KST)답변
일단 공식 명칭인 건 확인이 된 거 같아 문서는 일단 바로 옮겼습니다. --더위먹은민츠 (토론) 2012년 5월 29일 (화) 17:14 (KST)답변